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영재교육, 올해부터 인문사회 분야로 확대
초중고 영재교육, 올해부터 인문사회 분야로 확대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2002년 첫 시행 이래 14년간 수학·과학에 치중해온 우리나라 영재교육이 올해부터 인문사회 분야로 확대된다. 17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영재교육 대상자 중 81.2%가 수학, 과학, 수학·과학 융합 분야에서 영재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발명 분야가 4.0%를 차지했고, 정보 분야는 2.9%였다. 인문사회나 외국어는 각각 3.5%와 2.3%에 그쳤다. 교육부 관계자는 "그동안 수학과 과학 중심으로 영재를 육성했는데 앞으로는 언어 영역과 정보 영역 등으로 영재 교육 영역을 다양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교육부는 올해 인문사회 분야의 국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을 개발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2014년 과학 분야 기준을, 지난해 수학 분야 기준을 개발한 바 있다. 한편, 지난해 전국 초중고교생 중 영재교육 대상자는 11만53명으로 전체의 1.8% 수준이다. 초등학생은 전체의 2.13%, 중학생은 2.35%, 고등학생은 0.84%가 영재교육 대상자였다. 이들 중 절반 이상인 55.9%가 학교에 설치된 영재학급에서 교육을 받고 있다. 교육청의 영재교육원에서는 29.7%, 대학의 영재교육원에서는 8.9%가 교육을 받고 있다. 그동안 영재교육 대상은 꾸준히 증가해 왔다. 하지만 14년 동안 영재교육의 운영성과에 대한 진단이나 평가는 없었다. 또한 영재교육 분야도 수학이나 과학에 한정되는 한계를 보였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올해부터 영재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시작하기로 했다. 또한 올해부터 국가 창의인재관리시스템을 운영해 영재학교 학생들의 이력, 연구활동 정보, 수상정보, 진학정보 등을 수집해 분석하기로 했다. 이어 내년부터 영재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사회적 기여 등을 분석하는 장기간 추적연구를 시작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