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가공식품 소매시장 10.9% 증가… 지난해 코로나 확산으로 식사대용 소비 늘어
CJ제일제당 쌀가공 간편식 대표 제품들. (좌측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햇반, 햇반컵반, 비비고냉동밥, 비비고죽 /CJ제일제당 쌀 가공식품 소매시장이 매년 증가하는 가운데,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진 작년엔 식사 대용의 쌀 가공식품 소비와 비대면 채널 구입이 특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발간한 '2020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보고서: 쌀 가공식품'에 따르면, 2019년 쌀가공식품 소매시장 규모는 8840억원으로 전년 대비 10.9% 증가했다. 품목별 매출액은 가공밥이 4938억원어치 팔려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떡(1542억원), 죽류(1332억원), 쌀과자(911억원) 순으로 많이 팔렸다. 가정간편식 시장이 성장하면서 가공밥, 떡, 죽류, 쌀라면 등 주요 쌀 가공식품의 매출액이 지속 증가 추세다. 특히, 죽류는 전년 대비 매출액이 무려 50.5% 증가했고, 쌀라면(20.7%), 떡(9.4%), 가공밥(6.0%) 매출액도 크게 늘었다. 판매 채널별 점유율은 할인점(32.5%), 편의점(24.0%), 체인슈퍼(18.8%) 순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가 확산한 작년에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가공밥 등 쌀가공식품 소비 증가가 더욱 확대된 것으로 파악됐다. 소비자 9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약 80%의 응답자는 최근 3개월 이내 가공밥을 구입한 적이 있다고 답했고, 떡볶이떡(48.2%), 쌀과자(45.1%), 죽류(43.4%) 구입 경험률도 40% 이상으로 높았다. 소비자 유형별로 가공밥은 20~30대 남성과 20대 여성의 구입이 많았고, 떡볶이떡·쌀과자는 자녀가 있는 30~40대 소비자가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다. 죽류·떡국떡은 30~40대 여성층이, 쌀라면은 30대 남성과 20~30대 여성층 구입 비율이 높았다. 1년 전보다 가공밥 구입이 증가했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설문 응답자의 56.1%는 가공밥 구입이 1년 전보다 증가했다고 답했고, 떡볶이떡(24.9%), 죽류(22.3%), 쌀과자(15.7%) 등도 구입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전년대비 구입이 증가한 구입채널로는 공통적으로 온라인 쇼핑몰이 가장 많았고, 특히 가공밥(69.9%), 떡국떡(64.5%), 떡볶이떡(63.9%), 죽류(61.1%)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구입이 증가했다는 응답이 60% 이상 높게 나타났다. 쌀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식품산업통계 시스템(www.aTFIS.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