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령 무효에도 韓 증시는 '뚝'...외국인 코스피서 4100억 털어
지난 3일 밤 비상계엄 선포 사태의 여파로 국내 증시가 급락했다. 하반기 들어 두드러진 외국인 투자자 이탈 현상도 가속화될 우려가 나오고 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계엄령 선포 여파를 소화하며 전 거래일보다 1.44% 하락한 2464.00에 장을 마감했다. 오전 개장 당시 1.97% 급락한 상태로 시작하면서 시장의 우려가 커졌지만 점차 낙폭이 축소됐다. 코스닥은 전 장보다 1.91% 내린 677.59에 거래를 시작해 1.98% 떨어진 677.15에 거래를 종료했다. 이날 두 시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대부분 하락세를 보였다. 코스피는 경영권 분쟁 이슈가 있는 고려아연(8.37%), SK하이닉스(1.88%)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 떨어졌다. 이차전지주도 전반적으로 약세였는데 코스피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이 2.02%, 코스닥시장에서는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가 2.83%, 3.39%씩 하락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정치 불확실성이 경제 전반으로 확산될 것이란 우려가 투자심리에 불리하게 작용했다"며 "다만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 금융당국에서 긴급대책을 발표하면서 코스피 낙폭은 제한됐다"고 설명했다. 전날 오후 10시 30분께 윤석열 대통령은 비상계엄을 발표하고 11시부로 계엄령을 선포했다. 계엄령은 1979년 이후 45년 만에 최초다. 다만 4일 오전 4시 30분 국무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안이 의결되면서 6시간 만에 마무리됐다. 국회는 재적 의원 과반이 넘는 190명 만장일치로 계엄령 해제 결의안을 통과시켰으며, 이후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6개의 야당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공동 발의했다. 당분간은 코스피 약세 압력을 피해 가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 리스크, 경제 불확실성이 국가신용등급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그동안 한국은 무디스 기준으로 상위 세 번째인 'Aa2' 등급을 유지하고 있었는데, 해당 등급에 변화가 발생한다면 한국주식을 보는 해외 투자자의 시각도 변할 수 있다"며 "신용등급이 변동할 수 있는 상황에서 원화 약세도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어 외국인의 한국 증시 회피 현상이 이어질 수 있다"고 짚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7.2원 오른 1410.1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하반기 들어 국내 증시는 글로벌 주요 지수에 비해 부진한 성적을 내며 상승 흐름에서 소외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트럼프 리스크'까지 겹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은 14주 연속 코스피를 순매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기간에만 약 19조원을 팔아치웠으며, 이날도 코스피에서 약 4100억원을 털었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국내 자산의 매력도 약화로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이 불가피하며, 한국의 대외 신뢰도 약화도 원화의 디스카운트 요인"이라며 "단기적으로 대내외적 지수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다만 이웅찬 iM증권 연구원은 "주식시장에서도 단기적으로는 변동성 확대와 한 단계의 레벨 다운은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지만 매도 규모는 우려보다 크지 않다"며 "외국인 자금이탈 확대 가능성은 정치 리스크가 얼마나 빠르게 수습되느냐에 달려 있고, 수습이 되면 증시도 안정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