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1월 교역량 10%나 급감…경착륙 우려 속 리커창 긴급대책 마련
중국 1월 교역량 10%나 급감…경착륙 우려 속 리커창 긴급대책 마련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중국 교역규모가 지난 1월 전년 동기 대비 10% 가까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경제 둔화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자 '중국 경착륙' 우려가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중국 정부도 교역량 발표에 앞서 하루 전 긴급대책 마련에 고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15일 중국 해관총서(관세청)는 1월 한 달 동안 교역규모가 위안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9.8% 감소한 1조8800억 위안(약 348조9500억원)에 그쳤다고 발표했다. 수출이 6.6%, 수입이 14.4%나 감소한 결과다. 달러화를 기준으로 했을 때는 수출이 11.2% 줄고, 수입이 18.8% 감소했다. 중국 교역량은 2014년말 이후 14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다 지난해 12월 수출이 위안화 기준 2.3% 증가하고, 수입도 감소폭이 4.0%로 줄면서 중국 경제가 회생할 조짐을 보인 바 있다. 전문가들이 이를 토대로 1월 수출이 3.6%, 수입이 1.8%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한 달만에 교역량이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중국 경제 전망이 급선회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올해 중국 정부의 목표인 6.5~7% 성장률에서 2~3% 급감하는 경착륙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같은 비관론에는 중국에 대한 불신이 한몫하고 있다. 지난해 12월의 교역량 회복이 1월 수출을 앞당겨 집행한 결과이고, 수입업자들이 수입단가를 속여 외화를 유출시키면서 통계가 왜곡됐을 것이란 시각이다. 중국은 관영 언론을 통해 외부의 비관론을 무마하려 애쓰고 있다. 영자 관영지인 차이나데일리는 베이징대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많은 공장들이 춘제(중국 설) 연휴 이후 가동에 들어가므로 2분기에는 교역량이 반등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중국의 성장 둔화가 정상적인 과정이라고 평가했다. 많은 산업이 동남아시아와 인도로 이동하면서 중국이 누려온 이점이 사라지고 있어 성장 둔화는 필연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당혹감을 완전히 감춘 것은 아니다. 리커창 총리는 발표 전날인 일요일에 춘제 이후 처음 국무회의를 열어 교역량 급감 대책 마련에 나섰다. 리 총리가 주재하는 회의는 수요일에 열리는게 보통이다. 이 회의에서 중국 정부는 서비스 교역을 확대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진다. 상하이, 톈진, 선전, 광저우, 항저우, 쑤저우, 하이난, 우한, 청두, 웨이하이 등 10개 도시와 난징, 충칭 등 5개 국가투자지역을 대상으로 외국 기업의 유치를 위한 시험 프로그램을 2년간 실시하고, 맞춤형 정책을 실시하겠다는 내용이다. 맞춤형 정책에는 첨단기술을 가진 외국 기업에게 15~25%의 세금을 감면하는 혜택을 제공한다는 방침이 포함돼 있다. 또한, 서비스 교역 혁신을 위한 정부 펀드 조성과 연구개발 보조금 지급, 서비스 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 등도 포함돼 있다. 일요일 회의에서 중국 정부는 중국 전통 의학에 대한 진흥정책도 내놨다. 역시 서비스 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중국은 철강·석탄 등 기존 수출산업이 쇠퇴하면서 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한 내수경제로의 전환에 사활을 걸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