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연말까지 탄소중립 기술 개발 가이드라인 만든다
탄소중립 표준화전략 협의회 조직도 /국가기술표준원 정부가 올해 연말까지 2050 탄소중립 기술 개발 가이드를 수립키로 하고, 이를 논의하는 민관 협업체제를 본격 가동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2일 서울 엘타워에서 '2050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 수립을 위한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 협의회 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첫 회의에는 협의회 공동위원장인 정영인 두산중공업 대표이사와 이상훈 국표원 원장,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 해당 기업과 대학, 연구원, 협단체 등 14개 기업과 기관이 참석했다. 협의회는 총괄위원회와 4개 분과위원회(에너지전환, 신유망저탄소산업, 저탄소전환핵심산업, 표준화기반강화)로 구성, 올해 말까지 '2050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 수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50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은 산업별 저탄소 기술 구현방법과 시험평가기준 등을 제시함으로써 탄소중립 기술 개발의 가이드 역할을 할 전망이다. 분과별로 '에너지 전환 표준화 분야'는 태양광, 풍력 등 발전, 에너지저장장치, DC(직류) 배전을 포함한 분산형 전력망 등 신재생에너지의 발전·저장·전송 기술을 포함하고, '신유망 저탄소산업 표준화 분야'는 바이오연료, 그린수소(연료전지), CCUS(탄소포집·저장·전환), 고성능 이차전지, 저전략 반도체 등을 포함한다. 에너지 소비 주체별 '저탄소 전환 핵심산업 표준화 분야'는 수송(수소·전기차, 친환경 선박), 건물(BEMS, 단열재), 제조(FEMS, 스마트제조, 신소재), 기기(생활가전, 스마트미터), 재제조 등을 다룬다. 아울러 탄소중립 표준화 기반강화를 위해 국제표준협력, 실증·인증체계구축, 중소기업과 표준 전문가 매칭을 통한 기업육성, 녹색금융 등 활동도 포함된다.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 해당 기업인 포스코(철강), 현대오일뱅크(석유화학), (주)삼표(시멘트), 서광공업(주)(기계·밸브)은 그린수소 등 대체연료 사용, 소재 재활용, 생산구조 전환, 공정효율 향상 관련 표준화 과제를 발굴하기로 했다.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은 시험·인증 전문기관으로 개발된 기술의 실증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방안을, 한국에너지공단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소재·부품에 대한 표준화 과제를 발굴한다. 또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는 분산형 전력망 구축 등에 대한 표준화 과제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재제조 및 소재 재사용 표준화 과제를 제시하고, 한국표준협회는 주요 선진국과의 탄소 중립 표준화협력 활동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참석자들은 2050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이 적기에 수립되도록 협의회 회의를 정례화해 진행상황을 주기적으로 공유하고 점검하기로 했다. 두산중공업 정연인 대표이사는 "탄소중립은 그간 기업이 추구해온 원가절감, 생산성향상 등과는 또 다른 도전으로 기술 개발에 앞서 가이드로써의 표준이 하나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면서 "금번 협의회 활동으로 수립될 표준화전략이 실제 표준개발로도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국표원 이상훈 원장은 "최근 미국, 영국, 중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이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본격적으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으로 관련 산업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 및 신시장 창출을 위해 우리 기술의 국제표준화가 더욱 절실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