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
기사사진
BNK자산운용, 주식형 펀드 중장기 수익률 1위

BNK자산운용이 일반 주식형 펀드와 중소형 펀드가 3년 수익률 부문에서 국내 자산운용사 가운데 1위를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일반 주식형 펀드는 5년 수익률도 국내 자산운용사 중 1위를 차지했다. 지난 1일 제로인 펀드닥터에 따르면 주식형 공모펀드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BNK자산운용이 운용하는 일반 주식형 펀드와 중소형 펀드의 3년 수익(2024년 7월 말 기준)은 각각 4.86%, 32.86%를 기록했다. 이는 유형 평균 수익률을 각각 10.31%포인트, 39.81%포인트 상회하는 것으로, 국내 자산운용사 수익률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5년 수익률은 87.94%으로 유형 평균 수익률 49.2%을 38.74%포인트 상회했다. BNK자산운용은 지난 2017년 BNK금융그룹의 완전 자회사로 편입된 BNK자산운용은 2021년 리서치센터를 신설하며 더블 매트릭스체계 등 시스템에 기반한 운용체계를 완성했다. BNK자산운용의 펀드매니저와 애널리스트들은 국내기업 외에도 관련 해외기업들에 대한 데일리 시황 등 글로벌 매크로 상황과 개별기업 동향 점검, 반기 및 산업별 테마 선정과 업황점검을 통해 중장기 성장모멘텀을 보유한 기업을 발굴하고 있다. 더불어 BNK자산운용 주식운용본부의 수탁고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삼성증권 등 리테일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자문형 랩 상품을 선보인 이후 우수한 성과를 시현하며 꾸준하게 자금이 유입되는 모습이다. BNK튼튼코리아증권투자신탁, BNK삼성전자중소형증권투자신탁 등으로 대표되는 기존 주식형 공모펀드도 주목되고 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8-11 17:15:45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대폭락한 美증시에 '주식 이민' 줄어…'빅이벤트' 향방 중요해

미국 증시가 '미국발 R(Recession·경기침체)의 공포'로 롤러코스터를 탄 지난 한 주 동안 미국 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의 움직임이 조심스러워지고 있다. 이달 중 예정된 기업들의 실적과 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지표 등이 향후 미국 증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주시하는 분위기다. 11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따르면 가장 최근 데이터인 지난 8일 기준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보유금액은 약797억9915만달러6500달러(약109조56억4777만원)로, 한달 전 약925억6549만7300달러(약126조 4444억 6900만원)보다 13.81% 감소했다. 같은 기간 매수건수와 매도건수는 8월이 7월보다 3만건 가량 많았다. 특히 미국 주식 매도규모가 매수규모보다 큰 경우는 근소한 차이지만 올해 들어 이번달에 처음 생긴 일이다. 8일 집계된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 매도금액은 약34억 94만달러(약4조6456억8404만원)으로 매수금액 약29억2044만달러(약3조9893억원)보다 많았다. 이러한 움직임은 연초부터 연일 최고점을 경신하며 투심을 모으던 미국증시에 '빅테크 거품론'과 'R의 공포'가 겹치면서 미국 증시가 급락한 여파로 풀이된다. 지난 2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나스닥지수는 7월10일 기록했던 고점(1만8647.45) 대비 10% 이상 하락한 1만6745.30을 기록한 바 있다. 이날은 3대 지수는 물론 3대 지수가 떨어졌을 때 상승했던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지수도 전일보다 3.52% 하락한 2109.31에 장을 마쳐 글로벌 증시 급락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미국 증시는 지난 일주일 동안 등락을 거치며 일부 회복한 모양새다. 그럼에도 다시 폭락할 수 있다는 불안감은 여전하다. 미국 증시의 향방을 읽기 위한 투자자들의 시선은 이제 증시에 영향을 미칠 각종 통계발표로 쏠리고 있다. 미국의 소매지표를 나타내는 발표들이 시장예상치나, 그 이상을 기록하면 경기 침체를 피할 수 있다는 분위기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결정 기준이 되는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3일과 14일 연이어 발표된다. 다만, CPI가 소폭 상승해도 오는 9월 금리를 인하할 거라는 기대감에는 큰 영향을 못 미칠 거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르면 다음 9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논의할 수 있다"며 "경제가 기준금리를 낮추기에 적절한 지점에 근접하고 있다는 게 FOMC의 대체적인 인식"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 밖에도 미국 소비심리를 볼 수 있는 홈디포(현지시간 13일), 월마트(15일), 타겟(16일) 등 미국 주요 소매업체들이 실적들이 발표를 앞두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이 부진한 실적을 내면 경기침체 우려가 커진 것으로 해석한다.

2024-08-11 17:15:14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이엔셀, 공모가 '밴드 최상단'...수요예측 경쟁률 949대 1

코스닥 상장을 추진 중인 이엔셀이 공모가를 1만5300원으로 확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GT CDMO) 및 신약 개발 전문기업 이엔셀은 지난 2일부터 8일까지 총 공모주식수 156만6800주의 72%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물량 112만8096주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했다. 국내외 기관의 참여 건수는 2106건으로, 총 10억7089만주가 접수됐다. 경쟁률은 949대 1로 나타났다. 전체 참여 기관의 99.7%(가격 미제시 포함)가 희망공모밴드 상단 이상의 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 중 상단을 초과한 가격을 제시한 비율은 43.8%에 이른다. 이에 회사 측은 공모가를 희망공모밴드(1만3600~1만5300원) 최상단인 1만5300원으로 확정했다. 확정 공모가 기준 이엔셀의 총 공모금액은 240억원이며, 이에 따른 상장 후 예상 시가 총액은 1431억원 규모다. 회사는 12일~13일 양일간 일반 공모청약을 거친 뒤 이달 23일 코스닥 시장에 입성할 계획이다. 장종욱 이엔셀 대표이사는 "당사의 CGT CDMO 및 세포·유전자치료제 신약개발 기술력과 타깃 시장의 잠재력을 믿고 수요예측에 적극 참여해 주신 투자자분들께 감사드린다"며 "이번 코스닥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을 GMP 제4공장 건설, 샤르코-마리-투스병(CMT) 임상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 2018년 설립된 이엔셀은 CGT CDMO 사업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을 확보하고, 이를 세포·유전자치료제 신약 개발에 재투자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조 및 품질관리(GMP) 최적화 기술로 국내 최대의 다품목 CGT CDMO 트랙레코드를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안정적으로 수주 중이다. CDMO 사업의 누적 매출은 242억원, 누적 수주 금액은 380억원에 달한다. 현재 글로벌 대형 제약사 노바티스와 얀센 등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8-11 16:44:32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전진건설로봇, 일반 청약 결과 발표…1087.3대 1 경쟁률 기록

콘크리트 펌프카 전문기업 전진건설로봇이 8일~9일 양일간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을 실시해 1087.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른 청약증거금은 약 8조28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진건설로봇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5일까지 5일간 진행한 수요예측에서 국내외 2047개 기관이 참여해 경쟁률 870.16대 1을 기록하며, 공모가를 밴드 상단 초과인 1만6500원에 확정한 바 있다. 상장을 주관한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청약에 참여한 많은 투자자분가 전반적인 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전진건설로봇의 안정적인 사업 구조 및 수익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진건설로봇은 이번 상장 공모자금을 생산 설비의 대형화와 자동화에 투자해 콘크리트 펌프카 생산 능력을 확대한다. 또한 신규 사업인 ▲친환경 하이브리드 모델 개발 ▲스마트 로봇 CPC 개발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고현국 전진건설로봇 대표이사는 "상장 후에도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주주 가치 실현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진건설로봇은 오는 13일 납입을 거쳐, 19일 코스피 상장 예정이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08-11 16:44:00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대형 증권사 상반기 호실적 기록…1조 클럽 기대감↑

올 상반기에 대형 증권사들이 호실적을 기록하면서 지난해 고금리와 부동산 관련 충당금 적립 등으로 나오지 않았던 증권사 1조클럽이 올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상위 5대 증권사의 올 상반기 영업이익은 3조322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29%가량 증가했다. 업체별로 보면 한국투자증권은 전년동기 대비 73.5% 증가한 7752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 상반기에 가장 많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도 전년동기 대비 64.9% 증가한 7109억원에 달한다. 이에 따라 올해 한국투자증권의 1조 클럽 달성은 무난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조아혜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충당금 부담이 완화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금융(IB) 부문의 사업이 재개됨에 따라 실적 개선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삼성증권은 전년 동기 대비 23.7% 증가한 6708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2위를 차지했다. 당기순이익도 26% 늘어난 5110억원을 달성했다. NH투자증권은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5457억원을, 미래에셋증권은 24% 늘어난 5438억원을 기록했다. KB증권은 8%가량 증가한 4967억원으로 집계됐다. 대형 증권사의 호실적은 국내외 증시 거래대금 증가로 위탁매매(브로커리지)와 자산관리(WM) 부문의 수수료수익이 커진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한국투자증권의 경우, 개인 고객 금융상품 잔고가 반년 새 53조4000억원에서 62조6000억원으로 크게 늘어나며 실적 상승을 견인했다. 매달 1조5000억원 이상의 신규 자금이 리테일을 통해 유입됐다. 삼성증권은 지난 1분기 313조9000억원이었던 리테일 1억원 이상 고액의 자산 규모가 이번 분기에 319조7000억원으로 증가했으며, 고객 수도 26만명에서 26만5000명으로 늘어난 것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견인했다. NH투자, 미래에셋, KB증권도 WM, 브로커리지 부문에서 고른 성장세를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 한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미국 증시 강세로 고액 자산가들의 해외주식 등 글로벌 상품에 대한 투자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업계 빅5 증권사들의 30억원 이상 초고액 자산가수도 1만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속 증시 조정과 중동발 지정학적 갈등, 미국 대선 불확실성 등이 증권사 실적에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나 미국발 금리 인하가 본격화된다면 증권사들의 실적 개선세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증권 업황에 드러날 악재는 거의 다 드러났기 때문에 현 상황에서 증권사 수익성이 추가로 더 악화될 가능성은 그렇게 높지 않다"면서 "금리가 이제 떨어지는 속도에 따라서 증권사의 수익성이 일정 부분 완만하게 개선되는 쪽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2024-08-11 16:19:50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metro관심종목] 성장세 '탄탄' 셀트리온, '짐펜트라' 기대감에 목표가 줄상향

셀트리온의 고마진 신약 '짐펜트라'의 판매실적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실적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7일 셀트리온이 2분기 최대 실적을 발표한 이후 증권가에서 제시된 목표주가는 24만원에서 27만원 사이로 집계됐다. 마지막 거래일 기준 셀트리온의 주가는 19만6000원이다. 실적 발표 직후였던 8일 전 거래일보다 8.24% 급등한 수준이지만 시장에서는 상승 여력이 남아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기관은 이날 당일에만 730억3321만원을 순매수했으며, 이후로도 순매수세를 유지하고 있다. 김혜민 KB증권 연구원은 "후속 제품(베그젤마·유플라이마·짐펜트라·램시마SC) 중심의 성장세와 하반기에 쏠려 있는 짐펜트라에 대한 모멘텀이 존재한다 "며 기존 26만원이었던 목표주가를 27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증권사들이 제시한 목표가 중 가장 높다. 셀트리온의 올해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66.9% 상승한 8747억원을 기록하면서 시장예상치를 7.8% 상회했다. 영업이익은 725억원으로 시장 컨센서를 부합했다. 호실적의 주요 원인으로는 ▲바이오 제품의 기존·후속 제품의 성장(전년 동기 대비 각각 47.8%, 77.4% 증가) ▲유럽 내의 직판 효과 극대화 ▲핵심 시장인 북미 지역 내 인플렉트라 판매 호조 및 후속 제품 매출의 증가(전년 동기 대비 36.3% 증가) 등이 꼽혔다. 김 연구원은 "2분기 실적 내 짐펜트라의 매출액이 22억원으로 미미해 보일 수 있으나, 출시 후 5개월이라는 기간에 약 75%의 커버리지를 확보했다는 점은 고무적"이라며 "보통 등재되고 환급까지 3개월의 기간이 소요된다. 하반기로 갈수록 짐펜트라를 처방받고자 하는 환자 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주력 제품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짐펜트라의 매출 기여도도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셀트리온은 지난 6월 간담회에서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 등재 이전 확보한 환자 수는 1800명이며 6월까지 처방 환자 수 목표를 만명으로 제시한 바 있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도 "셀트리온은 방어주이면서 성장주"라며 "경기 침체에는 가격이 저렴한 바이오시밀러 매출이 증가가 가능하며, 고마진 신약 짐펜트라의 출시로 수익성 개선과 성장 또한 도모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짐펜트라의 본격적인 실적 성장 수치 확인은 2025년으로 예상했다. 다만 이외에도 하반기 3공장 가동, 기업인수가격배분(PPA) 상각비 감소, 고마진의 후속 제품 매출 비중 증가 등 수익성 개선 요소가 남아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목표주가를 25만원으로 상향했으며, 이외에도 iM증권(26만원), 교보증권(25만원) 등이 목표가를 올려잡았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8-11 14:36:23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대신증권, 2년 동안 '성장성 추천' 기술특례상장 주관 제한

기술특례 절차로 코스닥시장에 입성한 시큐레터가 상장폐지 위기에 처한 가운데 시큐레터의 주관사 대신증권이 향후 2년 동안 기술특례상장 주관에 제한을 받게 됐다. 대신증권이 2026년까지 기술특례 '성장성 추천' 방식의 상장에 제한을 받게 된다. 기술특례 절차로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사이버 보안 전문 기업 '시큐레터'가 8개월만에 상장폐지 위기에 놓이면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거래소는 대신증권에 기술특례상장 주관 자격을 제한하는 패널티를 부과했다. 기술평가특례 방식의 상장은 가능하다. 기술성장기업의 성장특례는 '기술평가 특례'와 '성장성 추천' 방식으로 나뉜다. 영업실적은 미미해도 기술력과 성장성을 갖춘 기업이 전문평가기관의 A, BBB 이상의 기술평가를 받거나(기술평가 특례), 상장주관사 추천(성장성 추천)으로 상장 가능하다. 성장성 추천은 상장 주선인이 직접 기업의 성장성을 평가해 추천하는 방식이다. 기술평가 특례보다 증시 입성의 문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게 평을 받는다. 대신증권은 이번에 한국거래소로부터 제재를 받으면서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는 예비 상장사 입장에서는 선택지가 하나 줄어들게 됐다. 앞서 시큐레터는 지난해 8월 24일 기술특례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했지만 올해 3월 외부감사인으로부터 '2023사업연도 재무제표'에 대해 감사범위 제한으로 인한 '거절'을 받았다. 이에 한국거래소는 시큐레터를 관리종목으로 지정하고 지난 4월 5일부터 매매를 정지했다. 시큐레터가 코스닥시장에 상장한지 7개월 만이다. 한편 한국거래소 규정상 감사의견 거절은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한다.

2024-08-09 23:57:15 허정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