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대형마트·SSM 울고, 백화점·편의점 웃었다
서울 영등포구 '더현대 서울'에서 시민들이 주말을 보내고 있다. /사진=뉴시스 2021년 9월 기준 전년동월 대비 매출 증감률(%)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지난달 백화점과 편의점 매출은 전년대비 크게 증가한 반면, 대형마트와 SSM(준대규모점포) 매출은 급락해 희비가 교차했다. 재난지원금 사용처에서 제외된 영향이 업태별 다르게 나타난 결과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8일 발표한 2021년 9월 주요유통업체 매출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매출은 온프라인(3.3%)과 온라인(14.5%) 모두 성장세를 이어가 전년동월 대비 8.2% 상승했다. 오프라인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고 전반적인 온라인 구매 비중 확대가 지속된데다, 재난지원금 사용처에서 제외된 영향을 받았다. 대형마트(-13.3%)와 SSM(-16.1%)은 매출이 감소한 반면, 백화점(24.3%)·편의점(9%) 매출은 증가해 전체적인 성장세는 유지했다. 오프라인 매출은 올해 들어 1월(-5.8%)을 제외하고 2월(14.3%), 3월(21.7%), 4월(11.2%) 두자릿 수 증가세를 이어가다 5월부터 성장세가 둔화되는 모양세다. ◇ 백화점은 '보복소비', 편의점은 '1인가구·혼술 증가' 영향 대형마트는 특히 올해 추석 연휴가 10월2일까지 넘어가면서 추석효과가 감소했고, 점포수도 397개에서 386개로 11개 감소한 영향을 받았다. 재난지원금 사용으로 대형마트·SSM에서 재래시장·중소슈퍼·편의점으로 소비가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대형마트 매출은 스포츠(5.1%), 기타(8.1%)를 제외한 전 상품군에서 하락했다. SSM 역시 점포수가 1158개에서 1113개로 줄었고, 재난 지원금 사용처 제외, 온라인 유통의 성장에 따라 전 품목 매출이 감소했다. 반면, 백화점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보복소비, 홈코노미 트랜드의 지속, 골프 장비 등 스포츠 장비 매출 성장으로 큰 폭의 성장을 이어갔다. 실제로 백화점은 품목별로 해외유명브랜드(38.1%), 아동/스포츠(36.9%), 가정용품(17.4%)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편의점의 경우는 주류·안주류 매출 증가, 1인 가구 추석 비귀성 인구 증가 등으로 음료 등 가공(14.1%), 생활용품(11.5%) 상품군 매출이 상승하며 전체 매출이 올랐다. ◇ 코로나 장기화 → 온라인 장보기 보편화 코로나19가 지속되며 온라인 장보기가 보편화됐고, 온라인 부문 매출의 25.6%를 차지하는 식품군 등의 지속 성장으로 온라인 매출 증가세는 이어졌다. 올해 들어 지난 2월(5.5%)을 제외하고 모두 두 자릿 수 성장세다. 추석특수로 인한 생활가전·식품 등 각종 선물 상품의 특가행사 등에 따른 식품(17.1%), 가전/전자(9.6%), 화장품(19.9%) 등의 매출이 증가했고, e쿠폰 관련 상품 등의 지속적인 판매 호조와 여행상품 판매 증가로 서비스/기타(44.9%) 매출 성장이 지속됐다. 반면, 아동/유아(-0.6%) 상품군은 8개월 연속으로 매출이 줄었다. 온라인 부문 매출 비중은 2.5%포인트 증가한 46.1%, 오프라인 부문은 2.5%포인트 감소한 53.9%를 기록했다. 백화점(2.3%p)·편의점(0.2%p) 비중은 증가한 반면, 대형마트(-4.1%p)·SSM(0.9%p) 비중은 줄었다.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