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공매도 재개'로 증시 변동성 확대...외인, 8개월 연속 순매도
공매도 재개 첫날, 국내 증시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의 대규모 순매도와 함께 대차잔고가 높은 종목들이 급락하면서 시장의 불안감이 커지는 모습이다. 증권가에서는 공매도 재개 영향이 단기적일 것이라고 보는 반면, 미국의 관세 정책은 장기적인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2시 기준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88% 급락한 2483.92를, 코스닥 지수는 2.97% 내린 673.17을 기록하고 있다. 이날 코스피에서 외국인은 1조1500억원을 팔아치우면서 8개월 연속 순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에서는 공매도 재개로 인해 외국인 투자자 유입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됐지만, 아직까지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대차잔고가 급증한 종목들이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같은 시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3.32%, 3.96%씩 하락하고 있으며, LG에너지솔루션도 장중 6% 급락세를 보였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28일 기준 코스피에서는 삼성전자의 대차잔고가 6조8131억원(1억1317만주)으로 가장 많았으며, LG에너지솔루션(3조8969억원), SK하이닉스(1조5853억원)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대차잔고는 투자자가 증권사 등에 주식을 빌리고 상환하지 않은 물량을 말하는데, 공매도 주문을 위해서는 대차거래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매도 선행 지표로 여겨진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날 재개되는 공매도는 수급적인 측면에서 일시적 주가 왜곡을 만들 수 있다"며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의 반도체, 방산 등 특정 업종의 집중 공매도로 인해 지수 충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불안감이 상존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단기적으로는 2차전지와 바이오 등 지난주 기준 대차잔고 증가율이 높은 업종들이 공매도의 타깃이 될 것이라는 심리적 불안감이 일시적 수급 변동성을 높일 수 있다"면서도 "단기적 수급 노이즈만 일으킬 뿐, 지수나 업종의 주가 방향성은 이익과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좌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2차전지주의 급락세는 코스닥에서도 두드러졌다. 코스닥 대장주인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도 같은 시간 6.86%, 11.62% 동반 하락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2차전지와 바이오 관련주의 지난주 대차잔고 증가율이 높았던 만큼 공매도 타깃으로 집중된 모습이다.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의 지난주 대차잔고는 각각 1조5344억원, 9547억원으로 가장 규모가 컸다. 이어 알테오젠(8928억원), HLB(6455억원), 삼천당제약(2212억원) 순이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공매도 재개로 인한 증시 하락세는 단기적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진짜 문제는 공매도 재개 직후 구축되는 시장 방향성과 미국의 관세 부과라는 평가다. 이웅찬 iM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재개 이후 롱·숏 자금이 유입되면서 외국인 거래비중 상승과 시장 유동성 증가가 예상되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2차전지 등 밸류에이션이 높고 대차잔고가 급증한 종목의 약세가 확대될지, 장기적으로는 코로나19 이후 강화된 모멘텀 스타일이 약화될지 여부가 중요하다"고 짚었다. 나아가 공매도보다 문제가 되는 것은 관세와 미국 경기라고 내다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월 2일 예정된 상호관세를 두고 '해방의 날'이라고 칭하며 집중하고 있는 관세 우려도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원은 "추후 협상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라고 해도 경제에 대한 영향이 작지 않을 것이고, 협상과 보복은 장기화될 수 있다"며 "4월 2일은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이벤트라기보다는 지지부진한 협상과 분쟁이 시작되는 시점으로 이해하는 것이 맞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