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유기동물 포획 전년비 46% 증가…포획반 확대 운영 성과
김포시가 올해 상반기에 365마리의 유실·유기동물을 포획해 전년 동기대비 약 46%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김포시가 유실·유기동물로 인한 시민 불편과 안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유실·유기동물 포획반을 확대 운영한 것이 실질적인 성과로 나타났다는 평가다. 23일 김포시에 따르면 김포 관내에서는 반려동물 등록 수가 늘어나면서 유실·유기동물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유기견들은 야생화되어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특히 김포시의 장릉산, 허산, 생태공원 등 인적이 드문 지역을 중심으로 이들 야생견들이 무리를 지어 주택가에 출몰하고 있으며 산업단지나 아파트 개발 등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인한 빈집 증가도 들개 증가에 원인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들 주인 없이 방치된 반려견들의 야생화 현상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들개들은 고양이 등 다른 동물을 공격하거나 쓰레기봉투를 훼손하는 등 생태계 교란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김포시는 유기견 개체 수 억제와 시민 안전 확보를 위한 대응책으로 유실·유기동물 전문 포획반을 확대 운영하고 있다. 포획반은 포획틀 설치, 먹이 유인 방식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며, 위험도가 높은 사례는 김포소방서 및 경찰서 등 유관 기관과 협력해 신속히 대응하고 있다. 그 결과, 최근 3년간 김포시의 유실·유기동물 포획 실적은 2022년 103마리, 2023년 356마리, 2024년 501마리로 매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또, 김포시는 '김포시 동물보호 및 복지 지원에 관한 조례'를 개정, 대규모 개발사업 시행자가 구역 내 유기동물 보호 및 이주 대책을 마련하도록 명시하는 등 제도 개선도 병행하고 있다. 유실·유기동물 포획반은 시민 피해 예방과 함께 학대받는 동물 구조에도 나서고 있으며, 길 잃은 반려동물, 방치·학대 동물 및 멸종위기종(CITES)까지도 구조하고 있다. 김포시 관계자는 "포획반의 꾸준한 활동을 통해 시민 안전은 물론 생명 보호라는 두 가지 가치를 동시에 지켜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유기동물 없는 도시 조성을 목표로 행정적 지원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유실·유기동물(야생들개) 관련 민원은 김포시 축산과(031-5186-4324)로 신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