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획코너 >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움직여 보시라

주변에서 보면 어떤 사람의 운이 변하는 게 보일 때가 있다. 위기까지 몰렸다가 어느 순간부터 긍정적 방향으로 반전되는 경우다. 남들은 운이 트였다고 하지만 운이 그냥 트이지는 않는다. 운이 트일만한 무언가가 있기에 그렇게 되는 것인데 그럴 때 가장 눈에 뜨이는 게 달라지려고 하는 본인의 노력이다. 이대로 추락할 수 없기에 예전과 다르게 무엇이라도 시도하고 노력한다. 그런 행동이 운의 흐름까지 바꿔놓는 결과로 나타난다. 풍수에서도 비슷한 사례를 본다. 많은 사람이 집안 풍수에 관심을 보인다. 실제로 집안 풍수의 간단한 방법은 정리 정돈을 통해서 깨끗함을 유지하는 것이다. 현관 주변을 깨끗하게 해야 복이 들어오는 길이 열린다는 건 풍수의 기본이다. 현관 정리는 잠깐의 수고로움이면 금세 깨끗해진다. 안방이나 거실을 깔끔하게 정리해서 밝은 기운이 감돌게 하라는 것은 재화를 불러들이는 원리이다. 이것 역시 정리 정돈만 깔끔하게 해도 집안 운세의 변화를 제대로 누릴 수 있는 것이다. 집안 풍수는 풀기 어려운 수학 문제처럼 어려울 수도 있으나 산수의 공식으로 보면 문제는 풍수가 아니다. 실제로 실행하지를 않는다는 것이다. 유산을 받는다든지 묵은 땅에 길이 나든지 복이 들어오기를 일부러 피하지는 않을 것 아니겠는가. 그런데 가만히 보면 어떤 실행도 하려하지 않는다. 꾸준히 실행해야 효과가 나타나는 건 당연한 이치다. 몸을 움직여 실질적인 행동을 할 때 운의 흐름이 바뀌기 시작한다. 노력에 대한 감응이 생기는 것이다. 게으르거나 움직이지 않고 있으면 운이 머물러 있으니 발전이 없다. 주변의 변화로 풍수 효과를 보고 싶다면 집안 정리 정돈부터 시작하고 움직여보라. 실천이 풍수 효과를 불러오고 집안에 복을 끌어들인다.

2023-04-07 04:00:18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자리이타

막역한 필자의 신도에게서 전화가 왔다. 옷 세탁을 맡긴 게 있는데 세탁소 기계가 오작동하면서 옷이 훼손됐고 입기 힘들어졌다는 것이다. 세탁소에서 5만 원을 배상해 주겠다며 진심으로 미안해하는 모습에 퍼부을 수도 없다고 했다. 신도가 전화한 요지는 이런 것이었다. 아끼고 가격이 나가는 옷을 망가뜨린 보상으로 준다는 5만 원이라도 그냥 받아야 할까, 어떻게 하면 좋겠느냐고 물어왔다. 이야기를 다 듣고 신도에게 말했다. "그 돈 받으면 좋겠는가." 생각해보라하니 전화속 신도는 "선생님이 그럴 줄 알았어요." 로 대화를 마무리 했다. 사람은 각자 자기 이익을 추구하면서 살아간다. 당연한 얘기지만 지나치게 이익을 챙기는 사람이 많아질 때 세상은 갈수록 팍팍해진다. 자기가 행한 대로 돌려받는 게 세상이치 아니겠는가. 남에게 또는 세상에 한 행동그대로 자기에게 돌아오기 마련이다. 불교 법문에 자리이타(自利利他)라는 말이 있다. 자기에게 이익이 되면서 남에게도 이로운 것을 말한다. 자리는 자기 수행에 가깝고 이타는 남을 위해 행동하는 것이다. 자리이타가 말하는 것처럼 때로는 남을 배려하는 마음이 필요하다. 다른 사람을 위하는 건 공덕을 쌓는 것과 같다. 다른 사람의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면 공덕이 되고 그 공덕은 결국 나에게 돌아온다. 후손들에게 복이 넘치게 하는 가장 쉬운 방법도 공덕을 쌓는 것이다. 내가 쌓은 공덕은 시간이 지나 후손들에게 발복의 토대가 된다. 쫓기듯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배려나 공덕 쌓기에 소홀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되간다. 자기 살기도 급하니 남을 돌아볼 겨를이 없는 것이다. 남을 위하는 게 나를 위하는 것이라는 거대한 얘기는 아닐지라도 자리이타는 공덕이 되고 언젠가는 나에게 다시 돌아온다.

2023-04-06 04:00:17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행정생일과 음력생일

정부는 양력생일을 공식적으로 이르면 내년부터 사법 및 행정 분야에서 '만 나이'로 통일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의료보험이나 연금 학교 입학 등의 행정적 절차에서는 이미 만 나이를 통용하여 왔기 때문에 굳이 '만 나이'사용을 법제화하는 것이 큰 의미가 있을까 싶은 생각이다. 서양인들의 나이 계산법은 이미 '만 나이'적용이기에 글로볼 스탠더드에 맞춰 혼돈을 없애겠다는 의미인지는 모르겠으나 우리나라의 나이는 잉태 시부터를 생명으로 보았기에 문화 관습적 나이라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또한 외국인들을 만나면 그들의 기준에 맞춰 나이를 얘기하는 것인데 우리들의 나이 계산법은 한국인들끼리 통하는 특색 있는 고유문화이기에 굳이 법까지 제정해가며 없애야 하나하는 마음이다. 그렇다면 우리 조상들은 왜 음력생일을 기준으로 삼았을까. 과거에는 태양력을 쓰질 않았었고 실질적으로 태양력개념을 도입하게 된 것은 고종황제가 칙령을 발표한 1896년 1월1일부터이다. 서양의 발전된 문명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를 받아들인 결과일 것이다. 그러니 태양력이전에는 달의 공전주기를 기준으로 태음력을 썼기에 음력을 기준으로 생일을 정했을 수밖에도 없었다. 사람이 잉태되는 것은 어머니의 난자가 수정이 되기 적당한 배란기에 아버지의 정(精)을 받아야 하는 것이기에 당연 생명력의 터전인 어머니는 달을 표상한다고 보았기에 음력생일을 중시할 수밖에 없었다. 사주학 추론역시 음력생년월일로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남녀 간의 중대사인 혼인의 궁합을 맞춰보는 기준도 음력을 기준으로 계산하는데 따라서 음력생일은 실질적 생명태동과 기운이 응집되어 있기에 인간운명의 에너지 기호가 축약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

2023-04-05 04:00:29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절기가 도망갔는지

지구온난화로 인해 지구촌 곳곳에서 아우성이다. 뉴스를 보자니 일 년 내내 건조하고 기후 좋기로 소문난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에서는 때 아닌 폭우와 저온현상으로 사람들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홍수로 인해 물에 잠긴 주택들과 자동차들 모습을 비추는 뉴스를 보며 우리나라에서는 좀 생소한 '대기천현상' 때문이라고 하는데 지켜보는 내내 걱정이 앞섰다. 지난 주말 집중호우가 내린 지역에서는 강이 범람한 탓에 한 남성이 도로에서 60㎝ 크기의 대어를 맨손으로 잡는 모습까지 보여줬다. 작년만 해도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샌프란시스코를 비롯한 미서부지역 산불소식으로 근심했던 기억이 멀지도 않은데 올해는 여름도 아닌 2, 3월에 홍수라니..이젠 절기도 어디로 도망가 버렸나 하는 우려감이 앞선다. 절기는 농경이 주산업이었던 특히 중국이나 동북아 지역에 있어서는 자연 달력이었다. 해의 움직임에 따라 하루의 시간을 가늠하고 사람의 삶에 있어 이보다 더 뛰어난 시계를 알지 못한다. 절기는 인간의 관습과 풍습을 만들어 내었고 절기는 기후의 또 다른 이름이기도 했다. 태양의 위치에 따라 열기와 수증기가 상응하며 온갖 작물의 생명에너지를 조절했던 것인데 개발과 발달이라는 이름 아래 기존의 기후 질서가 무너져가고 있다. 올해는 윤달이 들어 음력삼월이 되려면 아직도 남아있다.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는 절기는 양력으로는 거의 큰 변동이 없다. 즉 매년 일정한 날짜에 절기가 든다는 것이다. 개구리가 잠을 깬다는 경칩은 벌써 저만치 지났지만 농촌 어디를 가봐도 개구리 소리를 들은 기억도 언제인가 싶다. 겨울잠을 깨는 동물이 어디 개구리만 있겠는가마는 환경파괴로 인해 개체수가 줄어 아예 슬슬 멸종으로 가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2023-04-04 04:00:16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장수

오래 산다는 것은 인간 오복에 항상 첫째 순위이다. 팔자에도 장수를 하는 사람들의 오행 조건이 정해져 있다. 오행 구성이 치우치지 않아 원만한 조후를 이루고 신왕이면 우선 건강은 담보되나 신약이라 할지라도 말년으로 갈수록 좋은 대운이 들어오면 건강한 구십도 기대된다. 예전에 비하면 향상된 의료체계와 식생활로 인해 평균수명이 구십세 이상을 육박하는 현실이다. 그럼에도 오래 사는 것이 반드시 축복일까 하는 사유도 종종하게 되는데 발달된 의술로 인해 무의미한 연명이 알게 모르게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지 오래 된 일본은 물론 우리나라에도 화두 아닌 화두가 되어가고 있다. "나이 들수록 혼자가 되어야 한다!" 나이 먹어서도 혼자 있질 못하면 주변사람들을 힘들게 한다는 이유에서다. 이는 치매나 질병으로 인해 주변의 도움 없이 생활이 힘든 사람은 예외일 것이지만 외롭다는 이유로 가족이나 주변사람들에게 애정과 관심을 갈구하면서 부담을 주는 경우도 허다한데 이는 나이 먹어가는 사람들에게만 해당되는 얘기는 아닐 성 싶다. 이에 서양의 노인들은 상대적으로 홀로서기나 독립적인생활에 대한 정서가 일찌감치 배어 있어 혼자 있는 시간들이 많아도 그걸 받아들이는 듯하다. 18세가 되면 부모 곁을 떠나 독립하는 것을 당연하게 느끼며 자신들도 그렇게 했으니 자식들도 주변의 모두가 그렇게 생활하는 것이 보통의 모습이다. 누군가 "노년을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 흘려보내야 할 시간으로 여기기보다는 삶의 완성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라고 했다. 이 말이 주는 뜻은 일과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노년이 되더라도 권태롭게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채워져서는 안 될 것이라는 뜻으로 필자는 이해한다.

2023-04-03 04:00:20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팔자눈썹

눈썹은 서양점술西洋占術에서는 운명판단적인 가치를 인정하지 않고 눈을 보호하는 정도의 것으로 밖에는 다루지 않는데 동양 상학에서는 주요하다. 우선 수명의 장단長短을 알 수 있고 형제관계知能程度 지능정도 슬기롭고 어리석음을 판단한다. 그리고 빈부貧富 재운財運 애정의 강약을 볼 수 있다. 개나 고양이는 눈썹이 없다. 고대인은 거의 눈썹 털은 없었다고 보며 이러한데서 지능 진화進化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고 보니 눈썹으로도 슬기롭고 어리석음이나 운명판세법이 있음이다. 이른바 팔자눈썹八字眉이 있다. 눈썹털이 눈썹머리에서 눈썹꼬리로 극단히 쳐져있어서 정면으로 보면 마치 팔자로 보인다. 팔자눈썹은 이미상二眉相이라하여 처연妻緣이 좋지 못한 상이다. 더욱이 눈꼬리까지 아래로 처져있는 경우 사미상四眉相이라하여 한층 더 처연에 변화가 있다. 호적상의 의미가 아니라 여자를 자주 바꾸게 된다. 여자인 경우 과부상이라 언급되고 있다 .그러면 왜 연신연방 바꾸는가. 연유는 애정관계에 있다. 한문에서 계집녀女변에 눈썹미眉라해서 아양떨미媚라고 읽게 했다. 여자의 눈썹 그자체가 스스로 미태美態를 표시하고 있다. 옛날의 일본에서 아내의 눈썹을 밀어 없앤 것은 미태를 금한 까닭이라고도 할 수 있다. 여성은 초승달의 가늘 한 눈썹이 미인이라 했는데 지나치게 가는 눈썹이 눈 훨씬 위에 붙어있으면 선천적으로 바람둥이로 색난상色難相이기도 하다. 눈썹이 훨씬 눈 위에 붙어 있다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전택田宅(눈썹의 아래부터 위눈꺼풀 사이이의 공간)이 넓다는 것이다. 눈썹머리는 눈썹 시작점을 말하며 미간眉間은 눈썹과 눈썹 사이를 말한다. 눈썹머리에 분포한 신경은 생리적으로도 민감하여 짧은 눈썹이 서기도하니 눈여겨 볼만하다.

2023-03-31 04:00:03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노력도 함께

전제주의의 시대가 저물고 산업사회 시대가 오자 민중의 권리가 향상되어 가는 것은 사실이다. 군주가 군림하던 전통사회 때보다는 경제적 중간계급들이 늘어남에 따라 일반시민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그러다보니 부의 불평등을 해소하려는 노력과 함께 각 나라의 정당들은 포플리즘정책을 쓰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 공짜점심은 없다는 것이다. 땅 파서 돈을 만들어 내는 것도 아니고 어떤 나라든지 재원이 있어야 정책을 펼칠 수 있는 것인데 정권을 창출하고자 하려니 선심공약부터 남발하게 된다. 가난은 나라님도 구제할 수 없다는 속담이 있기는 하지만 경제소득이 높은 나라라 할지라도 부의 불평등은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어서 부의 공정분배는 보수와 진보진영의 항상 하는 화두가 된다. 특히 국민연금이 곧 고갈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기초생활을 보장하려는 정부의 노력과 성과가 예전 어려웠던 시절에 비해 많이 향상된 것도 사실이지만 아직도 수혜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이들도 너무나 많다. 종종 매스컴을 통해 들려오는 가슴 아픈 사연들과 비극을 보자면 마음이 참담해온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이 반드시 정부부처나 지자체의 노력만으로 개선되기는 힘든 부분도 많다고 본다. 왜냐면 올바른 시민의식이 전제될 때 제도는 힘을 받기 때문이다. 서울지하철의 경우만 해도 부정승차가 매년 증가하여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것이다. 부정승차로 인해 징수금도 17억원이 넘었다는 내용이었다. 게다가 청소년이나 어린이전용카드 연령우대카드를 악용하는 사례 역시 심심찮다는 것이다. 자, 이쯤 되면 부끄러운 시민의 자화상에 무슨 핑계를 댈 수 있을 것인가. 각자 모두는 자신의 업으로 살아간다. 어려운 사람을 돕는 제도적 장치를 이용해 무임승차할 일이 아니다.

2023-03-30 04:00:16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눈상目相

상학相學에서 '눈은 입만큼 말한다'는 말이 있는데 잘 비유된 말 같다. 눈이 큰 사람은 소리도 큰 편인데 성량聲量의 대소와 눈의 크기는 대체로 일치한다. 눈은 마음의 창이고 눈이 큰사람에 악인이 없다고 하는데 비교적 여성이 그렇다. 성격은 양성陽性으로 남녀관계에서도 곤란한 정사情事도 무의식중에 얘기하는데 마음도 개방적開放的이므로 비밀이 없음이다, 눈이 작은 사람은 진지한 사업에 열중하는 성향이 있고 세상에 뜻있는 일을 하고자 애쓴다. 여자가 비슷한 정도의 미인이라면 눈의 크기를 확인하여 유혹하면 성공률이 높다. 눈과 눈 사이에 또 하나의 눈이 들어갈 정도가 성인成人의 표준으로 보고 눈 사이가 넓으면 조숙하다. 여자 쪽에서 눈이 큰 청년을 비교하면 만사에 화려한 형이므로 운명을 잘 개척해 나가고 선물도 잘 보내온다. 다만 큰 눈에도 힘찬 눈과 탁한 눈이 있다. 힘찬 눈을 가진 사람은 사물의 구상이 크고 비범한 수완가라서 큰 사업을 이룩할 기우氣宇를 지닌 인물이다. 작은 편은 성실하지만 가라앉은 성격이라 사람을 사귀는 것도 돈벌이도 연애의 기교도 재빨리 성과를 거두는 노릇은 못하고 오히려 그런 행동을 경멸한다. 비만형이면서 눈이 가늘고 작은 사람은 부드럽고 온순한 인품으로 보이기 쉬운데 실은 인색하고 겁쟁이며 마음이 약하다. 이런 경우 말년이 불운하다. 작더라도 힘차게 가늘거나 긴 눈은 사고력이 많고 자비스러운 사람으로 자선사업을 하기도 한다. 누굴 선택할까는 각자의 몫이다. 굳이 적용시킬 말은 아니지만 사팔뜨기는 위로 치켜보는 눈과 아래로 내까려 보는 눈을 구별하고 위로 보는 것은 그다지 흉하지 않으나 아래로 보는 눈은 운명적으로 가정불화의 흉상으로 여기니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볼 것이다.

2023-03-29 04:00:30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귀상耳相

임신중절姙娠中絶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여성이 일찍이 임신중절의 경험이 있는지 태어난 애기의 귀를 보면 알 수 있다. 고설古說에 의하면 장남으로 태어나는 사람의 귀는 곽廓이 나와 있지 않다. 곧 곽이 돌출한 귀의 남성은 장남이 아니고 이남 삼남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양자가 되는 남자에게는 곽이 돌출한 사람이 많다. 만약 여성으로 미혼시절에 몸을 움직여 그 결과를 임신중절이라는 형태로 처리해 버린 일이 있다면 결혼을 해서 처음으로 낳은 남아의 귀가 장남의 특징을 갖추고 있지 않게 된다. 이를테면 결혼 전에 두변 중절했었다면 결혼하여 남아를 낳아도 모체에서 출생하는 그 애기는 장남이 아니라 삼남인 셈이다. 실제로 삼남으로서의 귀와 인상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 애기 귀의 곽은 도출해 있는 경우가 많다. 극단하게 돌출해있지 않더라도 곽이 팽팽히 나와 있는 것이 많은데 이것은 중절한 남아였었다고 가정하고 하는 말이지만 정상적인 부부사이에서 경제적 이유 때문에 한번이나 두법 인공유산을 했을 때에도 이 현상은 이남 또는 삼남의 귀를 가지고 태어난다. 이상한 것은 남편과 다른 여성의 사이에 몰래 낳은 남아가 있고 본처에게서 초산의 애기가 출생하는 경우이다. 이것도 역시 아버지에게는 이남이므로 그 애기는 이남의 귀를 갖고 태어난다. 관상의 대가가되면 그 애기를 한번 보기만 하면 진정한 장남인지 아닌지를 안다고 한다. 귀상耳相 인상人相은 그만큼 무서운 것이다. 여아의 경우에는 유감스럽게도 장녀의 귀상은 없다. 또 중절애기가 여아뿐이었다면 몇 번 중절해도 최초의 남아는 장남의 귀를 가진다. 이런 경우에는 임신중절을 귀에서 판단할 수 없다. 이런 관상술이 있음을 안다면 예방을 고려해야할 것이다.

2023-03-28 04:00:07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무조신巫祖神

무속巫俗을 표현한다면 무부巫夫 및 무녀巫女의 풍속을 말한다. 신계누설神界漏洩에 실린 신령스런 내용을 적어본다. 무속관련 전설 설화 신화 사실에 근거한 얘기는 지방에 따라 다르지만 거의 무조를 여성으로 삼고 있으며 신분身分이 고귀高貴하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분류해보면 성모전설;지리산의 성모천왕聖母天王을 무조로 한다. 왕녀전설;중국의 제녀帝女 또는 조선의 왕녀王女를 무조로 한다. 귀녀전설;귀족의 여성을 무조로 한다. 왕무전설;무녀가 왕명王命을 받들어 무사巫事를 시작始作했다고 하는 전설이다. 이렇게 네 종류로 전해지는데 성모천왕聖母天王은 저자 불명의 무녀속고巫女俗考라 칭하는 사본에 "신라중엽 함양의 법우화상에게 딸 여덟 명이 있었는데 각기 여덟 지역으로 파견되어 무업巫業을 행했다...중략" 지리산 고엄천사에 법우화상이 어느 날 문득 산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시냇물을 바라보니 비가오지 않았는데도 물이 불어있다. 그 흘러온 물줄기를 찾아 천왕봉 고대기에 이르니 키가 크고 힘이 센 여인이 보였다. 그녀는 성모천왕聖母天王이라 이르고(고려시대 박전朴全의 용암사중수기龍巖寺重修己에서 성모천왕은 곧 지리산신이니..) 인간 세상에 귀양을 내려왔다고 하면서 그대와 인연이 있으므로 수술水術을 적용하여 스스로 중매中媒했다고 했다. 마침내 부부가 되어 살면서 딸 여덟을 낳았고 자손이 많이 퍼졌다. 모두 무술巫述을 가르쳤는데 금방울과 부채를 들고 춤을 추면서 아미타불을 외우고 무업을 행했다. 이 때문에 세속에서는 큰무당은 반드시 지리산에 가서 성모천왕에게 기도해서 접신接神한다고 한다. 성모천왕은 곧 지리산신이다. 이러한 점을 보면 조선시대의 제자들도 신의 여신女神에 대한 신앙은 오래되었다고 할 수 있다.

2023-03-27 04:00:08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토요일은 임오일壬午日

사슴과 말이 오화午火에 배당된 동물이다. 그러나 엄연히 다르다. 록鹿은 천자天子를 상징한다. 그래서 천자의 자리를 중원지록中原之鹿이라 했다. 정권이나 지위를 얻기 위해 다툼을 이르는 말이 축록逐鹿이다. 까닭에 양중지양陽中之陽의 병화丙火는 사슴으로 비유한다. 진秦의 시황제始皇帝는 죽기 전에 장자 부소를 불러 장례식을 치르라는 조서詔書를 남겼다. 이는 후계자로 지명한다는 얘기다. 이때 환관조고는 조서를 위조하여 후궁의 소생인 호해를 황제로 만들었다. 조고는 호해를 허수아비로 만들고 승상인 이사를 처치한 다음 스스로 황제자리에 오를 야심을 품는다. 그런데 조정의 대신들이 얼마나 자신을 지지할지가 문제였다. 어느 날 조고가 신하들 앞에서 호해에게 사슴 한 마리를 바치며 말을 헌상 한다고 했다. 그러자 호해가 농弄이 심하다며 지록위마指鹿爲馬라니..했다. 조고는 정색을 하며 이것은 분명히 말이니 믿지 못하면 이 자리에 있는 대신들에게 물어보라고 했다. 조고를 두려워한 신하들은 말이 맞다 했고 더러는 사슴이라고 말했다. 조고는 사슴이라고 말한 대신들을 후에 가차 없이 죽였다. 그 이후에는 조정에 조고의 뜻을 거스르는 이들이 없게 됐다.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로 만들어 강압으로 인정하게 하거나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휘두를 때를 가리켜 지록귀마 이록위마以鹿爲馬라 한다. 이처럼 사슴과 말은 다른 동물이지만 같은 오화午火의 의수擬獸로는 다르지 않다. 회남자淮南子에 사슴을 쫓는 사람은 토끼를 돌아보지 않고 천금의 물건을 흥정하는 사람은 푼돈을 놓고 다투지 않는다. 즉 축록자불고토逐鹿子不顧兎란 명예나 욕심에 사로잡혀서 사람의 도리를 저버리거나 눈앞의 위험을 돌보지 않는다를 비유한 말이다.

2023-03-24 04:00:06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노인과 바다

'노인과 바다', 당연히 헤밍웨이를 떠올리는 분들이 많을 것 같다. 유명 단편소설인 노인과 바다는 커다란 물고기를 잡고자 했던 노인과 상어와의 험난한 싸움을 그리고 있다. 청새치를 잡기위해 바다로 나간 노인은 80일이 넘도록 허탕만 쳤다. 그러다가 그토록 고대하던 커다란 청새치를 잡게 되는데 어디선가 상어가 나타나 공격을 받게 된다. 노인은 작살과 노, 몽둥이를 사용해가며 상어를 무찌르는 데는 성공하지만 청새치의 대부분을 빼앗기게 된다. 인생의 목적을 이룬 꿈인 청새치와 상어로 대변되는 시련 고난과의 싸움을 대입해볼 수 있다. 오랜 기다림 속에 목적을 이룬다 해도 그 과정은 시련과 고난이고 결국 어렵게 구한 것을 빼앗기지만 굴복하지 않고 맞서 나가는 것이다. 이를 통해 헤밍웨이는 소설의 한 구절처럼 "인간은 파멸할 수는 있어도 패배하지는 않는다."("A man can be destroyed but not defeated.)라는 메시지를 던져줬다. 고기 잡는 사람들이 반드시 노인만은 아닐 진데 각별히 노인을 등장시켰다. 이유가 있으리라본다. 살만큼 산 나이가 되면 대충 포기에 익숙할 법인데 젊은 시절의 힘과 근육이 빠져나간 나이에도 그는 상어에 굴복하지 않았다. 고난에 맞섰다. 대한민국은 노령혜택적용 연령의 상향을 고민 중이다. 만65세가 되면 지하철무임승차 등의 혜택을 주어 왔는데 계속 심화되는 지하철적자 해소의 한 방법으로 노령연령을 65세에서 70세 정도로 상향하겠다는 움직임이다. 과거에 비해 65세를 노인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노인협회에서는 반발이 심하다고 한다. 각자 견해가 다를 수는 있지만 지하철 무임탑승 연령문제를 보면서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를 떠올렸다. 험난한 바다 상어 대적하는 그 노인을...

2023-03-23 04:00:24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내 머리를 못 깎는 이유

"중이 제 머리 깍지 못한다." 라는 속담이 있다. 실제로는 출가 승려들이 자기머리를 못 깎는 건 아니라고 한다. 혼자서 깎을 수는 있지만 남의 손을 빌리는 것만 못하기 때문이다. 다른 말로 하자면 서로도울 때 공생과 화합을 이루며 훨씬 결과가 좋아짐을 함축하고 있음이다. 그래도 일반적으로 이속담은 자기스스로는 훌륭한 역량이 있어 주변사람을 잘 도와준다 하더라도 막상 자신의 일은 잘 다루지 못하고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음을 뜻한다. 왜 일까. 남의 일을 도울 때에는 객관적으로 문제를 볼 수 있어 지혜 있는 해결책이 나오지만 자신의 일이 되면 감정이 더 이입되어 사심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일 것이다. 이는 스포츠경기를 해설하는 해설위원들이 경기를 보며 실시간적으로 선수들의 뛰는 모습을 보며 이런저런 지적과 해석을 내릴 때도 비슷한 생각이 들게 한다. 바깥에서 보는 사람은 보다 명료하게 상황파악이 되는데 직접 뛰는 선수들은 이리 뛰고 저리 뛰느라 바른 판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바둑이나 장기훈수를 둘 때도 보면 보이는 현상이다. 지켜보는 사람들은 패가 보이는데 시합당사자들은 그 판 속에서 전체수를 읽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남의 것은 잘 보이지만 자기 것은 잘 보지 못하는데 한 마디로 게임의 판 속에 빠져있는 것이다. 이것을 불교적 관점에서보자면 착(着)을 버리지 못하면 불행을 어깨에 지고 인생길을 가는 것과도 같다. 착은 집착의 줄임말이요 다른 말로는 번뇌이다. 내 문제에 대해서는 자존심이라는 상과 애착이 강하니 늪처럼 빠져나오려고 발버둥 칠수록 더 깊이 빠져드는 수렁과도 같이 돼 버린다. 그러니 답은 간단하다. 발을 빼면 된다. 그럼 발은 어떻게 빼는가. 그냥 바라보라. 바라보면 상당히 객관적이 된다.

2023-03-22 04:00:30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지장보살地藏菩薩

지장보살은 인도印度의 부자집안에서 무남독녀로 태어났는데이때 이름이 광목이었다. 17*8세쯤 되던 해에 추운 겨울아침이었다. 대문 밖을 나갔는데 어린아이가 엄동설한의 추운날씨에 입지도 못한 채 헐벗고 굶주린 채로 쓰러져서 동사직전에 놓여있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소녀는 재빨리 달려가 자신이 입고 있던 옷을 벗어 입혀주고 동사를 면할 수 있게 했다. 어린아이를 급히 살려야겠다는 생각에서 자신의 옷이 벗겨진 채 알몸이었다는 것을 뒤늦게 깨달은 광목은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모르고 안절부절못하고 있었다. 마침 착한 마음씨에 감동한 땅의 신 지신地神이 신통력을 발휘하여 땅에 구멍을 만들어서 구멍 속에 소녀의 몸을 감출 수 있도록 해주었다. 그리하여 땅이 감추어준다는 뜻으로 지장이라는 이름이 생겨난 것이라고 전해진다. 이러한 명주부전의 주불主佛인 지장보살은 천상에서 지옥에 이르기까지 육도六道(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의 모든 중생을 교화하여 성불시키고자 하는 역할을 스스로 감당하는 것이다. 지장보살에게는 항상 두 분의 협시脇侍가 있는데 도명존자道明尊者와 무독귀왕無毒鬼王이다. 도명존자는 중국의 양주땅에 개원사의 승려였는데 대략 13년(778년)2월 8일 누런 옷을 입은 저승사자 3명이 와서 그를 잡아갔다고 한다. 막상 저승에 가서보니 도명을 잡아와야 하는 것을 저승사자가 잘못 잡아온 것이 밝혀져 다시 이 세상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고부터 도명은 지옥을 출입한 승려라고 하여 지장보살을 협시하게 된 연유가 되었다. 무독귀왕은 지장보살이 전생에 인도의 부자집 무남독녀로 있을 때 그녀의 시중을 들었던 인연으로서 협시를 할 수 있게 연결되어 시봉하는 것이다. 지장본원경참조.

2023-03-21 04:00:02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사주학 풀이 (18)

정축일丁丑이다. 축인인丑寅引으로 소丑를 본 범寅은 망설임 없이 달려든다. 소는 범의 상대가 되지 않지만 간방艮方의 합合인 축丑과 인寅은 장간藏干전체가 암합暗合한다. 이때 양陽이 음陰을 지배하는 관계로 나타난다. 호랑이가 소를 보면 식록食祿이다. 하지만 호랑이에게 순하게 당하기만 하는 게 아니다. 민간에 주인을 위해 호랑이를 물리친 소 얘기가 전해 내려온다. 중국인의 행동 또는 중국정부의 정책을 일컫는 용어로 호시우보虎視牛步라는 말이 등장하는데 호랑이처럼 날카롭게 쳐다보되 행동은 소처럼 느릿느릿하게 한다는 말이다. 이는 아무렇지 않은 듯 천천히 보고 있지만 머릿속에서는 치밀하게 계산하고 있다가 결정적인 순간이 오면 곧바로 행동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팔자에 축인丑寅을 다 갖추면 예리하면서도 우직한 성향을 품게 된다. 이때 축에 해당하는 육친六親의 고통도 함께 나타난다. 다음으로 축묘인丑卯引이 있다. 거북이丑와 토끼卯는 우화의 단짝이다. 고대소설 토끼전과 이솝이야기의 토끼와 거북이가 대표적이다. 승부가 1승 1패다. 민첩하고 영리하기로는 토기가 한수 위다. 이 얘기는 여러 이본異本이 존재하는데 대개 자라의 비극으로 결말난다. 은생우해恩生于害다. 토끼가 당할 때도 있다. 이때는 미未가 문제가 된다. 축미丑未가 충沖하면 묘卯는 입묘入墓한다. 이어서 축진파丑辰破를 설명한다면 게丑는 어린물고기辰를 잡아먹는다. 축과 진이 파하면 상대적으로 진辰이 더 해를 입는다. 팔자에 축을 보면 질병으로 고생하기 쉽다. 술戌과 미未의 형刑이 더해지면 수술을 피하기 어렵다. 암癌을 뜻하는 cancer는 히포크라테스가 암과 같은 악성종양을 카르키노스karkinos라고 기록한 것에서 유래한다. 암은 게丑를 뜻한다.

2023-03-20 04:00:09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사주학 풀이 (17)

자, 인수가 변해서 상식이 되면 배운 즉시 써먹는다고 했다. 토금土金일주만 인수印綬가 변해서 상식傷食이 된다. 수목화水木火는 해당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식이 없어도 잘 써먹는 것이 화火일주이다. 화자체가 말이고 화술인데 갑술년甲戌이면 배워서 써먹는다. 목木일주가 임오년壬午이오면 천건天干은 인수요 지지는 상식이니 공부해서 써먹는다. 임술년壬戌엔 공부하면서 돈벌어야하니 아르바이트 나가야한다. 기사己巳일주가 역학 공부하는데 유년酉이면 사유巳酉로 응용력 추리력이 생기고 이치가 터진다. 왔다가 가는 경우에서 기유己酉일주가 사巳날되니까 어머니가 왔다. "이틀간 지내다 간다"했다. 그러자 역학자는 "어머니는 금방가실거야"했다. 과연 오자마자 정신없더라. 사유巳酉로 사巳인수가 없어져 버렸으니 "일이 있는데 깜빡 잊고 왔다" 하면서 즉시 가버리더라. 천간天干은 시작이고 나가고 오전이다. 지지地支는 끝이고 들어오고 오후이다. 다시 설명하자면 인수는 들어오는 것이고 상식은 나가는 것이다. 기축일己丑 유시酉時인 경우 사巳운이 오면 화생토火生土로 원수가 은인으로 변한다. 이를 인수 변 상식이라 한다. 식食은 아이들이니까 어머니가 젊어진다. 다른 말로 상하上下가 바뀌었으니 나를 생生해서 들어오는 인수는 선생인데 상식인 제자로 변했으니 선생을 가르치더라. 즉 기토己土내가 사화巳火선생을 가르치더라. 나를 생하는 인수는 기쁨이며 내가 생하는 상식은 슬픔이다. 여자는 친정 다녀오거나 이사하면 잉태하게 된다. 상식이 나쁘게 연결되면 자식이 속 썩인다. 기토는 하나인데 사유巳酉로 크니 자식에게 꼼짝달싹 못한다. 되로 주고 말로 받듯 일련의 요즘 사회적 이슈로 번지는 경우처럼 고로 인수 변 상식은 희비쌍곡喜悲雙曲이다.

2023-03-17 04:00:22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사주학 풀이 (16)

명리학에서 인수印綬는 문서 어머니로 칭한다. 집안싸움 하는 경우를 많이 볼 것이다. 어머니(인수)와 형제(비견겁)가 시기질투로 결속하여 나를 골탕 먹인다. 신申월의 임자壬子일인 경우 신申어머니는 나壬보다 동생子만 끼고 샘을 낸다. 신자申子 비견겁은 재財(마누라)를 극하므로 어머니가 살살 마누라를 고립시킨다. 여자가 축丑月의 신유辛酉일인 경우 딸(여자)은 어머니가 친구 같다. 어머니로 인해 맨날 돈이 없어진다. 외가에서 돈 꾸러온다. 책을 분실하며 동냥공부이다. 운 좋을 땐 장학금이다. 귀금속 잃어버리고 노력은 하나 대가가 없고 공은 타인에게 돌아간다. 인수와 비견겁이 많은 사람은 대다수 친구보증서주고 종래는 거지되고 만다. 매매賣買에 손해요 방해받는다. 비견겁날에 물건사면 비싸게 사고 있는 것 또사고 헛것 산다. 좋게 연결되면 결과가 좋다. 시작(인수)은 좋으나 결과(비견겁)가 부실하고 죽써서 개준다. 비견겁 하나만으로도 동업수이니 동업으로 시작한다. 그 결과는 일주가 약한 사람은 이득, 강한 사람은 종래는 손해 본다. 만약 신약사주가 동업을 해서 성공했다면 서로 갈라서고 혼자하면 실패한다. 왜? 능력부족이니까. 여기서 동업은 인정 많은 사람에게도 동업하라고 한다. 인정이 많으면 친구들이 손 벌리는 경우에는 모두 주게 되지만 동업하면 자기 것이 아니라서 못주니까. 기사일己巳日 유시酉時인 경우 사화巳火 인수가 변해서 사유금巳酉金으로 상식이 되었다. 배운 것은 하나인데 써먹는 것은 사유巳酉로 둘이니 하나 배워서 둘을 써먹는다. 또는 즉시 사유금으로 변하니까 배운 즉시 응용하고 써먹는다. 그러나 하나(巳)들어오고 둘(巳酉)이 나가니 수입과 지출 면에서는 손해다. 인수는 들어오는 것이고 상식은 나가는 것이기에.

2023-03-16 04:00:20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토정비결(土亭秘訣)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토정비결'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으실 것이다. 조선명종 때 토정 이지함이 지었다는 일종의 도참서이나 그의 저서는 토정집이며 토정비결은 누가 지었는지 알 수 없다. 여하튼 주역의 음양설을 기초하여 일 년의 길흉화복을 점치는데 활용된 점복서이다. 생일을 숫자로 따져 해당되는 괘를 읽어내는 방법인데 괘를 뽑는 방법도 간단해 쉽게 괘를 찾아볼 수 있다. 조선선조 때의 학자이자 의약과 복서(卜筮) 천문 지리 음양에 능통했던 그는 너그러운 성격에 산수를 벗하며 방랑생활을 즐기는 방외인이었다고 전해진다. 눈에 띄는 것은 그가 한때 서경덕의 문인으로 지낸 때가 있었다. 서경덕은 당대의 존경받는 학자로 성리학 대가이면서 주역과 천문에 능했다. 이때에 음양을 알아 천기를 읽고 해석하는 류의 깊은 이해를 나누어 후일에 비결이라는 대한민국의 국민점복서를 탄생시킨 배경이 되었으리라본다. 생애의 대부분을 흙담움막집에서 지내 토정이라는 호가 붙은 그의 토정비결은 연초가 되면 집안의 할아버지가 토정비결서를 펼쳐놓고 식구별로 일년 운을 봐주던 기억도 난다. 그는 매우 탁월한 인재였으나 처가의 장인이 역모에 연루되어 토정 역시 양반에서 천민으로 전락했고 몇 년 후 억울한 고변에 의한 것이었음이 밝혀져 복권되기는 했으나 이후 정치권의 벼슬생활이 얼마나 위태로운 것인지 실감했을 것이다. 말년쯤 복권이 되면서 포천(抱川)과 아산(牙山)현감을 지내긴 했으나 벼슬의 허망함을 아는지라 전국의 산천을 두루 다니며 명당과 길지를 점지하고 살폈다. 그런 후에 그는 자손들이 역모나 큰일에 연루되지 않으면서 후손을 편안하게 도모할 수 있는 길지를 찾아 지금의 분당지역을 자손들이 안주하는 집성촌으로 만드는 기틀을 유언으로 남겼다.

2023-03-15 04:00:19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사주학 풀이(15)

화요일 신미일辛未(양羊)이다. 고기 젖 의복을 제공해 주는 양羊 미未 염소는 없어서는 안 될 짐승이다. 양은 유대인 팔레스타인의 거칠고 바라볼 것이 없는 산지의 풀과 그루터기에 돋아나는 새싹을 뜯어먹으며 살아갈 수 있었다. 동아시아에서 양은 십이지十二支의 하나이다. 성경에서 양은 제사용 희생으로 사용되었으며 종종 온순하고 어리석은 백성에 비유됐다. 알려지기로는 식용을 위해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개를 이용해 집단적인 양떼들의 가축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술戌은 미未의 양지養地인데 개가 양떼를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그림이고 늑대가 양을 덮치면 곧 술미형戌未刑이 된다. 이런 형刑의 물상은 소송과 쟁투로 이어진다. 고사에는 양과 개를 싸잡아 하찮은 것에 비유한 예가 많다. 견양犬羊은 곧 별 볼일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재능이 없는 바탕을 두고 견양지질犬羊之質이라 한다. 축술형이 성립되면 축중계수丑中癸水와 술중무토戌中戊土가 짝을 이뤄 축술丑戌의 기물器物은 파괴된다. 미未는 축丑과도 형刑한다. 여기에는 별다른 생의生意가 없기에 소 양 둘 다 힘을 잃게 된다. 사정이 이리하면 문망주우양蚊?走牛羊이라 모기와 등에 마저도 소와 양을 쫓아 시달리게 된다. 축술미와 달리 인신사寅申巳 삼형三刑에는 생生의 의미가 나타난다. 사巳는 인寅에서 생하고 신申은 사巳에서 생한다. 양은 온순하고 겁이 많지만 위협을 받으면 몹시 난폭해지기도 한다. 뜻밖의 사고와 재난을 암시하는 성분이 양인羊刃이다. 호랑이도 양으로 인해 채면을 구긴다. 거죽은 훌륭해도 실속이 없으면 양질호피羊質虎皮라 한다. 인寅은 미未에서 입묘入墓하는 까닭이다. 양이 무사할리 없다. 미未는 인寅에서 사死한다. 그래서 인미寅未 귀문鬼門이 무서운 것이다.

2023-03-14 04:00:29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사주학 풀이(14)

오늘 경오일庚午 말날이다. 사람에게 이로운 동물이 많지만 많은 노동력을 제공하기로는 마소가 으뜸이다. 말을 셀 때는 '필'이라하고 소를 셀 때는 마리라 했다. 말은 야간에 옷감 한필에 해당하는 거리의 시력을 가졌고 소는 한 마리에 해당하는 거리밖에 볼 수 없었다. 그래서 옛날 전쟁터에서 군인들이 야간에 기습을 할 때는 말을 이용했고 소는 뿔이나 마차위에 불타는 장작더미를 쌓아놓고 적진에 투입시켰다. 앞이 보이지 않는 소는 뒤돌아 설줄 모르니 적군에게는 곤혹스러운 대상이었다. 이렇게 유용한 두 동물은 서로 궁합이 맞지 않다. 마차에 소와 말을 함께 묶어 끌게 하면 제자리만 뱅뱅 돌고 만다. 서로를 사납게 대하며 갖자 다른 방향으로 끌고 가려한다. 그래서인지 마우馬牛를 동시에 쓰는 성어에는 예외 없이 보잘것없는 뜻이 담겨있다. 일례로 학식이 없거나 예의를 모르는 사람을 조롱해 이르는 말로 마우금거馬牛禁?가 있다. 도리에 어긋나는 경우를 두고 뿔이 없는 송아지와 뿔이 있는 말의 뜻으로 동우각마童牛角馬로 비유하기도 한다. 대개 말은 개와 짝을 이루어 충忠을 나타내는데 소는 개와 짝을 이루지 못하고 광狂의 공통분모만 성립된다. 인오寅午와 오술午戌은 얼핏 같아보여도 속뜻이 크게 다르다. 앞은 사사死死의 포태胞胎 조합이고 뒤는 양왕養旺이다. 인오는 마치 마이동풍馬耳東風과 같고 오술은 견마지충犬馬之忠 또는 구마지심狗馬之心의 공功으로 나타난다. 축술丑戌은 광견광우狂犬狂牛의 재앙을 초래하기도 한다. 말은 원숭이와도 어긋난다. 신申과 우牛는 쌍방이 욕패浴敗에 놓이는 까닭이다. 날뛰는 말과 떠드는 원숭이는 진정시키기 어려운데 번뇌와 정욕情慾으로 마음이 흐트러져 억누를 수 없는 지경을 두고 의마심원意馬心猿이라 한다.

2023-03-13 04:00:10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