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CEO들 만난 이복현 "신뢰 없는 금융시장, 지속 성장 불가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국내 주요 증권사 CEO들을 만나 "신뢰 없는 금융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이 불가능하다"며 증권업계의 책임 있는 경영을 강조했다. 아울러 모험자본 공급 확대, 디지털 전환 가속화, 내부통제 강화 등을 핵심 과제로 제시하며 금융당국과 업계의 협력을 통한 자본시장 경쟁력 강화를 주문했다. 금감원은 5일 금융투자협회에서 국내 24개 증권사 CEO들과 간담회를 열고 증권산업의 역할과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 원장은 "증권산업이 단기 수익 중심의 경영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투자 전략을 실행하고, 신산업 발굴 및 투자 방식 다각화를 추진해야 한다"며 "은행이 안정적인 자금 공급 역할을 하는 '견고한 댐'이라면, 증권산업은 혁신을 선도하는 '격류'가 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특히 이 원장은 증권사들이 투자자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시장 신뢰회복을 위해 책무구조도 도입을 비롯해 증권업 특성을 반영한 정교한 내부통제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는 증권산업의 자본시장 선진화 역할도 강조됐다. 이 원장은 "기업과 주주 간의 투명한 소통이 투자자 신뢰 구축의 핵심 요소"라며 "기업은 주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책임 경영을 실천하고, 증권업계는 기관투자자로서의 감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앞줄 왼쪽부터) 서재완 금융감독원 금융투자 부원장보, 배형근 현대차증권 대표이사, 김성현 KB증권 대표이사, 남기천 우리투자증권 대표이사, 강성묵 하나증권 대표이사,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대표이사,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 허선호 미래에셋증권 대표이사, 이석기 교보증권 대표이사, 최규원 리딩투자증권 대표이사, 곽봉석 DB금융투자 대표이사, 신명호 BNK투자증권 대표이사, 한승수 모간스탠리증권 서울지점장 (뒷줄 왼쪽부터) 서정학 IBK투자증권 대표이사, 윤병운 NH투자증권 대표이사, 박종문 삼성증권 대표이사, 기동호 코리아에셋증권 대표이사, 오익근 대신증권 대표이사, 장원재 메리츠증권 대표이사, 이선훈 신한투자증권 대표이사, 김규빈 토스증권 대표이사, 정준호 SK증권 대표이사, 엄주성 키움증권 대표이사, 이종진 홍콩상하이증권 서울지점장, 최재준 골드만삭스증권 서울지점장/금융감독원 간담회에 참석한 증권사 CEO들은 금융당국의 정책적 지원과 제도 개선 노력에 감사를 표하며 증권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업계는 모험자본 공급 확대를 위한 초대형 IB(투자은행)의 역할 강화와 발행어음 활성화가 필요하며, AI 기반 자산관리 서비스 도입과 법인 지급결제 허용을 통한 업무 범위 확대를 요구했다. 또한 "기업가치 제고와 투자자 신뢰 회복을 위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참여 확대와 세제 지원이 필요하다"며 "공매도 재개 이후에는 관리·감독 체계를 투명하게 운영해 투자자의 예측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업계는 또한 자본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초대형 IB 지정 확대 및 가상자산 관련 금융상품 도입에 대한 필요성도 강조했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가상자산 ETF(상장지수펀드)와 같은 혁신적인 금융상품이 활성화되고 있는 만큼, 국내 금융시장에서도 보다 유연한 규제 체계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아울러 AI를 활용한 디지털 금융 서비스 확대를 위해 금융당국의 AI 규율 도입 방향을 보다 명확히 해야 한다는 요구도 이어졌다. 자본시장 선진화와 관련해서는 "기업들의 밸류업 프로그램 동참을 유도할 수 있는 세제 지원방안의 조속한 시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금감원 자본시장감독국 관계자는 "오늘 간담회에서 제시된 의견과 건의사항을 향후 감독·검사업무에 적극 반영할 것"이라며 "증권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자본시장 발전을 위한 제도 개선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