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소매판매 13개 분기 연속 감소...2분기 수출은 반등
국내 소비의 활성 여부를 보여주는 소매판매가 13개 분기 연속으로 감소했다. 다만 이는 정부발 소비쿠폰 지급이 개시되기 이전까지의 집계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올해 4~6월 전국 소매판매는 1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 0.2% 줄었다. 내수 부진이 지속되면서 전국 소매판매는 2022년 2분기 이래로 13개 분기(39개월)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면세점이 -12.2%, 슈퍼마켓·잡화점이 -3.6%, 전문소매점이 -0.8%를 기록했다. 소매판매는 제주(-2.3%), 경북(-1.8%), 서울(-1.8%) 등에서 면세점 및 전문소매점 판매가 줄어 감소했다. 반면 울산(5.4%), 인천(4.9%), 세종(3.5%)에서는 승용차·연료소매점 등의 판매가 늘면서 증가했다. 2분기 전국 광공업생산은 전년동기 대비 2.1% 늘었다. 충북(14.1%), 경기(12.3%), 광주(11.3%) 등은 반도체·전자부품과 전기장비 생산이 늘었으나, 서울(-10.1%), 충남(-6.4%), 부산(-4.0%)은 의료·정밀기기, 금속 생산이 줄어 감소했다. 2분기 전국 서비스업생산은 보건·복지, 금융·보험 등에서 늘면서 1.4% 늘었다. 경기(5.4%), 인천(3.5%), 세종(3.3%)은 예술·스포츠·여가, 전문·과학·기술 등에서 늘면서 증가를 보인 데 반해, 제주(-9.2%), 경남(-2.8%)은 정보통신, 부동산, 예술·스포츠·여가 등에서 줄면서 감소했다. 2분기 수출(통관기준)은 전국에서 2.1% 증가했다. 메모리 반도체와 선박, 기타 중화학 공업품 등의 수출이 늘어난 연유다. 수출액은 2023년 4분기부터 5개 분기 연속 증가를 이어가다 올해 1분기에 감소로 돌아선 이후 2분기에 다시 증가로 전환했다. 물가는 전국 평균 2.1% 상승했다. 부산(2.2%)은 평균치를 웃돌았고 제주(1.5%), 광주(1.7%), 울산(1.9%)은 평균보다 낮았다. 고용률은 전국 63.5%로 전년보다 0.2%포인트(p) 상승했다. 30대와 40대, 60대 이상에서 고용률이 상승했다. 지역별로 대전(1.2%p), 부산(1.0%p) 등은 오른 반면 광주(-0.4%p), 서울(-0.2%p) 등은 내렸다. 실업률은 전국 2.8%로 전년보다 0.1%p 하락했다. 울산(-1.4%p), 부산(-0.6%p), 강원(-0.5%p) 등에서 실업률 내림세를 보였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