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자동차 생산 5년만에 글로벌 5위 탈환…"중국 약진 등 강화 필요해"
현대차 울산공장 생산라인. 한국이 지난 2016년 이후 5년 만에 글로벌 자동차 생산량 5위 자리를 탈환했다. 8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의 '2020년 10대 자동차 생산국 현황'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자동차 생산은 총 7828만9796대로 전년대비 15.5%의 감소했다. 10대 자동차 생산국은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인도, 멕시코, 스페인, 브라질, 러시아 순으로 집계됐고 10개국 모두 생산이 감소했다. 1위 중국이 2.0% 줄었고 2위 미국 19.0%, 3위 일본 16.7%, 4위 독일이 24.7% 줄었다. 5위인 한국은 11.2% 감소했지만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적어 2019년 7위에서 2020년 5위로 상승했다. 6위 인도와 7위 멕시코는 각각 24.9%, 21.2% 감소하면서 한 단계씩 순위가 하락했고 러시아는 15.7% 감소에 그치면서 2000년 이후 처음으로 10위권 내에 진입했다. 중국은 코로나19로부터의 빠르게 회복하며 생산 감소율이 2%에 그치면서 세계생산점유율이 2019년 27.8%에서 2020년 32.2%로 대폭 확대됐다. 전기동력차 생산·판매도 각각 7.5%, 10.9% 증가했다. 우리나라는 수출이 21.4% 감소했지만 내수 호조로 국산차 국내 판매가 4.7% 증가하면서 세계생산 감소율 15.5%보다 낮은 11.2%의 감소폭을 나타냈다. 특히 이로 인해 생산국 순위 5위를 탈환했고 세계생산점유율도 0.2%포인트 높아졌다. KAMA는 한국의 5위 탈환은 주로 코로나19에 의한 인도, 멕시코 등의 생산차질에 기인한 것이지만 현대차 등의 노사간 협력, 최근 스포츠유틸리티차(SUV), 고급차, 전기동력차 등 고부가가치 위주로의 자동차 산업 구조 급변 등에도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정만기 KAMA 회장은 "어려움 속에서 한국이 생산국 순위 5위를 탈환한 것은 큰 성과이나 중국 약진 등 여건변화를 감안한다면 스마트화, 고급화, 전동화 등 혁신노력은 한층 강화될 필요가 있다"면서 "정부는 과감한 규제개혁, R&D 등 경쟁력 지원 정책을 지속 확대하고, 주주, 경영층 그리고 근로자들은 한 팀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협력 경험을 축적해 가야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