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가리·폴란드·슬로바키아에 경제사절단… "중동부 유럽과 협력 강화"
정부가 우리 기업의 유럽 진출 관문인 헝가리, 폴란드, 슬로바키아에 경제사절단을 파견해 경제통상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장영진 1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경제사절단을 17일~21일 헝가리, 폴란드, 슬로바키아 3개국에 파견했다고 밝혔다. 경제사절단에는 한국무역협회,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철강협회, 한국배터리산업협회,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지맥스, 서원테크가 참여했다. 경제사절단은 헝가리와 폴란드 2개국에서 양국 기업 및 기관 관계자가 참여하는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을 개최, 양국간 투자·교역 확대 방안, 유럽연합(EU) 통상 정책과 경영활동 등을 논의한다. 슬로바키아에서는 현지 진출 기업들과 오찬간담회와 코아비스 공장 방문도 진행한다. 이번에 방문하는 3개 나라는 중동부 유럽 지역에 속하는 국가로, 그간 한국기업의 유럽시장 진출을 위한 관문 역할을 해왔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의 우리 기업들이 다수 진출해 있다. 헝가리와 폴란드는 우리나라와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구축돼 교역과 현지투자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헝가리, 폴란드 양국과의 교역규모는 각각 69억6000만달러, 89억5000만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슬로바키아의 경우 유럽 정중앙에 위치한 지리적 여건을 바탕으로 우리 기업들의 진출이 활발하다. 기아자동차와 삼성전자 등 70여개 한국 기업이 진출해 있다. 특히, 이들 지역은 특히 전기차 생산, 배터리 기업 기 진출 등 유럽 내 탄소중립산업이 각광받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주요 대 유럽 경제협력국가로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기대된다. 슬로바키아 소재 기아차 공장에서는 2025년부터 유럽형 전기차를 생산할 예정이다. 장영진 1차관은 각 국가별로 고위급 아웃리치를 진행한다. 18일엔 헝가리 레벤테 머저르 외교부 차관과 마르톤너지 경제개발부 장관을 만나 양국 투자·교역, 산업기술협력, EU내 경제입법 동향 등을 논의한다. 장 차관은 헝가리 외교부 차관을 만나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를 체결할 예정이다. 이번 헝가리와의 TIPF는 아랍에미리트(UAE)와 도미니카공화국에 이어 3번째 체결로 유럽 지역에서는 처음이다. 한-헝가리 TIPF는 교역·투자뿐 아니라 공급망, 바이오, 클린에너지 등 신통상 이슈를 포괄하고 있어, 양국 간 경제협력관계의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장 차관은 19~20일 이틀간 폴란드 아르카디우시 물라르치크 외교부 차관, 발데마르 부다 경제개발기술부 장관과 양국 산업기술협력, 한-폴 인프라·방산 협력, EU 철강 세이프가드 등 EU 통상현안에 대해 면담을 가질 예정이다. 장 차관은 특히, 헝가리 경제개발부 장관 및 폴란드 경제개발기술부 장관 면담에서 헝가리와 폴란드 경제에서 중요한 위상을 확보하고 있는 배터리산업의 양국 협력방안도 논의한다. 장 차관은 마지막 날인 21일엔 슬로바키아 카렐 허먼 경제부장관 및 잉그리드 브로코바 외교부 차관을 면담하고 자동차·수소·원전해체 분야 협력, EU 철강 세이프가드 등 EU 통상현안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슬로바키아 경제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현지 진출한 우리 자동차 기업의 원활한 철강 수급 및 슬로바키아 자동차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EU 철강 세이프가드가 조속히 종료될 수 있도록 슬로바키아 정부의 관심과 지지를 당부할 계획이다.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