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
기사사진
삼성전자 부진에 코스피 상장사 영업익 24% 감소...암울한 성적표

국내 상장사들의 지난해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모두 급감하면서 부진한 연간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코스피는 삼성전자의 실적 부진 여파가 크게 작용한 모습이다. ◆코스피, 삼성전자 부진에 역성장 기조 확대 3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2023사업연도 결산실적'에 따르면 코스피 상장사 615곳(금융업 등 제외)의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23조8332억원, 80조9074억원으로 전년 대비 24.48%, 39.96% 감소했다. 매출액 자체는 2825조1607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소폭(0.34%) 증가했지만, 매출액 순이익률은 2.86%를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1.92%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지난해 코스피 매출액 9.2%에 달하는 삼성전자를 제외할 경우 감소 폭이 줄어들게 된다. 삼성전자가 빠지게 된다면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117조266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7%만 감소하고, 순이익도 65조420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7.30% 감소에 그친다. 매출액의 경우에는 2566조2252억원으로 직전 해보다 2.10% 증가한다. 업종별로는 17개 업종 중 건설업(19.81%), 운수장비(15.72%) 등 9개 업종은 증가하고, 의료정밀(-51.60%), 운수창고(-9.75%) 등 8개 업종은 줄어들었다. 운수장비(76.87%), 비금속광물(32.31%) 등 5개 업종 영업이익이 증가한 반면 전기전자(-87.06%), 운수창고(-61.61%) 등 12개 업종은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기계(186.16%), 운수장비(89.20%) 등 4개 업종의 순이익이 증가했으나 전기전자(-81.15%), 운수창고(-67.94%) 등 13개 업종은 순이익이 줄었다. 연결 기준 순이익 흑자기업은 전체 615개사 중 458개사(74.47%)로 전년(469개사)보다 11개사 줄었다. ◆코스닥도 영업익·순익 모두 '뚝'...수익성 악화 코스닥도 상장사 1146개사의 영업이익이 9조4077억원으로 전년 대비 35.41% 줄었으며, 순이익도 3조5845억원으로 54.60% 급감했다. 매출액은 260조4556억원으로 1.20% 증가했지만 매출액영업이익률은 3.61%로 2.05%포인트 감소했다. 매출액순이익률도 1.38%로 1.69%포인트로 쪼그라들었다. 업종별로는 정보기술(IT) 업종의 이익이 8.92% 감소하면서 크게 줄어들었다. IT 업종에 속하는 515개사는 매출액, 영업이익 및 순이익 모두 전년 대비 각각 8.92%, 52.54%, 76.48%씩 감소했다. 세부적으로는 반도체 102개사(-77.97%), IT 부품 92개사(-76.69%) 등의 감소 폭이 두드러졌다. 이외 제조업(0.84%), 기타 업종(2.03%)의 매출액은 각각 119조9643억원, 56조28억원으로 전년보다 증가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제조업은 17.79%, 기타 업종은 11.93%씩 줄어들었다. 제조업에서는 특히 제약(-70.49%), 종이·목재(-64.82%), 기계·장비(-41.33%) 등의 영업이익이 부진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연결 기준 순이익 흑자기업은 668개사(58.29%)로 전년(742개사)보다 74개사 줄었으며, 적자 기업은 478개사(41.71%)로 74개사 늘어났다. ◆코넥스 상장사 10곳 중 6곳이 적자 코넥스 상장사 125개사 중 전기 비교 가능한 114개사의 매출액은 2조2987억원으로으로 지난해 2조4670억원 대비 6.8% 감소했다. 영업손실도 648억원에서 2317억원으로, 당기순손실은 1190억원에서 2523억원으로 확대됐다. 분석대상기업 114개사 중 흑자를 기록한 기업은 43개사에 그쳤다. 전체의 62.3% 수준인 71개사는 적자를 기록했다. 거래소는 금리인상·인플레이션 등 대내외 경영환경 악화와 바이오 시장 침체 등의 영향으로 분석했다. 코넥스 상장사들은 지난해 매출액영업이익률(-10.1%) 및 매출액순이익률(-11.0%)도 전년 대비 각각 7.5%포인트, 6.2%포인트씩 떨어졌다. 전체 기업의 자본·부채·자산 총계 모두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부채비율은 148.3%로 전년 대비 8.6%포인트 늘어났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4-03 16:04:35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상장사 2023년 결산] 코넥스, 매출액 6.8% 급감...상장사 62% 적자

지난해 코넥스 상장사 10곳중 6곳이 적자를 기록했다. 전체적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급감하는 성적표를 냈다. 3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코넥스시장 2023사업연도 결산실적'에 따르면 코넥스 상장사 125개사 중 전기 비교 가능한 114개사의 매출액은 2조2987억원으로으로 지난해 2조4670억원 대비 6.8% 감소했다. 영업손실도 648억원에서 2317억원으로, 당기순손실은 1190억원에서 2523억원으로 확대됐다. 거래소는 금리인상·인플레이션 등 대내외 경영환경 악화와 바이오 시장 침체 등의 영향으로 분석했다. 코넥스 상장사들은 지난해 매출액영업이익률(-10.1%) 및 매출액순이익률(-11.0%)도 전년 대비 각각 7.5%포인트, 6.2%포인트씩 떨어졌다. 전체 기업의 자본·부채·자산 총계 모두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부채비율은 148.3%로 전년 대비 8.6%포인트 늘어났다. 분석대상기업 114개사 중 흑자를 기록한 기업은 43개사에 그쳤다. 전체의 62.3% 수준인 71개사는 적자를 기록했다. 12개사는 전기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됐고, 31개사는 연속 흑자를 실현했다. 적자지속 기업은 260개사, 적자전환 기업은 11개사다. 업종별로는 제조업(-8.8%), IT(-8.3%), 바이오(-3.6%) 순으로 매출 감소율이 높았다. 영업이익은 모든 업종이 적자를 기록했으며, 바이오와 제조업은 각각 1070억원, 150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IT 업종은 9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4-03 15:35:38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NH투자증권, 어린이 그림 공모전 개최 "참가만 해도 우량 해외주식 1만원"

NH투자증권은 제2회 어린이 그림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작품 접수는 5일부터 내달 5일까지 가능하며, 만 3세부터 초등학생까지 참여가 가능하다. 참가 대상은 NH투자증권 계좌를 보유하고 있는 유치부 및 초등학생 어린이다. NH투자증권은 미성년 자녀들이 그림을 통해 경제관념을 키우며 투자에 대한 친숙도를 증대할 수 있도록 해당 공모전을 마련했다. 제2회 어린이 그림 공모전 주제는 '용돈을 모아 했던 뿌듯한 일 또는 이루고 싶은 꿈'이며, 작품과 제작과정을 사진 촬영해 제출하면 된다. 유치부·초등 저학년·초등 고학년 3개 부문으로 시상하며, 대상에 입상할 경우 투자지원금 100만원과 한국미술협회 이사장상이 수여된다. ▲최우수상(총 6명)·한국미술협회 이사장상 및 투자지원금 50만원 ▲우수상(총 9명)·한국미술협회 이사장상 및 투자지원금 30만원 ▲장려상(총 12명)·한국미술협회 이사장상 및 투자지원금 10만원을 시상한다. 공모전에 참여해 출품만 하더라도 우량 해외주식 1만원이 미성년 자녀계좌로 지급된다. NH투자증권 어린이 그림 공모전은 미성년 자녀를 위한 비대면 계좌개설 서비스 오픈을 기념하여 지난해 어린이날을 맞아 제1회 대회를 개최했으며 큰 호응을 얻었다.윤병운 NH투자증권 대표이사는 "어린이 그림 공모전은 알파세대 금융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요즘, 어린 자녀들의 금융 이해력을 향상할 수 있는 경험에 중점을 뒀다"며 "미래 주력 고객인 미성년 자녀에게 돈의 가치와 올바른 투자습관을 길러주는 대회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4-04-03 15:35:06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카카오페이증권 ‘데이마켓’ 시작…“낮에도 美주식 거래 가능해”

카카오페이증권은 3일 미국주식 주간거래 서비스인 '데이마켓(Day-Market)'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서머타임 적용 기준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미국 주식을 거래할 수 있게 된다. 기존에는 프리마켓(오후 5시∼오후 10시 30분), 정규장(오후 10시 30분∼익일 오전 5시), 애프터마켓(오전 5시∼오전 7시 30분)에만 거래가 가능했다. 카카오페이증권에 따르면 데이마켓 서비스는 정규장과 동일한 화면에서 이용할 수 있다. 카카오페이증권 관계자는 "데이마켓을 시행하면서 데이마켓, 정규장, 애프터마켓까지 하나의 차트로 이어진 라인차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하루 동안의 시세 추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며 "거래통화 이외 주문 가능 금액을 사용해 불필요한 환전을 줄이는 통합증거금 서비스도 기존 마켓과 동일하게 제공된다"고 설명했다. 데이마켓 서비스는 미국 금융산업규제국(FINRA)이 승인한 대체거래소(ATS) 블루오션(Blue Ocean)과의 제휴를 통해 제공되며 미국 내 뉴욕, 나스닥, 아멕스 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종목을 거래할 수 있다. 이날부터 카카오페이앱 2.27.5 버전 이상에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카카오톡에서는 카카오페이 홈 내 '주식' 페이지를 통해 4일 오전 9시부터 거래할 수 있다.

2024-04-03 15:20:14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상장사 2023년 결산] 코스닥, 영업익 35%·순이익 54% 감소↓...수익성 '뚝'

지난해 코스닥 상장사들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급감했다. 3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코스닥시장 2023사업연도 결산실적'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사 1146개사의 영업이익은 9조4077억원으로 전년 대비 35.41% 줄었으며, 순이익도 3조5845억원으로 54.60% 급감했다. 매출액은 260조4556억원으로 1.20% 증가했지만 매출액영업이익률은 3.61%로 2.05%포인트 감소했다. 매출액순이익률도 1.38%로 1.69%포인트로 쪼그라들었다. 연결 기준 순이익 흑자기업은 668개사(58.29%)로 전년(742개사)보다 74개사 줄었다. 668개사 중 111개사는 전기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됐고, 557개사는 연속 흑자를 실현했다. 적자 기업은 478개사(41.71%)로 적자지속 상태는 293개사, 적자전환 기업은 185개사다. 업종별로는 정보기술(IT) 업종의 이익이 8.92% 감소하면서 크게 줄어들었다. IT 업종에 속하는 515개사는 매출액, 영업이익 및 순이익 모두 전년 대비 각각 8.92%, 52.54%, 76.48%씩 감소했다. 세부적으로는 반도체 102개사(-77.97%), IT 부품 92개사(-76.69%) 등의 감소 폭이 두드러졌다. 이외 제조업(0.84%), 기타 업종(2.03%)의 매출액은 각각 119조9643억원, 56조28억원으로 전년보다 증가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제조업은 17.79%, 기타 업종은 11.93%씩 줄어들었다. 제조업에서는 특히 제약(-70.49%), 종이·목재(-64.82%), 기계·장비(-41.33%) 등의 영업이익이 부진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4-03 15:17:33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상장사 2023년 결산] 코스피, 상장사 영업익 24% 감소...삼성전자 부진에 역성장

지난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들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모두 전년 동기보다 급감했다. 매출은 소폭 증가했지만 이익은 오히려 역행하면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3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유가증권시장 2023사업연도 결산실적'에 따르면 코스피 상장사 615곳(금융업 등 제외)의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23조8332억원, 80조9074억원으로 전년 대비 24.48%, 39.96% 감소했다. 매출액 자체는 2825조1607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소폭(0.34%) 증가했지만, 매출액 순이익률은 2.86%를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1.92%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지난해 코스피 매출액 9.2%에 달하는 삼성전자를 제외할 경우 감소 폭이 줄어들게 된다. 삼성전자가 빠지게 된다면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117조266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7%만 감소하고, 순이익도 65조420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7.30% 감소에 그친다. 매출액의 경우에는 2566조2252억원으로 직전 해보다 2.10% 증가한다. 연결 기준 순이익 흑자기업은 전체 615개사 중 458개사(74.47%)로 전년(469개사)보다 11개사 줄었다. 흑자지속 기업이 404개사, 흑자전환 기업이 54개사다. 반대로 적자기업은 167개사로 적자지속 상태는 92개사, 적자전환 기업은 65개사다. 업종별로는 17개 업종 중 건설업(19.81%), 운수장비(15.72%) 등 9개 업종은 증가하고, 의료정밀(-51.60%), 운수창고(-9.75%) 등 8개 업종은 줄어들었다. 운수장비(76.87%), 비금속광물(32.31%) 등 5개 업종 영업이익이 증가한 반면 전기전자(-87.06%), 운수창고(-61.61%) 등 12개 업종은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기계(186.16%), 운수장비(89.20%) 등 4개 업종의 순이익이 증가했으나 전기전자(-81.15%), 운수창고(-67.94%) 등 13개 업종은 순이익이 줄었다. 금융업 41개사(개별재무제표 5사 제외)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전년 대비 감소해 수익성이 악화됐다. 금융업 41곳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44조839억원으로 2022년 45조900억보다 2.23% 감소했다. 순이익도 33조311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4% 줄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4-03 15:01:18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한국예탁결제원 KSD나눔재단 학교 밖 청소년 지원…장학금 6000만원 전달

한국예탁결제원 KSD나눔재단은 전날 부산 본원에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을 위한 '꿈드림 장학사업' 후원금 6000만원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에 전달했다고 3일 밝혔다. 앞서 KSD나눔재단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과 함께 전국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를 통해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학습계획 등에 대한 심사를 거쳐 총 50명(중등연령 25명, 고등연령 25명)의 꿈드림 장학생을 선발했다. 선발된 장학생에게는 중등연령(13~15세)의 경우 중졸 검정고시 합격 시 1인당 최대 100만원, 고등연령(16~18세)의 경우 자립능력 개발을 위한 자격증 취득, 직업훈련 비용 등 1인당 최대 100만원을 지원한다. 이순호 예탁원 KSD나눔재단 이사장은 "꿈드림 장학사업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들이 학업을 지속하고 진로 탐색을 통해 자립능력을 향상해 미래 우리 사회의 주역으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예탁원 나눔재단은 2009년 설립 이후 취약계층 학생들이 가정환경을 이유로 학업을 중단하지 않도록 꿈이룸 장학생을 선발해 지원하고 있다.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금융경제교육 실시 및 성과측정을 통해 꿈성장 장학금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장학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04-03 12:37:26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이사(ISA)하면 KB증권이 핫한 주식 쏜다!"...이벤트 실시

KB증권은 중개형ISA계좌 고객 대상으로 '이사(ISA)하면 KB증권이핫한 주식 쏜다'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3일 밝혔다. 금융투자협회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월 기준 전체 증권사의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가입금액은 전월대비 약 231% 증가했다. 이는 배당주 및 절세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KB증권은 중개형ISA 계좌를 통해 투자하는 고객들을 위해 이번 이벤트를 준비했다. 금번 이벤트는 6월 30일까지 진행하며 KB증권 개인 고객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KB증권 중개형ISA 계좌를 신규 개설하거나 타 증권사 또는 은행의 ISA계좌를 KB증권으로 이전하면 입금 금액에 따라 넷플릭스 소수점 주식을 최대 20만원까지 받을 수 있고, 기존 KB증권 중개형ISA 계좌 보유 고객도 100만원 이상 입금 시 최대 5만원까지 넷플릭스 소수점 주식을 받을 수 있다. 더불어 골드바, 주식 등을 증정하는 경품 추첨 행사도 동시에 진행한다. 입금 고객에게는 입금 금액 100만원 당 경품응모권 1매를 제공하고, 이미 한도까지 납입한 고객에게도 잔고 비율에 따라 경품응모권을 매주 제공한다. 보유한 경품응모권으로 삼성전자, 현대차, SK하이닉스, 넷플릭스, 애플 주식 및 골드바 10돈, 1돈 등 총 12개의 경품 중 원하는 경품에 응모할 수 있다. 이벤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MTS) KB M-able(마블)에서 이벤트 신청 필수이며, 이벤트 시작일부터 당첨자 발표일까지 중개형ISA 계좌의 출금금액 0원을 유지해야 한다. 중개형ISA 계좌는 국민의 재산 형성을 위한 펀드, 채권, 주식 등 투자가 가능한 만능 계좌로 일반형·서민형·농어민형으로 개설이 가능하며, 연간 비과세 한도 일반형 200만원, 서민형·농어민형은 400만원까지 적용된다. 이후 초과되는 금액은 9.9% 분리과세가 적용돼 금융상품 투자 시 일반 계좌를 이용하는 것보다 절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배당주 뿐 아니라 상장지수펀드(ETF) 분배금 및 채권 이자 등 금융투자에 따른 이자·배당 관련 세금을 아낄 수 있다. 박영민 KB증권 자산관리Tribe장은 "밸류업 프로그램, 금융투자소득세 등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ISA계좌를 통한 투자의 관심도가 높아지는 만큼 KB증권도 '고객 편의', '고객 최대 수익 창출'을 돕기 위한 서비스 제공을 지속하고자 한다"며 "아직 낯설 수 있는 중개형ISA 계좌를 활용한 세제 혜택 및 인지도를 고취할 수 있는 콘텐츠를 계속 제공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4-03 12:37:24 신하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