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소유 최종 판명 다스, 中企와 동반성장선 사실상 '낙제점'
동반성장위, 2015년부터 다스 동반성장지수 공표 첫 해 '보통' 받은 후 5년간 '보통' 유지하며 하위권' MB 재임시절 만든 동반위 관련 평가서도 '혹평' 이명박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인 것으로 판명난 다스(DAS)가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에서 5년간 사실상 '낙제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동반성장지수를 산정하는 동반성장위원회는 이 전 대통령이 경제민주화를 실현한다는 명분으로 재임시절인 2010년 만든 기구다. 동반위는 공정거래위원회의 대기업별 공정거래 평가와 자체적으로 중소기업 체감도조사 등을 통해 전년도 동반성장지수를 이듬해 공표하고 있다. 지난 9월 발표한 동반성장지수가 지난해 수치다. 4일 동반위에 따르면 다스는 동반성장지수가 처음 공표된 2015년 당시 '보통' 등급을 받은 이후 지난해까지 5년 연속으로 '보통'에 머물렀다. 동반성장지수 등급은 최우수, 우수, 양호, 보통, 미흡으로 나뉜다. '미흡'의 경우 공정거래협약에 아예 참여하지 않은 기업 등에게 부여하는 등급으로 사실상 '보통'을 받은 기업이 가장 낮은 수준에서 동반성장을 한 셈이다. 이 전 대통령이 직접 만든 동반위의 관련 평가에서 자신의 회사인 다스가 혹독한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다. 다스는 2014년 당시 처음으로 동반성장지수 평가 대상에 이름을 올렸다. 동반성장지수 평가 대상기업을 '매출액 순위 450대 기업'으로 늘리고, 중견기업과 대기업 1차 협력사로 확대하면서 현대·기아차 1차 협력사인 다스가 포함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4년의 경우 시범조사 대상이어서 실제 다스의 동반성장지수는 2015년 처음 언론을 통해 일반에게 공개됐다. 한편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이명박 대통령 취임 직전인 2007년 당시 4880억원(연결 기준)의 매출을 기록한 다스는 동반성장지수 대상에 포함되기 직전인 2013년엔 1조111억원을 기록하며 '매출 1조'를 넘었다. 지난해 연결 재무제표에선 매출액이 1조2362억원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다스의 주요 주주는 이상은(47.26%), 권영미(23.6%), 기획재정부(19.91%), 김창대(4.2%), 재단법인 청계(5.03%)로 명시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