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기사사진
쌍용차, KG컨소시엄과 조건부 투자계약 체결…에디슨모터스 가처분신청 기각

쌍용자동차전경 쌍용자동차가 18일 서울회생법원의 허가를 받아 공고 전 인수예정자로 선정된 KG컨소시엄과 조건부 투자계약을 체결했다. KG컨소시엄은 특수목적법인(SPC)인 KG모빌리티, KG ETS, KG스틸, KG이니시스, KG모빌리언스 및 켁터스 PE, 파빌리온 PE로 구성됐다. 쌍용차는 지난 5월 13일 한국거래소의 개선기간 부여 결정 및 경영능력이 검증되고 자금력이 풍부한 KG컨소시엄과의 조건부 투자계약 체결로 M&A 성공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 하게 됐다. 특히 공고 전 인수예정자 선정 시 인수대금의 규모 외에도 인수 후 운영자금 조달계획과 능력을 중요한 선정기준으로 평가한 만큼 M&A가 성공적으로 마무리 될 경우 회사는 회생을 넘어 재도약 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쌍용차 관계자는 "이르면 다음 주부터 공개매각 절차를 개시할 예정"이라며 "제한적 경쟁입찰에 참여했던 다른 기업들도 불필요한 법적 분쟁을 지양하고 공개매각 절차에 참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중앙지방법원은 5월 17일 에디슨모터스가 제기한 계약해제 효력정지 등 가처분 및 재매각 절차 중지 가처분 신청을 모두 기각했다.

2022-05-18 17:18:45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꽃가루 알레르기 걱정' 볼보, 초미세먼지·꽃가루 차량 유입 막는 기술 국제 인증 획득

볼보자동차 최신 공기 정화 기술인 '어드밴스드 공기청정' 기능. 볼보자동차가 입자가 큰 먼지부터 초미세먼지와 꽃가루 등을 정화시켜주는 기술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차량에 유입되는 외부 이물질을 완벽 차단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볼보자동차는 최신 공기 정화 기술인 '어드밴스드 공기청정' 기능이 국제인증기관 ASL과 오스트리아의 독립 연구·시험기관 OFI 등 두 곳으로부터 높은 공기 정화 기술력을 검증 받았다고 18일 밝혔다. '어드밴스드 공기청정' 기능은 미세 부유입자, 배출 가스 등의 오염물질이 캐빈 필터를 통해 차량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전자동 시스템이다. 합성 섬유 기반 필터를 사용하며 이온화 기능을 갖추고 있어 실내 유입 공기에 포함된 가장 유해한 입자인 초미세먼지(PM 2.5)를 최대 95%까지 제거해 준다. 먼저 ASL 테스트에서는 '어드밴스드 공기청정' 기능이 외부 유입 공기 내 풀, 나무, 잡초 꽃가루 알레르기 항원을 최대 99.9% 제거함으로써 천식/알레르기에 도움이 되는 제품으로 인증 받았다. ASL은 소비자들이 천식·알레르기 환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품을 식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독립적 인증기관이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알레르기기구(WAO)에 따르면 알레르기, 천식, 대기오염은 전 세계 수억 명의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볼보자동차는 더욱 개선된 차내 공기 질을 제공하는 첨단 공기 정화 기능을 최신 차량에 적용함으로써 사람들이 보다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돕고 있다. 볼보자동차는 깨끗한 공기가 개인의 건강과 안전에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고 믿고 있으며, 향후 차량 개발 시 이러한 부분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또 '어드밴스드 공기청정' 기능은 차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 바이러스를 97% 이상 제거하고, 차내 기존 바이러스 농도를 최대 95%까지 제거해준다. 볼보자동차의 탑승자 건강 영향 전문가인 마리아 베르난데르 박사는 "우리는 고객들이 볼보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개선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대기 오염, 알레르기, 미세먼지와 관련된 건강상의 악영향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연구에 따르면 깨끗한 공기는 개인 건강상의 이점 외에도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등 운전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해 준다"고 강조했다. 한편 볼보자동차는 향후 자체 개발한 앱을 통해 전 세계 자동차 제조업체 중 최초로 운전자에게 실시간 실외 꽃가루 수치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차량 중앙 디스플레이에 실제 실외 꽃가루 농도와 차내 공기 질 수준이 실시간으로 표시돼 운전자가 실내 공기 정화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볼보자동차코리아는 2020년 9월 국내 출시한 스웨디시 럭셔리 플래그십 세단 S90을 시작으로 자사 주요 모델인 XC90, V90CC, XC60, V60CC, S60 등에 초미세먼지를 걸러주는 PM 2.5 센서 및 미립자 필터가 추가된 '어드밴스드 공기청정' 기능을 선보이고 있다.

2022-05-18 17:12:43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현대차그룹, 전기차 퍼스트무버 도약 드라이브…'국내 대규모 개발· 생산기지 구축'

현대차 울산공장 아이오닉 5 생산라인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판도를 이끄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선도자)'로 도약에 드라이브를 건다. 현대자동차·기아는 2030년까지 21조원을 투자해 국내 대규모 전기차 생산 기지를 구축한다. 이를 통해 올해 35만대로 예상되는 국내 전기차 연간 생산량을 2030년 144만대까지 대폭 확대한다. 대규모 투자를 통해 국내 전기차 생태계를 고도화하면서 글로벌 미래차산업을 선도하는 허브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18일 현대차·기아에 따르면 2030년까지 국내 전기차 분야에 투자하는 21조원은 전기차 생산 능력 확충과 전용 전기차 라인업 다양화, 부품·선행기술 개발, 인프라 조성, 신사업을 모색하는 전략제휴 등에 활용된다. 이를 통해 2030년에는 현대차·기아 글로벌 전기차 생산목표 323만대의 45%에 달하는 144만대를 국내에서 생산한다. 특히 기아는 기아 오토랜드 화성을 미래 자동차 혁신 거점으로 지정하고 국내 최초 신개념 PBV 전기차 전용공장 'EV 트랜스포메이션'을 구축한다. PBV 전기차 전용공장은 약 2만평의 부지에 수천억원 규모를 투입해 2023년 상반기 착공, 2025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양산 시점에 연간 10만대 생산 능력을 확보하며 향후 시장 상황에 맞춰 최대 15만대까지 확장한다. 국내 전기차 생산-연구개발-인프라-연관산업 등의 선순환도 이끈다. 현대차·기아는 먼저 국내 전기차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PBV 전기차 전용공장 신설과 함께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혼류 생산 시스템 점진적 구축, 기존 공장의 전기차 전용 라인 증설 등을 추진한다. 전기차 생산 혁신과 최적화 차원에서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의 유연 생산 시스템, 맞춤형 물류 시스템, 디지털 제조 시스템 등을 국내 공장에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협력사와 함께 국내 기술 개발도 활성화한다. 이를 통해 전용 플랫폼 제품 라인업 다양화, 전기차 성능의 핵심인 배터리와 모터 등 PE 시스템 고도화, 1회 충전 주행거리 증대 기술 개발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통합 상품성을 강화한다. 아울러 2025년 도입하는 승용 전기차 전용 'eM' 플랫폼을 비롯해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 체계 하에서 차급별 다양한 전용 플랫폼들을 순차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기아 오토랜드 화성 EV6 생산 라인 현대차그룹은 미래 기술·인프라 등 전기차 산업 생태계 고도화에도 집중한다. 현대차그룹은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 개발 및 제품 라인업 확대, 핵심 부품 및 선행기술 개발, 연구시설 구축 등 연구개발을 위한 대규모 투자도 진행한다. 전기차 보급의 핵심 기반인 전기차 충전 솔루션, 고객 서비스 등 인프라 부문도 강화한다. 특히 전기차 고객의 충전 편의 극대화와 충전 네트워크의 지속 확장을 위해 초고속 충전 인프라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3월 전기차 초고속 충전 브랜드 '이피트'를 출범시켰고, 올해 4월에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E-CSP)을 론칭했다. 또 롯데그룹-KB자산운용 등과 전기차 초고속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한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최대 200kW급 충전기를 임대하는 사업 모델을 개발하며, 2025년까지 전국 주요 도심에 초고속 충전기 5000기를 설치한다. 전기차 관련 광범위한 전략제휴도 모색한다. 배터리, 충전, 수명이 다한 배터리를 에너지 저장 장치로 활용하는 UBESS 등의 영역에서 국내외 파트너들과 함께 신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의 판도를 바꾸는 '게임 체인저'이자 '퍼스트 무버'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 현대차그룹은 2030년까지 총 31종(현대차18종, 기아 13종)의 전기차를 출시하고 총 323만대의 전기차를 판매해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약 12% 수준의 점유율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태생기를 넘어 본격적인 주도권 경쟁이 시작됐다"며 "현대차그룹은 대규모 국내 투자와 연구개발로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물결에 민첩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현대차-기아 초고속 충전 인프라 이피트(E-pit)

2022-05-18 15:26:36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한국타이어, 초고성능 타이어 '벤투스 슈퍼 스포츠' 품질 자신감…품질 불만족시 환불까지

한국타이어 벤투스 슈퍼 스포츠 상품군 3종.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가 초고성능 타이어 '벤투스 슈퍼 스포츠' 신상품 출시를 기념해 보증 프로그램과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에 출시한 신상품 3종은 ▲벤투스 S1 에보 Z AS(Ventus S1 evo Z AS) ▲벤투스 S1 에보 Z AS X(Ventus S1 evo Z AS X) ▲벤투스 S1 에보 Z(Ventus S1 evo Z) 등 최고 등급의 초고성능 타이어다. 벤투스 S1 에보 Z는 포르쉐 파나메라와 BMW의 X3 M, X4 M에 신차용 타이어(OE)로 공급되며 성능을 입증했다. 벤투스 S1 에보 Z AS와 벤투스 S1 에보 Z AS X는 국내 시장 환경에 맞게 사계절용으로 개발돼 젖은 노면과 눈길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벤투스 슈퍼 스포츠 30일 해피 보증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해당 신상품 4개 구매 후 성능이나 품질이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 구매일로부터 30일 내에 장·탈착비 제외한 전액을 환불해주는 프로그램이다. 한국타이어는 "이번 프로모션은 상품 품질에 대한 자신감"이라며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운영되는 보증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또 오는 6월 30일까지 '벤투스 슈퍼 스포츠 론칭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신상품 4개 구매 시 모바일 상품권 7만원, 7월 15일까지 사용 후기 작성 시 모바일 상품권 3만원이 추가 제공돼 최대 10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우수 사용 후기를 추첨해 총 6명의 고객에게 해외여행상품권 300만원, 국내여행상품권 150만원, 르네블루 바이 워커힐 호텔 숙박권 등 경품도 제공한다.

2022-05-18 13:56:28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BMW코리아 미래재단, 인천관광공사와 친환경 에너지 활용 확대 위한 업무협약 체결

17일 업무 협약식에 참여한 BMW 코리아 미래재단 고흥범 사무국장(왼쪽)과 인천관광공사 유시경 본부장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BMW 코리아 미래재단이 지난 17일 인천관광공사와 친환경 에너지 활용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BMW 코리아 미래재단이 운영하는 이동식 에너지 저장소 '넥스트 그린 투-고'를 활용, 인천 지역사회 내 친환경 에너지 사용 확대를 위한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인천 영종도 BMW 드라이빙 센터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인천관광공사 유시경 본부장, BMW 코리아 미래재단 고흥범 사무국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BMW 코리아 미래재단은 향후 넥스트 그린 투-고를 활용해 인천관광공사 주관 공익행사에 참여해 친환경 전력을 제공하고, 전기차 배터리를 활용한 이동식 에너지 저장소와 관련된 교육을 제공하는 등 지역사회와 공공의 이익에 기여할 방침이다. 고흥범 BMW 코리아 미래재단 사무국장은 "인천관광공사와 상호 협력을 통해 인천시와 협업할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인 방안이 마련돼 뜻깊다"며 "향후 적극적인 넥스트 그린 투-고 활용을 통해 공익에 기여하며, 환경 보호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책임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2-05-18 13:56:27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폴스타, 연례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표…차량 한대당 온실가스 배출 6% 감축

디자인과 상품성이 업데이트된 폴스타 2 신규컬러 주피터. 스웨덴의 전기차 브랜드 폴스타가 18일 연례 지속가능 보고서에서 2021년 동안 판매한 차량 한 대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6% 감출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폴스타는 기업의 성장과 기후 중립 목표가 양립할 수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공개하고 있다. 폴스타는 2020년부터 2030년 사이에 판매될 차량 한 대당 탄소 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이고, 2030년까지는 진정한 의미의 기후 중립 자동차 생산, 2040년까지 모든 가치 사슬(Value chain)에 있어 기후 중립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폴스타는 나무를 심는 것으로 탄소 배출을 상쇄하는 소극적인 노력에서 벗어나 원자재 채굴부터 소재 가공, 제품 생산과 소유 등 자동차 생애 주기 동안 탄소 발생을 없애 2030년까지 완전한 기후 중립 자동차를 만들겠다는 '폴스타 제로 프로젝트(Polestar 0 project)'를 발표한 바 있다. 토마스 잉엔라트 폴스타 CEO는 "10년, 20년 전에 세운 오래된 목표는 게으름을 유발할 수 있다. 변화와 개선은 지금 당장, 그리고 항상 일어나야 하며 이것이 폴스타가 매년 연례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발표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폴스타의 지속가능성 책임자 프레드리카 클라렌은 "측정할 수 있는 문제는 해결할 수도 있다"며 "지속가능성 보고서는 폴스타가 추구하는 투명성의 핵심이며 연례 보고서를 통해 목표를 향한 폴스타의 방향성을 주시하고 선언한 바를 실천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폴스타는 2021년에 4가지 전략적 지속가능성 영역인 ▲기후 중립성 ▲투명성 ▲순환성 및 포용 분야에 전문 책임자를 임명하고 글로벌 임직원들과 함께 지속적인 참여와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또 유엔(UN)의 이산화탄소 배출 제로화 캠페인인 레이스 투 제로에 동참하고 있으며 캠페인의 공인 파이트너이자 2030년까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이겠다고 선언한 과학 주도 부문 협력 동맹인 지수 로드맵 이니셔티브에 가입한 최초의 자동차 브랜드이다.

2022-05-18 13:56:25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국내 대형 SUV 시장 절대 강자 팰리세이드…부분변경 통해 '몸집·성능↑' 원톱 굳히기

현대차 더 뉴 펠리세이드 전측면/양성운 기자 현대자동차 플래그십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팰리세이드가 3년 5개월 만에 부분변경(페이스리프트)을 통해 한층 진화했다. 패리세이드는 지난 2018년 말 국내 시장에 출시된 이후 매년 5만대 이상 판매되며 대형 SUV 시장의 절대 강자로 군림해왔다. 이번 페이스리프트로 공간성과 첨단기능을 추가하는 등 국내 패밀리 SUV 강자로서의 입지를 더욱 단단히 굳힌다는 구상이다. 현대차 더 뉴 팰리세이드 실내 모습/양성운 기자 ◆ 年 평균 5만대 대형 SUV 강자 1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팰리세이드는 국내 출시 후 매년 5만대 이상 판매되며 지금도 몇 달은 기다려야 받을 만큼 '없어서 못 파는 차'로 주목받았다. 당시 기아 모하비와 쌍용차 G4렉스턴이 대형 SUV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었지만 팰리세이드의 인기는 예상보다 뜨거웠다. 팰리세이드의 연도별 내수 실적은 2019년 5만2290대, 2020년 6만4791대, 2021년 5만2338대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이번에 출시한 팰리세이드 부분변경 모델로 인기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더 뉴 팰리세이드는 기존보다 여유로운 실내 공간과 첨단 안전·편의 사양을 적용했다. 외관 변화의 핵심은 전면부다. 파라메트릭 실드 디자인이 적용된 그릴은 면적이 넓어지면서 강인한 이미지를 풍긴다. 내장은 하이테크 감성이 짙게 느껴진다. 실내 변화 포인트는 고화질 12.3인치 디스플레이부터 일체형 슬림 에어밴트, 터치형 공조장치를 적용했다. 전장(길이)은 기존 4980㎜보다 15㎜ 더 긴 4995㎜로 한층 여유로운 공간성을 확보했다. 주요 편의·안전 사양으로는 ▲고속도로 주행보조 2(HDA 2) ▲지능형 속도 제한 보조(ISLA) ▲후방 주차 충돌 방지 보조(PCA-R)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RSPA) ▲전방 충돌 방지 보조(FCA) 등이 추가된다. 이 외에도 전동식 스티어링 휠, 2열 통풍시트, 후방 주차충돌방지 보조, 3열 열선 시트 등 신규 안전·편의사양이 탑재된다. 이들은 옵션 사양으로 추가 가격을 지불해야 한다. 가격은 이전 모델대비 200만원 이상 인상됐다. 신형 팰리세이드는 가솔린 3.8, 디젤 2.2 모델로 출시된다. 가격은 개별소비세 3.5% 기준 가솔린 3.8모델 ▲익스클루시브 3867만원 ▲프레스티지 4431만원 ▲캘리그래피 5069만원, 디젤2.2 모델 ▲익스클루시브 4014만원 ▲프레스티지 4578만원 ▲캘리그래피 5216만원이다. 가격은 이전 모델 대비 가솔린 모델은 261만~445만원, 디젤 모델은 258만~442만원 올랐다. 현대차 더 뉴 팰리세이드 실내 모습/양서운 기자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을 담다 현대차는 신형 팰리세이드 출시를 기념해 19일부터 다음달 6일까지 서울 종로구 익선동에서 특별 전시공간 '팰리세이드 하우스'를 운영한다. 팰리세이드 하우스는 팰리세이드가 추구하는 여유롭고 고급스러운 가치를 국내 톱 라이프스타일 아티스트와 함께 예술적 언어로 전달하는 공간이다. 팰리세이드 차량이 전시된 '갤러리'와 팰리세이드에서 느낄 수 있는 여유로움과 긍정적인 경험을 담은 공간 '페르소나 룸'으로 구성된다. 페르소나 룸 방문을 원하는 고객은 현대차 홈페이지나 네이버 예약을 통해 사전 예약할 수 있다. 팰리세이드가 전시된 갤러리는 예약없이 누구나 관람 가능하다. 또 현대차는 팰리세이드 하우스 방문 고객과 더 뉴 팰리세이드 계약 및 출고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팰리세이드 하우스 예약방문 고객에게 커피와 기념품을 제공하고 SNS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 중 추첨을 통해 하우스 케이크 등 다양한 선물을 증정한다. 더불어 현대 프리미엄 아울렛 송도점과 대전점에 더 뉴 팰리세이드를 특별 전시할 계획이며, 6월 11일부터 12일에는 더 뉴 팰리세이드 계약 및 출고 고객과 기존 현대차 SUV 출고 고객 중 약 100팀을 선정해 '캠핑 초청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넓은 실내 공간과 새롭게 추가된 하이테크 편의사양으로 운전자와 탑승자 모두 편안하고 안전한 프리미엄 드라이빙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며 "더 뉴 팰리세이드는 고객들에게 만족스럽고 여유로운 라이프를 제공하는 최고의 차량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 더 뉴 팰리세이드 엔진룸/양성운 기자

2022-05-18 13:55:21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더클래스 효성, 가정의 달 맞이 프로축구 관람 행사

더클래스 효성은 가정의 달을 맞아 고객을 초청해 FC 서울 경기를 관람하는 행사를 열었다./더클래스 효성 메르세데스-벤츠 공식 딜러 더클래스 효성이 가정의 달을 맞아 고객 행사를 제공했다. 더클래스 효성은 8일과 15일 서울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FC 서울 경기에 고객 가족 2팀을 초청했다. 더클래스 효성은 지난 4월 FC 서울과 공식 파트너십을 기념하는 의미로도 이번 행사를 준비했다. 파트너십 체결 기념 이벤트와 차량 출고 고객을 대상으로 사연 모집 이벤트를 통해 당첨된 고객을 초청했다. 더클래스 효성은 출고 고객을 위해 마련하는 25인승 리무진 버스 '스타크루저'도 지원했다. 미니바와 안락한 인테리어 등으로 초청 고객을 자택부터 경기장까지 의전했다. 경기장 4층 스카이박스 전용석에서는 호텔식 케이터링 서비스도 제공했다. FC 서울 소속 선수들이 직접 방문해 싸인볼을 선물하고 포토타임도 가졌다. 더클래스 효성 관계자는 "때마침 가정의 달에 개최된 FC서울의 경기에 고객들이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을 보내실 수 있도록 뜻깊은 자리를 선물하게 되어 기쁘다"며 "앞으로도 고객들에게 바쁜 일상에서도 새로운 활력과 가치 있는 경험을 선사할 수 있도록 더클래스 효성만의 차별화된 혜택과 이벤트를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

2022-05-18 13:27:40 김재웅 기자
기사사진
현대차그룹, 모바일 로봇 개발 생태계 구축 가속화

17일 경기도 의왕에 위치한 현대차그룹 의왕연구소에서 '현대차그룹-에스오에스랩, 모바일 로봇용 라이다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식'에서 현대차그룹 로보틱스랩 현동진 상무(왼쪽), 에스오에스랩 정지성 대표이사가 업무 제휴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 현대자동차그룹이 모바일 로봇 개발 가속화를 위해 고정형 라이다(LiDAR) 센서전문업체인 에스오에스랩과 협력한다. 현대차그룹은 모바일 로봇 개발에 속도를 내기 위해 고정형 라디아 센서전문업체인 '에스오에스랩'과 협력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날 현대차그룹은 의왕연구소에서 현동진 현대차그룹 로보틱스랩장(상무, 정지성 에스오에스랩 대표이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모바일 로봇용 라이다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에스오에스랩은 산업 및 차량용 고정형 라이다 센서를 개발하는 회사다. 에스오에스랩 라이다 센서는 기존 기계식 라이다와 비교해 ▲크기 ▲무게 ▲전력량 ▲가격 ▲내구성 부문에 강점을 지녔다는 평가다. 현재 고해상도 2D·3D 라이다를 산업용 로봇, 항만 보안 부문 등에 판매 중이며 국내에서 대표적인 라이다 전문 개발 회사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공동개발 협약은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12월 공개한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인 '모베드(MobED)' 등 자사 모바일 로봇의 자율주행 성능 최적화를 위한 전용 고해상도 3D 라이다 개발을 목표로 추진됐다. 두 회사는 앞으로 2년에 걸쳐 협업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12월 공개한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MobED)'(왼쪽)와 에스오에스랩 3D 고해상도 라이다 제품(오른쪽) 현대차그룹은 이번 모바일 로봇용 라이다 공동개발을 위해 모바일 로봇 하드웨어(HW) 설계 기술 및 알고리즘을 지원한다. 에스오에스랩은 최첨단 3D 고해상도 라이다 설계 기술 및 소프트웨어(SW) 노하우를 제공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협업을 통해 라이다 센서를 소형화하면서도 단거리 물체 인식 범위를 획기적으로 확대함으로써 불규칙한 노면 위와 장애물 사이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모바일 자율주행 로봇을 개발할 예정이다. 현동진 현대차그룹 로보틱스랩장은 "현대차그룹 모바일 로봇에 최적화된 3D 라이다를 탑재함으로써 복잡한 실내외 공간을 자유롭게 자율주행하는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통해 택배·배달, 1인용 모빌리티 등 다양한 사업과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정지성 에스오에스랩 대표는 "로보틱스 분야는 모빌리티 시장에 혁신을 일으켜 궁극적으로 더욱 나은 삶을 만드는 산업으로, 로보틱스에 최적화된 안전하고 정확한 고해상도 3D 라이다 센서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는 올해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 2022'에서 미래 로보틱스 비전을 공개하면서 로봇을 활용해 새로운 'MoT(Mobility of Things) 생태계'를 구현하겠다고 선언했다. 기아도 '2022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그룹의 차세대 사업인 로보틱스를 본격화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2022-05-17 16:07:46 양성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