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7개월만에 플러스 전환… 지난달 88억8000만달러 흑자
수출 7개월만에 플러스 전환… 지난달 88억8000만달러 흑자 9월 수출 480억달러, 7.7% 증가 HMM 컨테이너선이 미국 롱비치항에서 하역 작업을 하는 모습. /HMM 9월 수출입 실적(통관기준 잠정치) /산업통상자원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급락했던 수출이 7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9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480억5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했다. 수입은 391억7000만달러(+1.1%)로 무역수지는 88억8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은 코로나19 영향을 받은 3월 (-1.7%)부터 4월(-25.6%), 5월(-23.8%), 6월(-10.9%), 7월(-7.1%), 8월(-10.1%) 6개월째 마이너스(-)를 이어가다 9월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플러스로 돌아섰다. 9월 수출 증가율은 2018년 10월 이후 2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일평균 수출액은 20억9000만달러로 전동 동월 대비 4.0% 감소했으나 올해 최고치로 회복했다. 산업부는 "일평균 수출액이 작년 대비 감소한 것은 지난해 21억8000만달러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기저효과에 따른 것"이라며 "총수출과 일평균 수출액이 동시에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달성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입도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플러스를 기록한 가운데 수출의 상대적 호조로 무역수지는 2년 만에 최고치를 달성했다. 수출 품목별로 우리 수출의 상위 3개 품목인 반도체, 일반기계, 자동차가 23개월 만에 모두 플러스를 기록하는 등 15대 품목 중 연간 최다인 10개 품목이 플러스를 기록했다. 반도체는 올해 처음으로 90억 달러를 돌파했고 두 자릿수대 증가율을 보였다. 일반기계는 코로나19 이후 최고 수출액과 증가율을 기록했고, 자동차는 6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코로나19 이후 선전하는 품목으로는 반도체(+11.8%), 가전(+30.2%), 이차전지(+21.1%), 바이오헬스(+79.3%), 컴퓨터(+66.8%) 등이다. 반면 선박(-3.0%), 디스플레이(-1.9%), 석유화학(-5.3%), 무통기기(-12.5%), 석유품(-44.2%) 등 5대 품목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수출국별로 중국(+8.2%), 미국(+23.2%), EU(+15.4%), 아세안(+4.3%) 등 우리 수출의 66%를 점유하는 4대 시장이 모두 23개월 만에 플러스를 기록했다. /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