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농식품 수출 68만4500만불 '사상 최대' … 전년 대비 6.8% 증가
올해 농식품 수출 68만4500만불 '사상 최대' … 전년 대비 6.8% 증가 11월 기준 태국 등 신남방지역 수출 8.4% 급증, 1위 수출권역으로 부상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 우리 농식품 수출이 코로나19라는 변수에도 불구하고 사상 최대치를 달성하고 있다. 특히 신남방지역으로의 수출이 급증해 1위 수출권역으로 부상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1월 기준 농식품 수출이 68만4500만불로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해 사상 최대치를 달성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특히 신남방 지역 농식품 수출은 13억950만불로 전년(12억8700만불) 대비 8.4% 급증해, 사상 처음으로 일본을 제치고 1위 수출권역으로 떠올랐다. 전체 농식품 수출 가운데 신남방지역 비중은 2018년 19.6%에서 2019년 20.3%, 올해 11월 기준 20.4%를 기록 중이다. 국가별로 태국(9.8%↑), 인도네시아(4%↑), 필리핀(33.1%↑), 싱가폴(19.8%↑), 말레이시아(23.1%↑), 인도(34.7%↑) 등 대부분 신남방 지역 국가 수출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라는 급격한 해외 여건 변화 속에서도 신속한 정책지원이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농식품부는 그동안 신남방 국가의 국가별 특성에 맞는 품목을 중심으로 온·오프라인 판매 플랫폼 구축 등 수출 기반을 강화하는 마케팅 지원을 추진해 왔다. 실제로 주요 수출 품목을 보면, 코로나19로 인한 가정식 수요 증가와 온라인 플랫폼과 연계한 배달앱(O2O) 확대 영향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비중이 큰 면류는 1억3800만불을 기록, 전년대비 16.1% 급증했고, 소스류(+15.8%), 조제분유(+43.9%), 김치(+55.2%), 유자차(160.3%) 등도 증가세가 컸다. 첫 검역 타결로 수출기이 열린 베트남 단감(+45.4%)을 비롯해, 포도(34.5%↑), 닭고기(12.3%↑), 인삼(6.9%) 등 신선 농산물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 기간 '이태원클라쓰' 등 한류 드라마 인기와 '슬기로운 집콕생활' 등 동영상 플랫폼 서비스 영향으로 떡볶이, 비빔밥, 김치볶음밥, 고추장불고기 등 한식 레시피가 유행하면서 이들 수출도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신남방지역 떡볶이 수출액은 11월 4800만불로 전년(3100만불) 대비 58%나 증가했다. 농식품부는 베트남에 45개점, 인도네시아에 50개점 등 현지 대형유통매장과 온라인 구매를 결합한 온·오프라인 플랫폼을 확대해 생산농가와 중소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지속 강화하고 있다. 매장 내 한국식품 상성 판매관을 구축해 현지 배달앱 등을 연동하는 마케팅도 추진 중이다. 신남방 지역은 특히 미국과 중국, 일본에 편중된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시장으로,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를 통해 수출 성장세는 더욱 가속화할 전망이다. 농식품부는 RCEP 발효로 즉시 관세가 철폐되는 품목 중심으로 우리 농산물이 조기에 고품질·프리미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품종개발, 상품개발, 수확 후 저장기술, 선도유지, 선별·포장개선, 물류비 절감, 마케팅 등 단계별 촘촘한 정책을 펴 우리 농산물의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농식품부 김종구 식품산업정책관은 "글로벌 경기 둔화, 물류 여건 악화로 우리 기업의 수출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으나, 국가별 전략 품목 선정과 적극적인 온·오프라인 기반 구축 확대로 수출 호조를 보이고 있다"며 "코로나 대응으로 높아진 한국의 위상을 활용한 정책적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