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김장비용,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싸다" 식품공사 발표
서울시 전통시장을 통한 김장 비용이 대형마트보다 8.6%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김장 성수기를 앞두고 서울시 25개 자치구 내 전통시장, 대형마트와 가락몰 등 61곳을 대상으로 4인 가족(배추 20포기 기준) 김장 비용을 조사해 16일 발표했다. 지난 8~9일 서울시 물가조사 모니터단은 경동시장과 망원시장 등 전통시장 50곳, 대형마트 10곳 등을 방문해 13개 주요 김장 재료의 소매비용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전통시장 구매비용은 총 22만416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4만6960원보다 약 9.2%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공사는 김장 비용이 감소한 원인으로 배추와 무, 파 등 주요 채소류의 가격 하락을 꼽았다. 배추와 무는 생육기 기상 호조로 작황이 좋아 생산량이 늘었고, 김장 성수기를 앞두고 출하지역이 확대되며 출하 지연물량 역시 공급될 것으로 보여 가격 약세가 예상된다. 대파와 쪽파, 갓 역시 지난해 출하시기 가격 상승으로 재배면적이 늘었다. 생육 회복에 따라 출하량도 증가해 안정적인 시세 형성이 전망된다. 반면 건고추와 마늘, 생강은 재배면적 감소와 작황 부진으로 생산량이 줄며 지난해에 비해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 비축물량과 민간 재고량 방출이 예고돼 추후 가격 상승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굴과 새우젓은 생산량이 줄었으나 소비 감소로 지난해와 비슷한 시세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고 식품공사는 내다봤다. 대형마트 구매비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9.9% 떨어진 24만5340원이다. 전통시장이 대형마트에 비해 8.6% 정도 저렴했다. 전통시장은 미나리와 소금(천일염)은 약 40% 이상, 쪽파와 새우젓(추젓)은 30% 정도 낮은 시세를 보였다. 가락시장 내 종합식자재시장인 '가락몰'에서의 구매비용은 20만2830원으로 대형마트에 비해 17.3% 낮았다. 고춧가루와 깐마늘, 생강 등을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치구별로는 관악구와 종로구, 강남구가 평균 26만원대로 전통시장 평균 김장 비용보다 높게 형성됐다. 반면 구로구와 금천구, 성동구는 평균 18만원대로 낮은 편이었다, 한편, 전통시장에서 절임배추로 김장을 담글 경우 평균 소요 비용은 24만9130원으로, 신선배추를 이용할 때보다 약 11.1% 늘어나는 것으로 추산됐다. 공사는 물가 변동 가능성이 높은 주요 김장 재료의 특성을 감안해 공사 누리집에 주요 품목 가격지수와 거래동향을 상시 제공하고 24일 김장 비용 2차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