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자산운용, 의료 AI ETF 2주도 안 돼 200억 넘겼다
미국 정부의 AI 헬스케어 정책 영향으로 하나자산운용의 의료 AI 관련 ETF가 급성장하고 있다. 하나자산운용은 지난달 22일 상장한 '1Q 미국메디컬AI ETF'가 상장한 지 11일 만에 순자산 200억원을 돌파했다고 6일 밝혔다. 1Q 미국메디컬AI ETF는 연초 이후 가장 늦게 상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상장 첫날 개인 순매수 34억원을 달성했다. 상장 첫날 기준, 올해 상장한 전체 미국 주식형 ETF 중 개인 순매수 1위를 기록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해당 ETF는 상장 이후 8월 5일까지 영업일 기준 11일 연속 개인 순매수(누적 약 140억원)를 이어나갔다. 1Q 미국메디컬AI ETF는 의료 AI 산업의 성장으로 수혜가 기대되는 15개 기업에 투자한다. AI 기반 정밀의료 플랫폼 템퍼스AI(TEM), 엔비디아가 지분 투자한 AI 신약 개발의 선두주자 리커전 파마슈티컬스(RXRX), 수술용 로봇 전문 기업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에 약 25%, 15%, 10%씩 편입한다. 이외에도 구글, 노바티스, 엔비디아, 아스트라제네카 등 의료 AI 관련 기술을 보유하거나 협업하는 기업에도 투자한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구축 정책에 힘입어, 의료 AI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고 하나자산운용은 분석했다. 지난달 30일 미국 보건복지부(HHS)와 정부효율부(DOGE)는 백악관에서 'AI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구축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행사에는 구글, 아마존, Open AI 등 빅테크 기업과 CVS헬스, 유나이티드헬스 등 헬스케어 기업을 포함한 60여개의 민간 기업 및 11개 병원이 참여했다. 김태우 하나자산운용 대표는 "미국 정부를 중심으로 AI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도입이 가속화하고 있다"며 "AI를 통해 의료기록을 관리하고 의료진은 환자의 혈당, 혈압 등 바이오 지표를 분석해 실시간으로 사전 진단 및 처방을 하는 등 의료분야 전반에 AI가 활용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