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역세권 활력 찾는다…국토부·LH·코레일 업무협약
국토교통부, 천안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손을 잡고 천안역세권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속도를 낸다. 4일 국토부에 따르면 이들 기관은 5일 천안 두드림센터에서 천안역세권 뉴딜사업을 차질없이 착수하고, 시업시행주체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공동이행협약'을 체결한다. 천안의 원도심이던 옛 동남구청사 부지 일대는 지난 2005년 천안시청이 외곽 신도심으로 이전한 후 아파트·업무·상업시설 등으로 이뤄진 복합시설로 개발하고자 민자 유치를 시도했다. 그러나 사업성이 낮다는 등의 이유로 번번이 실패해 왔다. 그러다 이 일대가 2014년 '도시재생 선도사업' 대상지로 선정되며 탄력이 붙기 시작했다. 국토부·지자체·공기업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오는 2021년까지 동남구청사, 지식산업센터 및 주상복합 아파트(451세대) 등으로 이뤄진 원도심 혁신거점으로 복합 재생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이러한 사례를 발판 삼아 천안역세권 뉴딜사업도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천안시와 사업 참여 공기업인 LH·코레일 간의 협력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했다. 세 기관도 지난해부터 공동으로 재생방안 등을 모색하다가 지난해 12월 뉴딜사업지 선정을 계기로 협력방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해 왔다. 이들 기관은 이번에 체결한 업무협약에 따라 기관 별 역할과 시행사업의 범위 등을 명확히 하고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천안시는 시유지 출자, 스마트도시 플랫폼 건립, 캠퍼스타운 조성 및 사업 인·허가 지원 등을 추진한다. LH는 사업부지 조성, 스마트도시 플랫폼 건립·시행(설계·시공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및 첨단지식산업센터 시행방안 마련 등에 나선다. 코레일은 코레일 부지 출자, 철도시설 이전, 캠퍼스타운 부지 제공(임대) 및 복합환승센터 시행방안 마련 등을 추진한다. 이번 업무협약이 차질 없이 추진될 경우 사업 참여 기관들은 천안역세권 일대에 약 4900억원을 투자하고 약 3만3000㎡의 토지를 출자·매입하게 된다. 오는 2022년까지 천안역 서측에는 스마트도시플랫폼, 청년주택, 공공상생상가, 복합환승센터, 첨단지식산업센터, 상업·업무 복합시설 등이 들어설 전망이다. 국토부 김이탁 도시재생사업기획단장은 "이 사업은 주택·도시 관련 공기업인 LH와 철도 관련 공기업인 코레일이 지자체와 협력해 뉴딜사업을 통해 쇠퇴한 역세권을 재생시키는 첫 사례"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공기업이 뉴딜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각종 유인방안 등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