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평, "1분기 등급조정, 하락 우위 기조 이어져"
올해 1분기에도 국내 기업의 신용등급 흐름은 하향 우위 기조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등급 하락과 부도 사례가 동시에 발생했으며, 특히 투기등급군에서 변동성이 집중되며 신용위험이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한국기업평가는 28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신용등급 변동 현황' 보고서에서, 자사 신용등급(선순위 무보증사채 기준)을 보유한 416개사 중 5개사(1.2%)의 등급이 변동됐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등급이 상승한 기업은 1개사(0.2%), 하락한 기업은 2개사(0.5%), 부도 처리된 기업은 2개사(0.5%)였다. 등급 유지 기업은 403개사(96.9%)였고, 등급이 소멸된 기업은 8개사(1.9%)로 집계됐다. 전체 등급변동률은 1.23%로, 전년 동기(1.43%)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하락 흐름이 우세했다. 특히 투기등급군에서 신용 리스크가 집중되는 모습이 두드러졌다. 이들 가운데 4개 기업에서 등급 하락 또는 부도가 발생했으며, 등급 변동률은 8.7%, 등급 변동성 지표는 -4.55%를 기록해 투자등급 기업군(변동률 0.28%)과 큰 차이를 보였다. 250억원 규모의 회사채가 1분기 중 부도로 처리됐는데, 모두 투기등급 기업에서 발생했다. 이번 분기에서 신용등급이 상승한 기업은 에이치디현대가 유일했다. 수익 구조 다변화와 현금 창출력 개선, 자회사 지분을 활용한 재무 유연성 등이 반영돼 신용등급이 상향 조정됐다. 반면, 엠에프엠코리아와 케이씨코트렐은 각각 기존보다 두 단계 낮은 등급으로 떨어졌다. 엠에프엠코리아는 차입금 연체와 상장폐지 결정, 케이씨코트렐은 채권 상환유예 및 구조조정 등의 요인으로 신용도가 크게 훼손됐다. 이들은 모두 '등급 급락 사례(Large Rating Change)'로 분류됐다. 한국기업평가는 "전체적으로 신용등급 하락은 업황 악화와 개별 기업의 재무 불안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특히 투기등급 기업의 위험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3월 말 기준으로 신용등급(D등급 제외)을 보유한 412개사 가운데 투자등급 비중은 89.3%, 투기등급은 10.7%였으며, AA등급(35.7%)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BBB등급 이하(투기등급 포함) 기업은 20.1%에 그쳤다. 등급 전망은 여전히 하락 쪽에 무게가 실려 있다. 3월 말 기준 '안정적' 전망은 359개사였고, '긍정적'은 19개사, '부정적'은 29개사였다. 다만 긍정적 전망을 받은 기업 수가 1년 전(6개사) 대비 세 배 이상 늘어난 점은 향후 반등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국기업평가는 "올해도 내수경기 회복 지연, 글로벌 통상환경 악화, 부동산 PF 리스크 등 복합 요인이 신용등급 전반에 부담을 줄 것"이라면서도 "일부 업종에선 실적 개선 기대가 있고, 지난해보다 극단적인 등급 하락 사례는 줄어들 수 있다"고 내다봤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