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획코너 > 해외주식 Click
기사사진
[해외주식Click] 테슬라·엔비디아 흔들려도…서학개미, 저가 매수 행렬 지속

서학개미들이 테슬라의 글로벌 판매량 둔화, 엔비디아의 주가 변동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AI) 및 전기차 시장의 장기 성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테슬라와 엔비디아를 공격적으로 매수하고 있다. 1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서학개미들은 지난주(2월 4~10일) 테슬라를 1억3659만달러어치 순매수했다. 테슬라 주가의 하루 변동 폭을 2배로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2배 ETF(TSLL)도 8504만달러어치 사들였다. 같은 기간 엔비디아 역시 1억1188만달러어치 순매수했으며, 엔비디아 주가의 2배 수익률을 추종하는 그래닛셰어즈 2배 롱 엔비디아 데일리 ETF(NVDL)도 2694만달러어치 매입했다. 서학개미들이 이들 종목을 집중적으로 사들인 것은 최근 주가 하락폭이 컸던 만큼 단기 반등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테슬라는 관세 전쟁 우려로 인해 지난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5.17% 급락했다. 이후에도 전기차 시장 둔화가 이어지면서 테슬라 주가는 350달러선까지 밀려났다. 엔비디아 역시 지난 3일 '딥시크 쇼크'로 116.66달러까지 하락하며 전 저점이 깨지기도 했다. 하지만 국내 투자자들이 공격적으로 매수에 나서면서 약간 반등하고 있다. 다만 테슬라와 엔비디아에 대한 시장의 평가는 엇갈린다. 테슬라는 여전히 관세 리스크와 전기차 수요 둔화 등으로 불확실성이 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1월 테슬라의 판매량은 부진했다. 독일에서 전년 동월 대비 59.5%, 프랑스에서 63% 넘게 감소했으며, 중국에서도 11.5% 줄었다. 특히 주력 차종인 모델3와 모델Y의 판매량이 33% 급감했다. 이에 따라 글로벌 투자은행(IB) 스티펠은 테슬라 주가가 단기적으로 높은 변동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며 목표가를 기존 492달러에서 474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스티펠 애널리스트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이 테슬라 주가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각국에서 판매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향후 실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엔비디아는 실적 기대감 속에 긍정적인 전망이 우세하다. 아르거스의 선임 애널리스트 제임스 켈러허는 "AI 분야의 경쟁이 심화하고 있지만, 엔비디아는 데이터 센터를 넘어 게임과 자동차 산업에서도 강력한 성장 기회를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서영재 대신증권 연구원도 "엔비디아 주가는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지만, 2025년 실적 모멘텀이 유효한 만큼 기술적 반등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2025-02-11 16:24:18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딥시크 쇼크' 무색…서학개미, 미 증시 조정에도 반등 기대하며 집중 매수

중국의 AI(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으로 오픈AI의 챗GPT에 맞먹는 모델을 선보이면서 관련주들이 조정을 받고 있지만, 서학개미들은 관련 주식과 상장지수펀드(ETF)를 여전히 매수하고 있다. 주가 하락이 단기간에 그칠 것이라는 기대감에 반등을 노리고 저가 매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4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서학개미들은 지난주(1월 28일~2월 3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3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배 ETF(SOXL)를 4억4299만 달러어치 순매수, 가장 많이 담았다. 이어 엔비디아 주식을 4억1244만 달러어치 사들였으며, 엔비디아의 하루 주가 변동을 2배로 추종하는 그래닛셰어즈 2배 롱 엔비디아 데일리 ETF(NVDL)도 3억5557만 달러어치 순매수했다. 이밖에도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해 엔비디아와 미국 국채 등에 투자하는 일드맥스 엔비디아 옵션 인컴 스트래티지 ETF도 2964만 달러 어치를 매수했다. 서학개미들이 SOXL과 엔비디아를 집중적으로 매수한 것은 낙폭이 과도했던 만큼 단기 반등을 기대한 결과로 분석된다. 엔비디아 주가는 딥시크의 AI 모델 발표 직후인 지난 1월 27일 하루 만에 17% 급락했으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9% 넘게 하락했다. 국내 투자자들의 매수세에도 관련 관련 주식과 ETF는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엔비디아 주가는 좀처럼 하락분을 회복하지 못한 채 120달러 아래로 내려갔다. 딥시크발 충격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데다,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전쟁 우려가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엔비디아의 전체 매출에서 중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한 만큼, 향후 관세 이슈가 지속되면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증권가에서는 딥시크의 등장이 엔비디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면서도, AI 시장의 본질적인 성장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영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딥시크 발표 이후 AI 모델 훈련에 대한 투자 수요가 줄어들 것이란 우려가 반영되면서 엔비디아 주가 변동성이 커졌다"면서도 "그러나 더 나은 모델을 개발하려면 여전히 막대한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다는 점은 변함이 없다.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지만, 2025년 실적 전망을 고려하면 기술적 반등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5-02-04 15:46:00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서학개미, MS 한마디에 '양자컴'에 다시 우르르...테슬라·반도체까지 '줍줍'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부정적 발언으로 폭락했던 양자컴퓨터 관련주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양자 컴퓨팅 시대' 입장 발표에 급등하면서 서학개미(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의 투자가 몰리고 있다. 지난해부터 이어졌던 테슬라, 반도체 등에 대한 투심도 유지된 채 투자 규모가 확대되는 모습이다. 2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1월 14일~20일) 서학개미들은 아이온큐랑 리게티컴퓨팅을 각각 4억969만달러(5895억원), 3억7277만달러(5363억원)씩 순매수했다. 지난 15일(현지시간) 미트라 아지지라드 마이크로소프트(MS) 전략 및 기술 부문 대표가 양자컴퓨터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관련 종목에 투심이 몰린 것으로 보여진다. 그는 블로그를 통해 "우리는 신뢰할 수 있는 양자 컴퓨팅 시대의 문턱에 와 있다"며 "우리는 양자컴퓨터가 의미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MS는 '양자 준비 프로그램(Quantum Ready Program)'을 발표했다. 최근 양자컴퓨터 관련주는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앞서 7일(현지시간)에는 젠슨 황 CEO가 "양자컴퓨터 기업과 협업하고 있지만 유용한 수준까지는 30년이 걸릴 것이고, 15년 뒤에야 초기 단계 제품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부정적인 발언을 하면서 '주가 쇼크'를 보였다. 당시 아이온큐는 8일에만 주가가 39% 폭락했으며, 이어 15일에는 다시 33.48% 급등했다. 리게티 컴퓨팅 역시 8일에 45.41% 급락한 뒤 14일부터 15일까지 2거래일 만에 80.82% 올랐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인한 수혜주 선호도 올라가고 있다. 서학개미들은 지난주에만 테슬라를 5억3521만달러(7701억원) 사들였으며, 테슬라의 하루 수익률을 2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2배 불 셰어즈' ETF도 3억3512만달러(4822억원) 담았다. 테슬라는 17일 기준 서학개미들의 해외 주식 보관금액 1위 종목으로 약 253억9644만달러(36조5429억원)를 보유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122억1945만달러(17조5825억원) 수준인 엔비디아가 2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지만 테슬라와의 금액 규모 차이는 거의 2배에 달한다. 엔비디아 역시 서학개미들이 다시 주목하고 있는 종목 중 하나이다. 서학개미들은 지난해부터 꾸준히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를 3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반도체 불 3X ETF' 등 반도체 종목에 대한 선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주에도 해당 ETF를 3억7857만달러(5446억원), 엔비디아를 3억1298만달러(4502억원)씩 순매수했다.

2025-01-21 15:18:10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아이온큐 '폭락'에, 테슬라는 '변동성' 위험...서학개미 '무덤 주의보'

새해 들어 서학개미(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은 테슬라와 양자컴퓨터 관련 종목에 집중적으로 투자했지만 주가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개미 무덤'이 우려되고 있다. 테슬라는 실적 부진 여파로 주가 등락을 반복했으며, 아이온큐·리게티컴퓨팅 등은 양자컴퓨터와 관련된 부정적 전망이 제시되면서 주가가 약 40%대 급락했다. 14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1월 7일~13일)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테슬라로 7억685만달러(1조342억원)를 사들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이 다가오면서 '트럼프 수혜주'로 분류되는 테슬라를 집중 매수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테슬라는 지난해 미국 대통령 선거가 이뤄졌던 11월 5일(현지시간) 이후 이달 13일까지 주가가 66.08% 폭등했다. 이외에도 서학개미들은 테슬라와 더불어 테슬라의 하루 수익률을 2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2배 불 셰어즈' ETF도 5억1682만달러(7562억원) 담았다. 다만, 지난 2일(현지시간)에는 시장예상치를 밑도는 실적을 발표하면서 당일에만 6.08% 급락했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테슬라의 전기차 판매량은 178만9000대로 2023년 180만9000대 대비 1% 감소하며 10년만에 역성장을 기록했다.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기대하는 것처럼 2025년에 20~30%의 판매 대수 증가세를 기록할지, 더불어 가능하게 하는 저가 모델의 출시가 언제일지 등이 판매 증가율 및 주가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며 "1월 29일로 예정된 4분기 실적발표 기업설명회(IR)에서 4분기 수익성과 함께 2025년 판매 목표에 대한 업데이트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덧붙여 송 연구원은 "테슬라 주가에 더 큰 영향을 주는 내용은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한 부가 서비스의 확산 속도"라며 "2025년 캘리포니아·텍사스에서 비감독형 완전자율주행(FSD) 서비스를 시작하고, 2026년 로보택시인 사이버캡을 생산하는 일정이 예정대로 진행되는지도 중요하게 체크해야 한다"고 짚었다. 서학개미들의 최애 종목인 테슬라의 주가 변동성이 주의되는 가운데, 또다른 선호 종목인 양자컴퓨터 관련주는 '주가 쇼크'를 보였다. 서학개미들은 최근 들어 지난 7일까지 양자컴퓨터 관련 종목인 리게티컴퓨팅과 아이온큐를 집중 매수했다. 7일 기준 서학개미들의 아이온큐 주식 보관금액은 30억9015만달러(4조5208억원)로 상위 종목 5위를 차지했고, 리게티컴퓨팅도 7억5079만달러(1조984억원)를 보유했었다. 하지만 지난 7일(현지시간)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양자컴퓨터에 대해 "양자컴퓨터 기업과 협업하고 있지만 유용한 수준까지는 30년이 걸릴 것이고, 15년 뒤에야 초기 단계 제품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발언하면서 관련 종목들의 주가가 폭락했다. 이로 인해 지난 8일 리게티컴퓨팅은 45.41% 떨어졌으며, 8일부터 13일까지는 68.99% 급락했다. 아이온큐 역시 8일에만 39% 추락했으며, 다음날 6.88% 반등하기는 했지만 8일부터 현재까지 43.81% 내려앉았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5-01-14 14:56:39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해외주식Click]고위험 베팅에 빠진 서학개미…레버리지 ETF 줍줍

서학개미(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이 미 증시의 높은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고위험 레버리지 ETF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이들은 주로 반도체, 미국 국채, 테슬라 관련 레버리지 ETF 등을 중심으로 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10월 22일~28일)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디렉시온 데일리 반도체 불3X ETF(SOXL)'로, 이 종목에 약 1억3069만 달러어치가 유입됐다. 이 상품은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3배 수익률을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로 반도체 지수가 상승할 때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최근 반도체 지수가 주춤하고 있음에도 서학개미들은 저가 매수 기회로 판단해 해당 상품을 매수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같은 기간 서학개미들은 2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만기 20년 이상 미국 국채 불 3배 ETF(TMF)'를 2212만 달러어치 순매수했다. 최근 미국의 장기 국채 수익률이 상승하면서 TMF 가격은 약세를 지속하고 있다. 테슬라 관련 레버리지 ETF에도 자금이 몰렸다. 테슬라 2배 레버리지 ETF(TSLT)에 2011만 달러가 유입됐다. 테슬라 주가는 최근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약 23% 상승했음에도 서학개미들은 여전히 추가 매수를 이어가고 있다. 다음 달 미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테슬라가 '트럼프 수혜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반영됐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와 테슬라의 전망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고 있다. 반도체 업종은 AI 투자 확대가 지속되고 있어 과거와 같은 급격한 경기 둔화 가능성이 낮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테슬라는 실적 성장이 예상돼 주가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박연주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테슬라 주가는 내년에 갈수록 기업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주가 하단 역시 과거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레버리지 ETF 투자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손실 폭도 커질 수 있어 투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투자자들이 상승 기대감으로 매수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나, 레버리지는 변동성이 큰 상품이므로 손실 확대 가능성을 명확히 인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10-29 16:11:12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서학개미 "쌀 때 사자"...급락한 종목 집중 매수

증시 불확실성으로 미국 배당주를 매수했던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들이 최근 급락 종목을 중심으로 매수세를 확대하고 있다. 이들 종목이 조만간 반등할 것으로 보고 저가 매수 관점에서 사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10월 14~21일) 서학개미가 가장 많이 사들인 미국 주식은 테슬라로 2억4365만달러 어치가 유입됐다. 같은 기간 테슬라의 하루 주가 수익률을 2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2배 ETF(TSLL) 에 대한 순매수 금액은 1억6697만달러로 2위에 이름을 올렸다. 마찬가지로 테슬라 2배 레버리지 상품인 티렉스 2배 롱 테슬라 데일리 타겟 ETF(TSLT)에도 3015만달러어치가 몰렸다. 테슬라 주가가 이달 11일 자율주행 로보(무인)택시 공개 후 급락하자 서학개미들이 저가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가 미국에서 로보택시를 공개한 11일 주가는 8.8% 급락한 이후 반등세를 보이다가 다시 3거래일 연속 하락하는 등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밖에도 서학개미는 네덜란드의 반도체 장비업체인 ASML이 실적 부진 전망으로 주가가 크게 떨어지자 6389만달러어치 순매수했다. ASML은 지난 15일 16.3%, 지난 16일 6.4% 각각 하락했다.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은 오는 23일(한국시간 24일)에 있을 테슬라의 3분기 실적 발표에 쏠려 있다. 실적에 따라 주가가 크게 요동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에선 전기차 수요 둔화에 따른 수익성 우려로 테슬라의 실적 전망을 어둡게 보고 있다.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이미 3분기 판매대수는 전년 대비 회복한 모습을 보여준 가운데 올해 3분기 자동차 매출총이익률이 19% 이상 상승 등 수익성도 동반 회복됐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증권가에서는 테슬라 주가 조정 시마다 매수하는 전략을 추천했다. 고민성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로보택시 행사 이후 테슬라 주가는 단기 하락이 예상되지만, 이러한 주가 조정을 매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며 "출시 시기 측면에서 다소 아쉬운 점은 존재하지만, 이번 행사를 통해 자율주행시스템(Unsupervised FSD)이나 사이버캡의 경쟁력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율주행 산업이 지닌 잠재적 부가가치와 테슬라가 지닌 기술적 경쟁력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기에 중장기 투자 방향성은 유효하다"고 말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10-22 16:08:57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해외주식Click] 서학개미, 증시 불확실성에 금리 인하 수혜주로 대응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엔비디아, 기술주 상승에 베팅하는 상장지수펀드(ETF) 등에서 차익을 실현하는 한편 장기채, 배당 관련 ETF 등은 사들이고 있다. 미국 대선, 경기 불확실성 등으로 향후 시장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 데 따른 것으로 이러한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5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10월 8~14일) 서학개미는 엔비디아를 4억884만달러어치 순매도했다. 또 엔비디아의 하루 주가 수익률을 2배 따르는 그래닛셰어즈 2배 롱 엔비디아 데일리 ETF(NVDL)도 1억5563만달러 어치를 팔아치웠다. 차세대 반도체 아키텍처인 블랙웰 GPU에 대한 수요가 엄청나다는 소식에 엔비디아는 10월 들어서만 거의 14% 급등하는 등 상승 랠리를 보이자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선 것이다. 이외에도 서학개미는 ICE 반도체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3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배 ETF(SOXL)도 1억4161만달러어치 매도했다. 이 기간 반도체주가 상승하면서 SOXL은 12.19% 올랐다. 이처럼 기술주에서 이익을 실현한 서학개미는 금리인하 수혜주와 안정적인 배당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서학개미는 이 기간 동안 디렉시온 데일리 만기 20년 이상 미 국채 3배 ETF(TMF)'를 5188만달러어치 순매수했다. TMF는 만기가 20년 이상 남은 미 국채 30년물에 투자하는 것으로, 채권 가격이 상승(금리하락)하면 차익의 3배를 추종한다. 배당 ETF인 ' 슈와브 US 디비던드 에쿼티(SCHD)에도 2515만 달러가 몰렸다. 슈드는 미국 대표 고배당주 100개 종목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미 증시 불확실성이 커져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승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 9월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중국 실물지표 등 경제지표와 ECB 통화정책회의, 3분기 주요기업 실적발표 예정돼 있어 증시 변동성 높아질 것"이라며 "시장의 시선이 물가에서 실물지표로 이동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소매판매와 산업생산이 예상과 다른 방향을 보일 경우 침체 내러티브 재차 확대될 가능성 배제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매파 성향인 윌러 연준 이사 포함 주요 연준 인사들의 발언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10-15 16:12:41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해외주식 Click] 서학개미, 주저앉은 테슬라 집중 매수…반등 기대감↑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다시 테슬라로 쏠리고 있다. 서학개미들은 3분기 부진한 실적과 전기차 시장의 정체로 인해 테슬라의 주가가 하락세를 이어가자 바닥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 저가 매수의 기회로 삼고 있다. 3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10월 24~30일) 서학개미들은 테슬라를 1억9824만달러 어치 사들였다. 테슬라의 하루 주가 수익률을 1.5배 따르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1.5배(TSLL)에도 3427만달러가 몰렸다. 서학개미는 지난 5월부터 9월까지 테슬라를 순매도해 왔으나 10월 들어 순매수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테슬라는 월간 기준으로 약 6개월 만에 서학개미 순매수 1위 자리를 탈환했다. 이같이 테슬라가 다시 서학개미들의 관심을 끈 것은 주가 하락 때문이다. 테슬라 주가는 지난 18일 240달러대로 하락하더니 19일 220달러대, 20일 210달러대로 급락세를 이어가다가 26일 200달러대로 추락했다. 이날에는 4.8% 급락한 197.36달러로 마감, 지난 5월26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테슬라의 주가 하락 배경에는 3분기 '어닝쇼크'가 있다. 테슬라의 3분기 매출은 233억5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했지만 시장 전망치인 241억달러에 못 미쳤다. 게다가 순이익은 18억5000만달러로 작년보다 44% 급감했다. 테슬라의 3분기 실적 부진은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가격 인하 정책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는 고금리와 경기침체, 중국 비야디(BYD)와 같은 중국 전기차의 약진 등으로 판매 둔화가 예상되자 지난해 말부터 전기차 가격을 여러 차례 내리는 등 공격적인 가격 인하 정책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 가격을 낮춰 더 팔긴 했으나 이익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시장에선 이전처럼 테슬라가 단기간 내에 실적 반등을 기대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전체 성장률이 둔화하고 있어 실적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윤혁진 SK증권 연구원은 "전기차 시장 성장률이 낮아지고 있는 가운데 테슬라 판매량도 둔화되고 있고, 경쟁 심화에 따른 평균판매가격(ASP) 하락도 지속되면서 이익률 감소가 지속되고 있다"며 "전기차 가격 인하, 신규공장 가동, 인공지능(AI) 프로젝트 등 비용 증가 요인이 많아 이익률 회복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각에서는 테슬라의 주가가 향후 더 떨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 투자회사 번스타인의 토니 사코나기 애널리스트는 "테슬라가 2024 회계연도에 이익이 줄고 판매량도 실망스러운 수준이 될 것"이라면서 150달러를 테슬라의 목표주가로 제시했다. 테슬라에 대해 '비중 확대'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모간스탠리 역시 목표가를 400달러에서 380달러로 낮췄다.

2023-10-31 15:17:50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해외주식 Click] 서학개미, 약세장에도 고위험 레버리지 ETF에 관심↑

미 증시의 약세장 속에 반도체 상승에 베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와 미국 장기채에 투자하는 ETF 등 고위험 레버리지 ETF가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는 고금리, 중동 분쟁 확대 위기 등을 비롯해 미국 기업들의 3분기 실적이 저조하면서 미 증시가 약세장을 보이자 이를 매수 기회로 판단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24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10월 17~23일) 서학개미들은 ICE 반도체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3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 ETF(SOXL)를 가장 많이 사들였다. 이 ETF에는 5331만달러가 몰렸다. 미국의 대중 반도체 추가 제재 이후 미국의 반도체주가 연일 하락함에 따라 투자자들은 반등을 기대하고 사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서학개미는 미 국채 관련 ETF를 계속해서 순매수하고 있다. 최근 미국의 10년물 국채금리가 5%를 돌파하는 등 채권값이 크게 하락하고 있지만 서학개미들은 채권가격이 떨어질 만큼 떨어졌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고금리 기조가 끝나고 향후 인하기로 접어들게 되면 채권값이 꾸준히 오르고 매매 차익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디렉시온 데일리 20년 국채 불 3X ETF(TMF)에 4742만달러어치가 유입됐다. 이 ETF는 만기가 20년 이상 남은 미 국채로 구성된 'ICE U.S. 20년 이상 미 국채 지수'의 일일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한다. 국채 금리가 하락해 시중 국채 가격이 상승해야 수익이 난다. 또한 서학개미는 만기가 20년 이상인 미국 국채를 전략적으로 운용하는 아이셰어즈 20년 이상 미 국채 ETF'를 1621만 달러어치를 사들였으며 엔화로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아이셰어즈 미국채 20년물 엔화 헷지 ETF를 1618만달러어치 매입했다. 이외에도 서학개미는 낙폭이 과대했던 종목 위주로 매수세를 보였다. 특히 서학개미는 3분기 어닝쇼크를 기록하면서 주가가 급락한 테슬라를 3603만달러 매입했으며 양자컴퓨터 회사인 아이온큐를 1395만달러어치 순매수했다. 미국증시는 계속해서 고금리와 중동분쟁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이 차례대로 공개된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이 위축된 투자심리에 숨통을 틔워줄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 빅테크 기업들의 견조한 실적이 확인될 경우 지수 반등의 촉매가 될 것"이라며 "빅테크주들의 밸류에이션(기업 가치 대비 주가 수준) 레벨이 지난 분기 대비 낮아졌음을 고려하면 호실적 민감도는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3-10-24 15:06:09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해외주식 Click] 서학개미, 중동 분쟁에 안전자산으로…미국 배당주 집중 매수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테슬라, 애플 등 빅테크 기업들을 팔아치우는 대신 미국 배당주와 미국채 상장지수펀드(ETF)를 집중 매수하고 있다. 중동분쟁으로 미 증시 불확실성이 커지자 배당주를 비롯한 안전 자산 선호 심리가 커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10월 10~16일) 서학개미들은 대표적인 배당주 코카콜라를 2181만달러어치 순매수해 가장 많이 사들였다. 최근 비만치료제 오젬픽과 위고비 등이 인기를 끌면서 콜라같이 살찌는 먹거리에 대한 구매를 줄일 것이란 영향으로 주가가 10% 가까이 떨어지자 서학개미들이 저점 매수에 나선 것이다. 또한 서학개미는 월배당 부동산 리츠인 리얼티 인컴을 1029만달러어치 사들였다. 리얼티인컴은 매달 배당을 주는 데다 매년 배당을 늘려와 투자자들 사이에서 대표적 배당주로 이야기되는 종목이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긴축 장기화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등 대외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배당주 등 안전 자산을 선호하는 심리가 커졌다"며 "주로 연간 배당인 한국 배당주와 달리 미국 배당주는 분기 배당과 월 배당이 많아 현금을 더 빨리 얻을 수 있어 투자자들이 선호한다"고 말했다. 서학개미는 미 국채 관련 ETF도 계속해서 순매수했다. 디렉시온 데일리 만기 20년 이상 미국 국채 불 3배 ETF(TMF)를 2030만달러어치 사들였다. 이 ETF는 만기가 20년 이상인 미 국채로 구성된 'ICE US 20년 이상 미 국채 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한다. 서학개미는 아이셰어즈 20년 이상 미국 국채 엔화 헤지 ETF도 1137만달러어치 매입했다. 이외에도 ▲인베스코 QQQ 트러스트 ETF(1785만달러) ▲아이셰어즈 MSCI 미국 퀄리티 팩터 ETF(1654만달러) ▲뱅가드 단기 회사채 ETF(1500만달러) ▲일라이릴리(1073만달러) ▲프로셰어즈 울트라숏 블룸버그 천연가스(KOLD)(1061만달러) ▲프로셰어즈 울트라프로 숏 QQQ ETF(SQQQ)(917만달러) 등이 서학개미의 순매수 상위 종목에 등장했다. 변종만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주식시장에서 금리 이슈는 완화되고 있으나 이스라엘·하마스의 무력충돌로 지정학적리스크가 부각되는 상황으로 시장 변동성에 대응하는 전략이 유효하다"며 "인공지능(AI) 관련 테마도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어 퀄리티 방어주와 양호한 분기 실적기업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3-10-17 15:49:18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해외주식 Click] 서학개미, 기술주 반등에 베팅…TQQQ 집중매수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나스닥 상승에 베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와 엔비디아, 아이온큐, 테슬라 등 기술주를 집중적으로 매수하고 있다. 미국 증시가 국채 금리 급등에 조정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기술주 반등을 기대하고 순매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10월 3~9일) 서학개미들은 프로셰어즈 울트라프로 QQQ ETF(TQQQ)를 2015만달러어치 순매수해 가장 많이 사들였다. TQQQ는 나스닥100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3배를 추종하는 상품으로, 서학개미들은 직전주에도 TQQQ를 5428만달러어치 순매수했다. 또한 서학개미는 엔비디아(1268만달러), 아이온큐(1041만달러), 테슬라(1011만달러) 등 기술주를 집중적으로 매입했다. 서학개미는 미 국채 관련 ETF도 계속해서 순매수했다. 디렉시온 데일리 만기 20년 이상 미국 국채 불 3배 ETF(TMF)를 1377만달러어치 사들였으며, 아이셰어즈 20년 이상 미국 국채 엔화 헤지 ETF를 721만달러어치 매입했다. 미국 국채 금리가 다시 요동치면서 미 국채 관련 ETF에서 큰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나 서학개미들은 국채 수익률이 곧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사들인 것으로 보이는데, 전문가들은 미 장기채 투자에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송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장기채 금리가 큰 폭으로 오르는 등 변동성이 커서 투자 시점을 잡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올 연말이나 내년 연초를 넘어가면서 금리가 서서히 떨어질 것으로 예상돼 천천히 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서학개미는 ▲리얼티인컴(1198만달러) ▲TD YL TSL IN ETF(1178만달러) ▲울트라숏 블룸버그 내추럴 가스 ETF(1149만달러) ▲디렉시온 데일리 SP 바이오텍 불 3배 ETF(1003만달러) 등을 사들였다. 이번 주는 3분기 실적시즌이 시작되고 물가 지표 발표가 예정돼 있어 지난주부터 반등 조짐을 보인 기술주들이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술주들의 수익률이 양호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최근 증시 조정에도 주가 방어력을 과시했던 미 빅테크주들은 제한된 주가 조정에도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부담은 크게 완화됐다"며 "이는 이익 전망치 개선이 가파르게 진행된 결과로 3분기 실적 시즌에서 이들의 이익 모멘텀은 재차 부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3-10-10 15:02:15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해외주식 Click] 서학개미, 고위험의 레버리지 펀드 집중 매수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나스닥, 반도체 상승에 베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와 미국 장기채에 투자하는 ETF 등 고위험 레버리지 ETF를 집중적으로 매수하고 있다. 고금리 장기화 전망에 미국 증시가 약세 흐름을 보이자 저가 매수의 기회로 보고 사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9월 26~10월 2일)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5428만달러 어치를 사들인 프로셰어즈 울트라프로 QQQ ETF(TQQQ)이다. TQQQ는 나스닥100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3배를 추종하지만, 주가가 하락할 경우 3배의 손실이 발생하는 초고위험 상품이다. 순매수 2위 종목은 4877만달러어치 매입한 양자컴퓨터 회사인 아이온큐다. 아이온큐는 지난달 11일 19.68달러로 고점을 찍었으나 이후 22일까지 9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서학개미들은 아이온큐의 주가가 추락하자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서학개미는 장기 국채 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3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만기 20년 이상 미국 국채 불 3배 ETF(TMF)를 3806만달러, ICE 반도체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3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배 ETF(SOXL)를 3697만달러 어치를 각각 순매수했다. 이외에도 서학개미는 ▲아이셰어즈 20년 이상 미국채(1754만달러) ▲아이셰어즈 미국채 20년물 엔화 헷지 ETF(1345만달러) ▲리얼티인컴(1293만달러) ▲TD YL TSL IN ETF(1210만달러) ▲엔비디아(1021만달러) ▲유나이티드헬스그룹(827만달러) 등을 사들였다. 최근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위기가 해소됐지만 미 증시는 여전히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높게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미국 국채금리 급등세는 이어지고 있다.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장중 4.695%까지 치솟으며 16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연준이 중시하는 2년 만기 국채금리는 5.1%를 넘겼다. 이에 따라 뉴욕증시는 혼조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거래일 연속 오르는 등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10월 미국 시장이 저가 매수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성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금리와 유가 상승에다가 대선 시즌과 맞물린 재정정책 잡음이 나타나고 있어 중장기 펀더멘털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며 "미국 주식 시장이 코너에 몰린 듯하지만, 밸류에이션과 기술적 과열 부담을 상당 부분 덜어내 악재가 소화되고 실적으로 시선 전환이 이뤄진다면 상승 기조 복귀에 무리가 없는 가격대"라고 설명했다. 이어 "11월 이후 실적이 견인할 방향성을 염두에 두고 10월의 변동성을 저가 매수로 이용할 수 있다"며 "중기적인 관점에서의 기술주 선호 속에서 대형 퀄리티주나 에너지를 통해 금리, 유가 리스크를 제어하는 전략이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3-10-03 14:46:21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해외주식 Click] 美 장기채 ETF 줄줄이 폭락…눈물의 서학개미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연초부터 공격적으로 사들였던 미국 장기채 상장지수펀드(ETF)들이 일제히 연저점을 기록했다. 국채 금리가 급등하고 있고, 고금리가 장기화되고 있는 만큼 미국 장기채에 투자한 서학개미들의 손실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26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디렉시온 데일리 20년 이상 미국채 3X(TMF)' ETF로, 9억2215만달러(약 1조2434억원) 넘게 사들였다. 이어 이번 주(9월 19일~25일)에도 1526만달러(205억원)를 사들이면서 순매수 상위 종목 8위에 올랐다. TMF ETF는 장기 국채의 하루 수익률을 따르는 '아이셰어즈 20년 이상 미국채 ETF(TLT)'의 3배 추종 상품이다. TLT 역시 올해 서학개미 순매수 상위 종목 5위에 들었으며, '아이셰어즈 20년 이상 미국채 엔화 헤지 ETF'(3위)와 '아이셰어즈 20년 이상 국채 바이라이트 ETF(TLTW)'(6위) 등 미국 장기채 대표 ETF들이 다수 이름을 올렸다. 올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동결을 유지하기는 했으나 사실상 금리 인상 사이클이 종료됐다는 분석이 꾸준히 나오면서 장기채에 대한 집중도가 올랐던 것으로 풀이된다. 통상적으로 채권 가격은 금리와 반대로 흐르고, 금리 하락 시 단기채보다는 장기채의 수익률이 더욱 높기 때문이다. 다만 당초 예상과 달리 연준이 매파적인 태도를 유지하면서 미국 장기채 ETF들이 일제히 연저점을 기록했다. TMF ETF도 연초 8.03달러(1만800원)에서 21일(현지시간) 기준으로 5.20달러(약 6950원)까지 떨어지면서 서학개미들의 큰 손실이 예상되고 있다. 강송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장기채 가격은 작년(2022년) 30% 하락해 최소한 1990년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지만, 올해도 8월까지 추가로 3% 하락했다"면서 "당장 금리가 빨리 인하할 것으로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지금은 장기채 ETF를 사기에 좋은 때라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날 하이투자증권에 따르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당시와 대비해 미국 장기금리인 10년물과 30년물의 국채 금리는 각각 17bp(1bp는 0.01%포인트), 22bp씩 급등했다. 하지만 연준의 금리 정책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2년물 금리는 3bp 상승에 그쳤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국채 시장은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보다 고금리 장기화 리스크와 연방정부 셧다운 등으로 인한 수급불안 등의 리스크를 반영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서학개미들은 이번 주에도 지난주(9월 12~18일)에 이어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SOXL)' ETF를 1억1239만달러(약1515억원) 정도 사들이면서 반도체 등 기술주에 대한 기대감을 유지했다. 이외 아이온큐(6369만달러), 엔비디아(2883만달러), 애플(3541만달러) 등 기술주 개별 종목들도 5위권 안에 포진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3-09-26 14:36:40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서학개미, 반도체, 기술주 상승 기대…SOLX 집중 매수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반도체 등 기술주가 바닥에 근접한 것으로 보고 상승에 베팅했다. 시장에서는 반도체 업황 반등을 예상하는 분석들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어 당분간 이같은 투자자들의 매수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9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9월 12~18일)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매수한 종목은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SOXL)다. 1억2257만달러가 몰린 이 ETF는 ICE 반도체 지수 상승 시 3배 수익을 얻는 상품이다. 또한 서학개미들은 약세를 이어가고 있는 엔비디아를 4583만달러 어치 매입했다. 반도체 업황이 바닥을 찍고 반등할 것으로 기대하며 순매수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반도체 업황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지난 금요일 3% 넘게 급락했던 필라델피아 반도체가 0.46% 상승하는 데 그쳤지만 반등을 보인 점은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마이크론에 대해 도이체방크가 반도체 업황 다운사이클 종료를 이유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해 관련 종목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서학개미는 최근 부진했던 대형 기술주들도 반등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하고 매수에 나섰다. 서학개미는 나스닥100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추종하는 인베스코 나스닥100 ETF(QQQM)를 4534만달러어치 순매수했으며, 최근 중국의 아이폰 금지령에 조정을 받은 애플도 4533만달러 어치 사들였다. 애플은 지난 12일 아이폰15를 출시했음에도 주가는 지난주 2.43% 하락했다. 글로벌 비만 신약 랠리로 급등했던 제약사에도 강한 매수세를 보였다. 서학개미는 일라이 릴리와 노보 노디스크를 각각 2747만달러, 1255만달러 순매수했다. 이외에도 서학개미는 ▲뱅가드 스탠더드앤드푸어스500 ETF(1562만달러) ▲ 슈왑 US 디비던드 에쿼티 ETF(1279만달러) ▲니콜라(1254만달러) ▲아이온큐(1141만달러) 등을 사들였다. 시장에서는 미 증시가 당분간 기술주 중심의 조정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는 분석들이 나오고 있다. 김채윤 NH투자증권 연구원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를 앞두고 소비자물가지수(CPI) 지표를 확인하며 투자자의 경계심리가 높아지고, AI 사업의 수익화 가능성 체크와 관련 산업에 대한 규제 리스크가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기술주 중심의 조정으로 당분간 박스권 흐름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2023-09-19 15:13:19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서학개미, 기술주 집중 매수…어닝 서프라이즈 기대감↑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기술주 위주로 강한 매수세를 보이고 있다. 올들어 높은 상승세를 보였던 기술주들이 단기 조정을 받자 저가매수의 기회로 보고 사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미국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2분기 실적 호조와 함께 인플레이션 지표 둔화 등 경기연착륙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어 빅테크주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7월 25~31일)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테슬라로, 7076만달러어치 매입했다. 특히 서학개미들은 테슬라의 하루 수익률을 1.5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1.5배 주식(TSLL)도 2043만달러의 순매수했다. 지난달 17일 테슬라의 주가가 290달러대로 상승하며 300달러대 진입을 눈앞에 뒀으나 이틀뒤인 19일 영업이익률이 전년 대비 5%포인트 감소한 실적발표에 다음 날 주가가 10% 가까이 급락했다. 이에 개인투자자들은 테슬라의 주가 하락을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고 사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증권가에서도 약세를 보인 테슬라에 대해 기술 발전에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단기 조정 기간은 매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분석한 바 있다. 강재구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테슬라의 주가는 성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하는 특징이 있다"며 "하반기 사이버 트럭 생산 가시화 모멘텀 등이 있다는 점에서 단기 변동성은 오히려 중장기 투자자들에게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서학개미는 마이크로소프트를 3708만달러 순매수했다. 지난달 25일 발표된 마이크로소프트의 실적은 매출, 주당순이익 모두 좋았으나 다음 분기(회계 1분기) 매출 예상치가 시장의 기대를 밑돌면서 주가가 하락하자 서학개미들의 매수세가 유입됐다. 이와 함께 서학개미들은 하락했던 반도체주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반도체 관련주에도 관심을 보였다. 서학개미는 ICE 반도체지수 상승 시 3배 수익을 얻는 상품인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배 ETF(SOXL)를 5082만달러 어치 순매수했고, 엔비디아도 1736만달러어치 사들였다. 빅테크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살아남에 따라 페이스북, 애플, 넷플릭스, 알파벳 등 'FANG'으로 대표되는 미국 빅테크 기업에 투자하는 마이크로섹터즈 팡+ 인덱스 3배 레버리지 ETN(FNGU)에도 1679만달러의 매수세가 집중됐다. 이외에도 서학개미들은 ▲아이셰어즈 만기 20년 이상 미국 국채 바이라이트 전략 ETF(TLTW)(4426만달러) ▲아이셰어즈 미국채 20년물 엔화헤지 ETF(2279만달러) ▲뱅가드 미국 단기 회사채 ETF(1968만달러) ▲SPDR S&P500 ETF 트러스트(SPY)(1131만달러) 등을 사들였다. 빅테크 기업들이 잇달아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미 증시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번 주에도 애플과 아마존, 퀄컴 등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이어지고 있어 투자자들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인공지능 투자 확대로 기술주 위주의 주가 상승이 가파르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빅테크 업종을 여전히 긍정적으로 전망하며 관심을 이어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생성형 인공지능 테마가 적용될 수 있는 업종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면서 "여전히 관련 인프라 구축을 위한 투자는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중이고 수익화에 대한 논의는 점차 구체화되고 있는 데다 신성장 동력 출현에 따른 상승 사이클은 단기간 내 끝나지 않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설명했다.

2023-08-01 15:23:28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해외주식 Click] 서학개미 투심 엇갈려...기술주 대신 성장주·굴뚝주 채우기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반도체주의 주가 조정이 이뤄지기 전 반도체주 인버스를 사들이고, 레버리지 종목을 대거 순매도하면서 반도체주 하락장에 배팅했다. 기술주 중심으로 이뤄졌던 서학개미들의 선호가 성장주를 넓게 포괄하는 펀드나 산업재 종류에 나눠지면서 투심이 엇갈리는 모습이다. 지난주보다 성장주·굴뚝주에 대한 투자 심리가 확대되기는 했지만 기술주에 대한 관심도 유지됐다. 25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7월17일~7월24일) 서학개미들은 미국 반도체 지수를 3배로 역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콘덕터 베어 3X를 3617만달러(약 46억3000만 원) 사들였다. 반도체 등 기술주가 고점에 도달했다는 판단에 따라 주가 조정이 시작되기 전 3배 인버스를 사들인 모습이다. 인버스란 특정 지수가 떨어질 시 수익을 얻게 되는 구조로, 서학개미들이 반도체지수 하락에 배팅했다는 의미가 된다. 반대로 기술주를 3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 상장지수펀드(ETF)는 순매도 2위를 차지했다. 기술주에 집중됐던 서학개미의 선호가 성장주·굴뚝주로 분산되면서 투자 파이가 나뉘고 있다. 7월 들어 주목됐던 아온큐는 양자컴퓨터 스타트업 회사이다. 19일 기준으로는 서학개미 순매수 상위 1위를 차지했으며, 24일 기준으로는 약 2172만달러(278억811만)가 순매수됐다. 아온큐는 뉴욕 증시에서 연초 대비 4배 이상 상승함과 동시에 공동창업자였던 김정상 듀크대 교수가 국내 언론에 얼굴을 비치면서 서학개미들의 투자 심리가 자극된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서학개미들은 지난주에 마이크로소프트, 엔디비아를 각각 2874만달러(약 367억), 1581만달러(약 202억) 사들였다. 성장주 위주로 묶인 러셀1000성장주지수 ETF와 산업재 종목을 포괄하고 있는 인더스트리얼 실렉트섹터 SPDR펀드 ETF도 10위권으로 들어서면서 서학개미들의 투자 심리가 갈리는 모습이다.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20년 만기 미 장기국채에 투자하는 아이셰어즈 20년 국채 바이라이트이다. 4위에도 아이셰어즈 미국채 20년물 엔화 헷지가 이름을 올리면서 서학개미들의 국채 선호가 유지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다만 거래량에 있어서는 서학개미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아왔던 테슬라가 압도적으로 활발했다. 서학개미들은 지난주에만 테슬라를 3억9122만달러(약 5008억) 매수했지만, 동시에 4억5106만달러(약 5774억)를 매도했다. 하지만 테슬라 관련 레버리지 상품인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1.5X 셰어즈가 순매수 7위에 안착하면서 서학개미들이 테슬라를 완전히 놓지 않았음을 방증하기도 했다.

2023-07-25 14:38:18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서학개미의 '테슬라' 사랑...단기 바닥 염두한 매수 눈치싸움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테슬라와 반도체 3배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종목을 적극 순매수했다. 1분기 부진한 실적으로 주가가 하락하자 저가매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테슬라의 주가는 160달러대로 떨어지면서 반등을 기대한 서학개미들의 폭풍 매수가 이어졌다. 2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SEIBro)에 따르면 지난주(4월 24일~5월 1일) 서학개미들은 테슬라를 약 2700억원 순매수했다. 이는 2위였던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배 ETF(SOXL)의 순매수 금액 884억과도 약 3배 가량의 압도적인 차이를 보인다. 테슬라는 지난달 19일 부진한 1분기 실적을 발표한 이후 주가 하락세를 이어왔다. 이날부터 일주일간 낙폭은 약 15%에 달한다. 서학개미들은 이 시기를 단기 바닥의 기회로 보고 매수에 돌입한 모습이다.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수혜주에 따른 강세도 예상된다. 미국 정부의 IRA 발표가 지연되면서 일각에서는 테슬라가 온전한 수혜 대상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테슬라의 일일 성과 중 1.5배를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1.5배 주식(TSLL)도 2333만달러(약 312억원)어치 순매수하면서 3위에 안착했다. 다만 서학개미들의 저가 매수에 대한 위험성도 우려되고 있다. 앞서 미국의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로 파산 위기에 빠진 퍼스트리퍼블릭 은행의 주가가 급락하면서 서학개미들은 저가 매수의 기회를 노렸지만 1일(현지시간) 결국 상장폐지가 결정됐다. 세이브로에 따르면 서학개미들이 SVB 파산 사태가 발생했던 지난 3월 10일 이후 지금까지 9295만4368달러(약 1247억원) 수준의 퍼스트리퍼블릭 은행 주식을 순매수한 것으로 집계돼 피해가 상당할 것으로 예측된다. 서학개미들의 기회주의 매수는 반도체주에서도 돋보였다. 2위인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배 ETF는 ICE반도체지수의 일간 수익률 3배를 추종하는 상품이다. 해당 종목의 주가는 4주째 하락세를 타며 20.8% 가까이 떨어진 상황이지만 서학개미들은 주가가 하락할수록 반등을 노리고 순매수 비중을 늘리는 모습이다. 이외에도 서학개미들은 ▲디렉시온 데일리 만기 20년 이상 국채 불 3배 ETF(TMF) ▲아이셰어즈 만기 20년 이상 국채 ETF(TLT) ▲디렉시온 데일리 20년 이상 국고채 3X ETF 등을 사들였다. 2분기에는 소비 모멘텀이 둔화되면서 투자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 만큼 미국 주식 투자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이다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1분기 미국 GDP성장률은 양호한 소비를 보여 줬지만 기업 투자는 감소했다"며 "2분기에는 신용 위축으로 경기는 악화되는 가운데 물가 불안정성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2023-05-02 16:00:29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더 공격적인 서학개미...SVB發 증시 침체에 지수 ETF '줍줍'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에 따라 뉴욕 증시가 급락하자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집중 순매수했다. 이어 미국 은행주도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3월 13일~19일)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상위 10종목 중 5종목이 뉴욕 증시를 추종하는 ETF인 것으로 나타났다. SVB 파산 여파에 이어 뉴욕 증시가 하락하자 이를 저점 매수 기회로 삼은 것으로 분석된다. 순매수 1위 종목은 뱅가드 스탠더드앤드푸어스 500 ETF(VOO·VANGUARD S&P 500 ETF)로 1억2755만달러가 유입됐다. VOO는 미국 S&P 500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0.03%의 저렴한 운용 수수료를 내세운다. 이어 순매수 2~4위 종목은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이름을 올렸다. 인베스코 나스닥100 ETF(QQQM·INVESCO NASDAQ 100 ETF) 8432만달러, 프로섀어즈 울트라프로 QQQ ETF(TQQQ·PROSHARES ULTRAPRO QQQ ETF) 2644만달러, 인베스코 QQQ 트러스트 ETF(QQQ·INVESCO QQQ TRUST SRS 1 ETF) 1950만달러 등의 순이다. QQQM과 QQQ는 모두 인베스코가 운용하며,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다. 단, 수수료의 경우 QQQM이 0.15%, QQQ가 0.2%로 차이가 있다. 이어 TQQQ는 나스닥 100지수의 3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다. 수익률 3배를 추종하지만, 주가가 하락할 경우 3배의 손실이 발생하는 초고위험 상품이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는 글로벌 각국 중앙은행들의 노력 등으로 심리적인 안정을 보이자 지역 은행 이슈가 원만하게 해결될 수 있다는 기대 심리가 높아지며 상승했다"며 "FOMC를 앞두고 장 후반 일부 매물이 출회되기도 했으나 결국 은행 문제 통제 기대감 속 경기 침체 우려 완화로 상승폭을 확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 서학개미들은 최근 위기설에 휩싸인 미국 은행주를 집중 순매수했다. 순매수 6위 종목에는 파산한 SVB 파이낸셜 그룹이 이름을 올렸다. 총 1305만달러가 유입됐다. 다만, SVB의 주가는 거래가 정지된 상태여서 투자금 회수가 불가능한 상태다. 뒤이어 최근 파산 우려가 발생한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FRC)에 총 1251만달러의 순매수세가 일었다.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주가는 20일(현지 시간) 기준 90% 가까이 폭락한 상태다. 특히 이번 하락은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신용등급 강등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풀이된다. S&P는 전날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신용등급을 기존 'BB+'에서 'B+'로 3단계 하향 조정하고 추가 강등 가능성도 열어뒀다. 이 외에도 ▲미국 장기채 지수 수익률을 3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20+ 이어 트레져리 불 3X SHS ETF(TMF·DIREXION DAILY 20+ YEAR TREASURY BULL 3X SHS ETF)' ▲S&P 생명공학 선별 업종 지수를 3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스탠더드앤드푸어스 바이오테크 불 ETF(LABU·DIREXION DAILY S&P BIOTECH BULL 3X SHS ETF)' ▲미국 고배당 성장주에 투자하는 '슈왑 미국 배당주 ETF(SCHD·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등이 순매수 상위 종목을 차지했다. /박미경기자 mikyung96@metroseoul.co.kr

2023-03-21 15:33:40 박미경 기자
기사사진
[해외주식 Click] 테슬라 급락하자 서학개미 '줍줍'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적인 행보와 반값 전기차 모델 출시가 늦어지면서 이달 들어 테슬라의 주가가 하락을 면치 못하고 있다.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은 이를 저점 매수 기회로 삼아 테슬라를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3월 6일~12일) 서학개미들의 순매수 1위 종목은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로, 총 7105만달러가 유입됐다, 13일(현지시간) 기준 테슬라의 종가는 전일 대비 1.04포인트(0.60%) 오른 174.48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파산한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인수에 관심을 드러내면서 주가가 오름세로 마감했다. 단, 테슬라의 주가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매파적인 발언과 2만5000달러대 반값 전기차 모델 출시가 늦어지면서 이달 들어 15% 넘게 하락했다. 두번째로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제2의 테슬라로 불리는 미국 전기차 업체 리비안이다. 2424만달러를 사들였다. 리비안은 대규모 채권 발행 계획을 발표한 이후 주가가 20% 가까이 폭락했다. 지난 7일(현지시간) 리비안은 13억달러 규모의 녹색 전환사채를 2029년 만기로 발행해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리비안의 전환사채 발행에 대해 후발 전기차 스타트업들이 반도체 수급 문제와 시장 수요 위축에 따른 자금 조달 어려움 등으로 경영 위기를 맞고 있다고 꼬집었다. 서학개미는 테슬라 개별 종목뿐 아니라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도 사들이며 주가 상승에 베팅했다. 테슬라 종목의 일간 수익률 1.5배를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1.5X 섀어즈(TSLL·DIREXION DAILY TSLA BULL 1.5X SHARES)는 순매수 6위에 올랐다. 이어 미국 국채 레버지리 ETF에도 2주 연속 매수세가 이어졌다. 순매수 3위 종목인 디렉시온 데일리 20+ 이어 트레져리 불 3X SHS ETF(TMF·DIREXION DAILY 20+ YEAR TREASURY BULL 3X SHS ETF)에는 2001만달러가 몰렸다. TMF는 미국 장기채지수 수익률을 3배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로, 미국 국채 가격이 오르면 3배로 수익을 내는 구조다. 또 다른 채권 ETF인 아이셰어즈 20+ 이어 트레져리 본드 ETF(TLT·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도 1038만달러가 유입되며, 순매수 상위 종목에 이름을 올렸다. TLT는 미국 20년물 장기 국채 가격을 추종하는데, 미국에 상장된 장기채권을 다루는 ETF 중 가장 규모가 크다. 또 아이셰어즈 MSCI 올 컨트리 월드 인덱스 ETF(ACWI·ISHARES MSCI ACWI ETF)가 새롭게 순매수 9위 등장했다. 아이셰어즈 MSCI 올 컨트리 월드 인덱스 ETF는 모건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MSCI)의 전 세계 지수를 추종한다. 미국 3대 자산운용사 중 하나인 블랙록이 운용하고 있으며, 현금성 자산을 포함한 전 세계의 대형주와 중형주에 분산투자가 가능하다. 국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로 포함돼 있다. /박미경기자 mikyung96@metroseoul.co.kr

2023-03-14 14:41:43 박미경 기자
기사사진
美 금리 고점?…서학개미, '미 국채 3배 레버리지 ETF' 줍줍

미국의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감에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미국 국채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를 집중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적인 월 배당 상품과 인공지능(AI) 챗봇 챗GPT 관련주도 대거 순매수했다. 7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2월 27일~3월 5일)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디렉시온 데일리 20+ 이어 트레져리 불 3X SHS ETF(TMF·DIREXION DAILY 20+ YEAR TREASURY BULL 3X SHS ETF)로, 3425만달러가 몰렸다. TMF는 미국 20년물 국채 3배 레버리지 상품이다. 서학개미들은 금리 인하 기대감에 TMF를 사들인 것으로 분석된다. TMF는 미국 장기채지수 수익률을 3배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로, 미국 국채 가격이 오르면 3배로 수익을 내는 구조다. 단, 여전히 시장은 기준금리가 5%에서 6%대까지 오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다. 7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월 FOMC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할 가능성은 69.4%, 0.50%p 인상 가능성은 30.6%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TMF도 지난 1개월간 13% 가까이 주가가 하락한 상태다.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3, 5, 6월 FOMC에서 각각 25bp(1bp=0.01%p) 금리 인상 후, 5.25~5.50%를 최종 정책금리의 종착지로 연말까지 유지하는 것을 예상한다"며 "올해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는 이르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채권 ETF인 아이셰어즈 20+ 이어 트레져리 본드 ETF(TLT·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도 1118만달러가 유입되며, 순매수 상위 종목에 이름을 올렸다. TLT는 미국 20년물 장기 국채 가격을 추종하는데, 미국에 상장된 장기채권을 다루는 ETF 중 가장 규모가 크다. 증시가 혼조세를 보이자 비교적 안정적인 배당 상품에도 서학개미들의 자금이 몰렸다. 제이피모건 에쿼티 프리미엄 인컴 ETF(JEPI·JP 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와 슈왑 미국 배당주 ETF(SCHD·SCHWAB US DIVIDEND EQUITY ETF)에는 각각 2015만달러, 929만달러의 순매수세가 이어졌다. JEPI는 미국 대형주에 투자하는 월 배당 ETF로 해당 주식에 대한 콜옵션(주식을 일정 금액에 살 권리)을 매도해 주가 하락 위험에 대비한다. SCHD는 미국 고배당 성장주에 투자한다. 챗봇 관련주인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프트등 빅테크주에 대해서는 2주 연속 매수 기조를 이어갔다. 1931만달러, 1094만달러씩 유입됐다. 알파벳은 최근 AI 챗봇 바드(Bard) 출시를 예고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주요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체 검색엔진 빙(Bing)과 웹브라우저 에지(Edge)에 챗GPT를 탑재했다. /박미경기자 mikyung96@metroseoul.co.kr

2023-03-07 14:42:00 박미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