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근로 일자리 증가폭 둔화...20대이하·건설업서 급감
지난 1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수가 전년대비 1만5000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래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특히 20대 이하와 건설업에서 일자리 감소가 두드러졌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임금근로 일자리동향'에 따르면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53만6000개로 전년 같은 분기보다 1만5000개(0.1%) 늘었다. 임금근로 일자리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8년 이후 가장 작은 수준이다. 올해 1분기 임금근로 일자리는 작년 1분기(31만4000개 증가)와 비교해 크게 둔화했다. 이후 2분기(25만4000개), 3분기(24만6000개), 4분기(15만3000개)로 점진적으로 둔화되다가 올해 1분기에는 사실상 제자리걸음했다. 전체 일자리 중 동일 근로자가 계속 일하는 지속 일자리는 1507만개(73.4%)였고, 퇴직·이직 등으로 교체된 대체 일자리는 325만4000개(15.8%), 기업 확장 등으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221만2000개(10.8%)였다. 기업 축소 등으로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19만7000개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20대 이하가 전년 동기 대비 16만8000개 감소하며 가장 큰 폭의 감소를 기록했다. 1분기 감소폭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수치다. 20대 임금근로 일자리는 2022년 4분기(-3만6000개) 이후 9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이어갔다. 청년층 인구 감소와 함께 졸업 후 취업 유예, 고용시장 진입 지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40대 일자리도 10만개 줄어들며 두 번째로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반면 60대 이상은 19만7000개 증가했고, 뒤를 이어 30대(6만4000개), 50대(2만1000개)도 전년 대비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건설업에서 가장 큰 폭의 일자리 감소가 나타났다. 건설업 일자리는 전년 대비 15만4000개 줄었으며, 이는 부동산 경기 침체와 민간 건설 수주 부진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성별로, 남성 일자리는 11만5000개 감소, 여성 일자리는 13만개 증가했다. 남성은 건설업(-13만3000개), 정보통신업(-1만개), 공공행정(-7000개) 등에서 감소한 반면, 여성은 보건·사회복지(9만3000개), 협회·수리·개인서비스(1만8000개), 교육(1만3000개) 등에서 증가했다. 특히 여성의 신규 채용 비중은 28.5%로 남성(25.1%)보다 높아 고용 확장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형태별로 보면 지속 일자리는 제조업(23.1%), 보건·사회복지업(12.1%), 도소매업(10.4%) 순으로 많았고, 신규 일자리는 제조업과 건설업이 각각 15.6%로 가장 많았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