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기업 절반 재택근무… 인사담당자 66.7% "업무효율 높아졌다"
코로나19로 기업 절반 재택근무… 인사담당자 66.7% "업무효율 높아졌다" 고용노동부, 재택근무 활용실태 설문조사 결과 발표 지난 16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고용노동청본청에서 열린 재택근무 활용 우수기업 비대면 간담회에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이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이어진 지난 7월 국내 기업 절반이 재택근무를 운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담당자 66.7%는 "전보다 업무효율이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고용노동부는 기업 인사담당자와 근로자를 대상으로 '재택근무 활용실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이 조사는 직업정보 서비스 제공업체 잡플래닛에 위탁해 올해 7월을 조사대상 기간으로 해 5인 이상 사업장의 인사담당자 400명과 근로자 878명을 대상으로 8월 실시됐다. 우선 조사 대상 기업 10곳 중 약 5곳(48.8%)이 이 기간 재택근무를 운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 '100~299인 기업'(54.0%), '300인 이상 기업'(51.5%), '10~29인 기업'(43.9%), '30~99인 기업'(42.7%) 순으로 규모가 큰 기업의 재택근무 운영 비율이 소폭 높았다. 다만, 10인미만 소규모 기업(65.4%)의 재택근무 비율이 가장 컸다. 기업 유형별로는 대기업(58.3%), 공공기관(50.0%), 중소·중견기업(47.8%)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66.7%),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66.7%), 교육서비스업(62.5%), 정보통신업(61.5%) 순으로 재택근무 비율이 높았다. 반대로 재택근무를 운영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숙박 및 음식점업(85.7%), 제조업(66.0%), 도매 및 소매업(63.8%) 등이 높았다. 재택근무를 운영하지 않는다는 기업들은 그 이유로 '인사노무관리의 어려움'(45.9%)을 가장 많이 꼽았고, '사업주 또는 경영진의 반대'(35.1%), '인프라 구축 등 비용 부담'(34.2%), '재택근무가 가능한 직무가 없어서'(31.2%), '도입방법, 절차, 규정을 몰라서'(11.2%), '근로자 또는 노조의 반대'(2.4%) 순이었다. 재택근무를 실시했다는 기업의 66.7%는 '업무효율이 높아졌느냐'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그런 편이다'라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33.3%였다. 재택근무의 긍정적 효과(복수응답)로는 '감염병 위기 대처 능력 강화'(71.8%), '근로자 직무만족도 증가'(58.5%), '업무 효율성 증가'(23.1%) 순이었다.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재택근무 시행상 어려움(복수응답)으로 '의사소통 곤란'(62.6%)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재택근무 곤란 직무와의 형평성 문제'(44.1%), '성과관리·평가의 어려움'(40.0%) 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코로나19 종식 이후에도 재택근무를 전사적으로 또는 일부 근로자에 한해 계속 시행한다는 응답은 51.8%로 나타나, 재택근무가 기업의 상시적 근무방식으로 정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재택근무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부 정책(복수응답)으로는 '인프라 구축 등 비용 지원'(42.5%), '사회적 분위기 확산'(38.8%), '노동법 가이드라인 마련'(35.5%), '재택근무 활용 인센티브'(34.3%), '인사노무 컨설팅 지원'(19.5%), '선도기업 우수사례 발굴·전파'(14.0%) 순이었다. 재택근무를 활용한 경험이 있다는 근로자들도 재택근무에 대해 '대체로 만족' 60.5%, '매우 만족'이 30.8%로 전체의 91.3%가 재택근무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응답 근로자의 73.9%는 재택근무로 업무효율이 높아졌다고 답했다. 근로자들은 재택근무의 긍정적 효과(복수응답)에 대해 '출퇴근 스트레스 해소'(86.0%)가 앞도적으로 높았고, '여가시간 확보로 삶의 질 향상'(36.5%), '일·가정 양립 기여'(27.8%), '업무집중도 향상'(27.8%)이 뒤를 이었다. /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