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131억달러 '역대 2위'… "연간기준 플러스 전환될 것" 기대
역대 상반기 FDI 실적 /산업통상자원부 올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전년 동기대비 크게 증가해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연간기준 플러스 전환도 기대된다. 7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1년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에 따르면, 올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는 신고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5% 증가한 131억400만달러, 도착기준은 57.3% 오른 78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상반기 최고실적을 달성한 2018년(신고 157억5000만달러, 도착 102억8000만달러)에 이어 신고·도착기준 모두 역대 2위에 해당하는 실적이다. 박정욱 산업부 투자정책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글로벌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 성공적 방역 등을 토대로 한 우리 경제 펀더멘틀에 대한 신뢰 상승, K-뉴딜과 소부장 등 대형 국책사업 연계유치 등이 역대급 외투실적 달성에 복합적으로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범정부적 정책 과제인 K-뉴딜 관련 외국인투자는 +163.4%를 기록했고, 신산업(+37.8%), 소부장(+14.7%) 분야가 대폭 증가해 외투와 산업정책과의 연계가 강화돼고 공급망 개선에도 기여한 것으로 파악됐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디지털 수요 등이 확대되면서 디지털 뉴딜 관련 투자가 증가하고 있고,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등 친환경·저탄소 사회를 위한 그린 뉴딜 투자도 증가했다. 디지털 뉴딜 분야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플랫폼 등을 중심으로, 그린 뉴딜 분야는 해상풍력·태양광 발전 단지 개발 사업 등을 중심으로 투자가 늘었다. 또 첨단제조(친환경차, 배터리), 플랫폼(배달앱, 공유경제), K-콘텐츠(영상, 웹툰, 게임) 등 부가가치와 기술집약도가 높은 신산업 분야에 대한 투자가 크게 증가했다. 신산업 중 제조업에서는 주로 전기·수소차 부품, 이차전지 소재 등에 대한 투자가 이뤄졌고, 서비스업에서는 주로 도·소매(유통), 게임·영상 등을 중심으로 투자가 지속됐다. 전통산업의 경우, 화공, 기계장비, 금융·보험 등에 대한 투자를 중심으로 증가했다. 외투 유형별로는 1분기엔 21억달러에 달하는 독일 기업의 배달의민족 M&A를 중심으로 회복됐다면, 2분기엔 그린필드 외투도 59억달러로 반등한 것이 특징이다. 상반기 전체로 보면 아직 M&A형이 실적을 주도하나, 그린필드형도 큰 폭 상승해 균형을 이루는 모양새다. 분야별로는 플랫폼 사업 등 서비스 분야(103억7000만달러, +95%) 외투가 크게 증가했고, 제조업 분야도 소부장·자동차 외투 증가 등으로 1분기 대비 2분기가 3배 이상 증가해 감소폭(1분기 -28% → 상반기 -11.7%)이 완화되고 있다. 지역적으로는 미국과 유럽연합(영국 포함) 등 전통적인 대한 주요 투자국의 투자가 큰 폭으로 회복됐고, 중국의 투자도 증가세를 보였다. 올해 글로벌 외투는 10~1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우리 실적은 이에 비해 매우 양호하고 주요국과 비교해도 높은 실적을 기록 중이다. 실제 올해 1분기 주요국 외투실적을 보면 한국은 +44.7%로 미국(+176.3%) 다음으로 가장 높다. 박 투자정책관은 "글로벌 외투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데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며 "국내 외투는 코로나 변이 등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나, 글로벌 경기 회복 기대감과 수출 증가 등 우리 경제 회복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올해 하반기에도 회복세가 지속돼 연간기준 플러스 전환이 전망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K-뉴딜, 신산업, 소부장 등 주요 경제정책과 연계해 외국자본·기술이 필요한 첨단분야에 대한 유치 활동을 지속 추진하고 백신과 원부자재에 대한 유치노력도 강화키로 했다. 9월 중순부터 시행 예정인 '첨단투자지구' 관련 하위법령을 정비하고,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인센티브를 확충해 외투환경 개선으로 연계한다. 현재 논의중인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투자세액공제 확대시 이를 외투 유치 확대 수단으로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