코스피, 단기 조정 가능성↑...공매도·빚투 늘고 예탁금은 빠진다
코스피가 3200선을 터치하며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단기 상승 피로감과 대외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상존하고 있다. '빚투(빚내서 투자)'와 공매도 잔고가 동반 증가세를 보이는 만큼, 지수 상승에 대한 경계감이 필요하다는 당부가 나온다. 1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유가증권시장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12조8700억원으로 5월 말(10조6100억원) 대비 21.30% 증가했다. 신용거래융자란 개인 투자자가 담보를 잡고 주식 매수 자금을 증권사에 빌리는 것으로, '빚투'로 불린다. 다만 투자자예탁금은 이달 들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투자자예탁금은 증시 대기성 자금으로, 주식투자 열기의 가늠자 역할을 한다. 이달 초에는 2022년 이후 3년 6개월 만에 70조원을 넘기면서 급증세를 이어갔지만, 10일 기준 65조원대로 내려오면서 단기간에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 6월 27일부터 이달 4일까지 반대매매 비중이 1%를 넘기면서, 하루 평균 100억원 이상의 규모를 기록했다. 반대매매는 증권사가 투자자들이 증권사에게 돈을 빌려 주식을 매입한 후 약정 기간 내 변제하지 못할 경우에 강제로 일괄매도 처분되는 것을 말한다. '빚투'가 늘어나면서 반대매매 규모도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반대매매는 증시가 하락하는 상황에서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크고, 투자 심리 위축과 시장 급락의 단초가 될 수 있다. 공매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코스피 단기 상승세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코스피 공매도 순보유 잔고는 9조445억원으로, 공매도가 재개된 지난 3월 31일 이후 최로 9조원을 넘어섰다. 코스닥 공매도 역시 3조9287억원으로 4조원을 코앞에 두고 있다. 통상적으로 공매도 순보유잔고가 증가는 증시 하락에 베팅하는 투자자가 많아졌음을 의미하는 신호다. 투자자예탁금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공매도와 빚투가 동반 상승세를 보이는 점은 코스피 지수 상승에 제동을 걸 수 있는 요인이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의 견조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지만 투자자예탁금, 신용융자잔고 등이 빠르게 급증하는 등 단기 과열권에 진입한 만큼 부담도 존재한다"며 "장기적으로는 강세 전망이 유효하지만 단기 조정 가능성도 높아 선별적인 접근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코스피는 이달 들어 3100선에 안착한 뒤 3200선을 터치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압박이 구체화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새 정부의 정책 모멘텀이 지속되면서 투자 매력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지난 주말 트럼프 행정부는 유럽연합(EU)·멕시코에도 30%의 상호관세를 예고했다. 지난 4월 상호관세율보다 각각 10%포인트, 5%포인씩 올라갔다. 현재까지 트럼프 대통령은 20여개국에 관세서한을 통보했는데, 예상보다 강도 높은 조건에서 협상을 더하는 전술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압박으로 다가오고 있다. 다만 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이번 주 초반부터 관세 불확실성에 직면하겠지만, 단기 변동성만 유발할 뿐 지수 추세를 훼손시킬 정도의 파급력은 제한적일 것"이라면서도 "미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소매판매 등 관세가 실제 여파를 가늠할 수 있는 하드 데이터가 주중 대기하고 있는데, 6월 CPI가 쇼크를 기록할 시에 증시 단기 조정으로의 부정적 피드백 루프가 형성될 수 있다"고 당부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서한으로 촉발된 관세 불확실성은 다소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관세 피로감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이번 주에는 6월 미국 CPI 결과가 글로벌 외환시장 흐름에 중요한 변수 역할을 한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