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보러 편의점 간다"…히트플레이션에 마트 대신 '쿠폰 쇼핑'
민생회복 소비쿠폰(이하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된 지 약 일주일이 넘어가면서, 유통가 소비 지형도가 변하고 있다. 히트플레이션으로 농축수산물을 포함한 식품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자, 편의점에서 소비 쿠폰을 활용해 장을 보는 소비층이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28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소비쿠폰 시행 이후 쌀, 과일, 반찬류 등 장바구니 식품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소비쿠폰 지급 개시일이었던 지난 22일부터 27일까지 주요 편의점 3사의 매출 동향을 살펴보면, 세븐일레븐의 반찬류 매출은 전월 동요일 대비 80% 상승했다. 같은 기간 쌀·잡곡류는 50% , 과일·채소는 45% 증가했다. 김치 매출 역시 30% 올랐다. 같은 기간 GS25에서도 식품 판매가 증가세를 보였다. 국·탕·찌개 제품은 337.6%, 해산물은 212.7% 늘었다. 동시에 김치 83.2%, 국산과일 63.4%, 잡곡 품목은 41.9% 증가했다. CU도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매출 상승이 일었다. 가공식품 매출이 26.8% 올랐으며, 그중에서도 간편조리식품(HMR)이 43.4%, 건강식품이 35.2%, 즉석밥 제품 매출이 전월 동요일 대비 34.4% 상승했다. 무더위 영향으로 음료와 주류 매출도 각각 41.4%, 22.6% 증가했다. 간단한 한 끼를 해결하던 공간이었던 편의점이 농축수산물 중심의 장바구니 쇼핑처로 바뀐 데에는, 히트플레이션으로 인한 식품 물가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한국물가협회에 따르면, 시금치, 배추, 상추 등 엽채류는 품질 저하와 반입량 감소로 인해 가격이 오르고 있다. 특히, 배추의 경우 재배 면적 감소와 폭염 등 날씨 영향으로 생산량이 줄며, 7월 셋째 주 대비 넷째 주 물가가 전주 대비 19.7%, 전년 대비 8.9% 올랐다. 현재는 포기당 가격은 5000원을 넘어섰다. 이 같은 배춧값 상승으로 가공식품 김치 역시 전년 대비 13.8% 가격이 치솟았다. 소비쿠폰을 활용해 편의점에서 김치 상품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는 현상 역시 이에 따른 것이다. 쌀·잡곡류와 과일 역시 상승세다. 7월 넷째 주 기준, 백미·찹쌀 등은 전년 대비 각각 16.8%, 18.5% 상승했으며, 사과와 포도는 29.9%, 30.6% 올랐다. 수산류의 경우, 갈치(생물), 고등어(생물), 명태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각 86.4%, 9.5%, 59%씩 물가가 상승하고 있다. 소비자 김 모 씨(32)는 "식품 물가가 너무 올라, 장을 보기에 부담스러웠는데 소비쿠폰 지급받고 나서는 이를 활용해 편의점에서 간단하게 김치, 과일 등을 사 먹게 되는 것 같다"며 "편의점에서 사는 게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먹기에도 양이 부담스럽지 않고, 음식물 쓰레기가 남지 않아 더 선호하는 것도 있다"고 전했다. 한편, 마트와 이커머스 업계 역시 각종 할인전을 통해 대응에 나섰다. 이마트는 내달 '고레잇 페스타'를 진행하면서 여름철 먹거리 상품을 최저가에 선보인다. 롯데마트 역시 자체브랜드 상품(PB) 할인전인 '갓성비 추천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고객 잡기에 나서고 있다. 이커머스 업계에서는 컬리가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는 신선식품을 중심으로, 여름 과일·채소 할인 기획전을 실시했다. /안재선기자 wotjs4187@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