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증시 변곡점, '세제 개편'에서 주목해야 할 종목은?
이재명 정부의 첫 세법개정안이 발표된 직후 국내 증시는 실망감을 반영하며 변동성을 확대시켰지만, 증권가는 증시 반등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특히 배당소득 분리과세와 산업 정책 방향성 등을 기회로 보고 정책 수혜가 기대되는 산업군에 대한 선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코스피는 장중 3288.26까지 오르면서 연고점을 경신했지만, 이달 1일 3110선까지 급락하면서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날 하루에만 코스피 지수는 3.88% 하락했다. 한국과 미국의 관세협상 타결에 이어, 정부의 세제개편안 발표가 잇따르면서 지난달 31일부터 지난 1일까지 2거래일 동안 코스피는 4.15% 떨어졌으며, 시가총액에도 2671조7867억원에서 2563조5768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이는 지난달 31일 발표된 세제개편안이 시장의 기대치와 달랐다는 점에서 실망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법인세와 증권거래세율 인상,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완화 등이 2023년 수준으로 회귀하면서 윤석열 정부의 감세 기조를 철회한 것이다. 다만 김두언 하나증권 연구원은 "법인세율 인상과 대주주 양도소득세 기준 강화로 인해 8월에는 시장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판단한다"면서도 "한국 주식 시장은 경험적으로 국내 이슈에 대한 반응은 일시적이었고, 큰 흐름은 글로벌 거시경제 환경에 좌우되는데 현재는 유동성이 풍부한 만큼 우호적인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FICC리서치부장도 "글로벌 주요국들과 관세 협상 이후 미국의 정책 방향성은 경기 개선으로 선회할 것"이라며 "미국의 하반기 금리인하 가능성까지 고려하면 4분기 이후 글로벌 유동성 장세 재개가 에상되고, 이 과정에서 글로벌 유동성이 한국으로 유입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세제개편이 증시 발전을 저해한다는 것은 과도한 의견일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어 이 부장은 "배당소득 분리과세는 시장에 긍정적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도입이 됐다는 것만으로 자본시장 내에서 대주주와 투자자 행동을 유도하는 정책적 신호로 해석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세법 개정에서는 배당소득 분리과세도 도입됐다. 제도의 적용 대상은 '전년도 대비 현금 배당이 줄지 않은 기업' 가운데, 배당성향이 40%를 초과하거나 배당성향이 25%를 초과하고 최근 3년 평균 대비 배당금을 5% 이상 늘린 경우만 해당된다. 김 연구원은 "현재 한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약 2300개 기업들 중에서 배당소득 분리과세 요건을 충족하는 기업은 약 2% 남짓"이라며 "이들 중에서 시가총액이 높고 성장성이 높은 기업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하나증권은 롯데지주, 삼성생명, NH투자증권 등을 비롯해 다수의 금융주들을 언급했다. 산업 정책 드라이브의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들에 대한 주목도 요구된다. 이 부장은 "펀더멘털(기초체력)이 뒷받침되는 종목에 대해서는 오히려 중장기 매수기회로 전환될 여지가 있다"며 "늘어난 세수가 투입되는 곳에서 투자 기회를 찾을 수 있다"고 짚었다. 이번 세제 개편안에서 인공지능(AI) 반도체 산업과 K-문화·콘텐츠, 해운, 방위 산업 등은 전략산업으로 지정돼 세제 지원이 예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허성우 하나증권 연구원도 "거둬들이는 세수를 어디에 집중하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한국 코스피 지수의 주도주는 조선과 방산인데, 특히 패권국인 미국이 안보자산을 관리해 온 키다리 전략으로서 한국의 조선과 방산이 포함된다는 점에서 다시 하반기 한국 증시를 주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