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
기사사진
키움증권, 'CME 금리선물 거래 이벤트' 진행

키움증권은 7월 19일까지 해외선물옵션 계좌 보유 고객 대상으로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금리선물 거래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 CME 금리선물 중 수익률 선물(Yield Futures)이 거래 대상 상품이며, 구체적으로는 2년, 5년, 10년, 30년 수익률 선물로 총 4개의 품목이 있다. 대표적인 국채 선물과 달리, 수익률 선물은 현금으로 결제되며 미국 국채 수익률을 기준으로 거래된다. 이번 이벤트는 거래조건을 달성한 고객에게 추첨을 통해 혜택을 제공한다. 첫 번째로 이벤트 기간 내 CME 수익률 선물 거래 상위 10위 고객 중 2명을 추첨해 각각 백화점 상품권 100만원권을 증정한다. 또 이벤트 기간 내 40계약 이상 거래한 고객 100명을 추첨해 백화점 상품권 5만원권을 증정한다. 마지막으로 이벤트 기간 내 1계약 이상 거래한 신규·휴면 고객 중 100명을 추첨하여 백화점 상품권 1만원권을 증정한다. 이때 신규 고객이란 CME 수익률 선물 최초 거래 고객이며, 휴면고객이란 이벤트 시작일 기준 직전 3개월 동안 해당 상품 미거래 고객이다. 이벤트 간 중복 당첨이 가능해 최대 106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더불어 비대면 계좌 보유 고객이라면 해외선물옵션 마이크로 수수료를 1달러 할인해 주는 이벤트 혜택도 받아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나 키움금융센터를 통해 가능하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05-28 16:22:08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서학개미, 美 대형 기술주만 담는다...점점 커지는 몸집

국내 개인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선호가 높아지면서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의 규모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엔비디아, 마이크로 등 대형 기술주에 투심이 몰린 모습이다. 2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서학개미들은 지난주에 엔비디아를 4017만달러(545억원) 순매수함과 동시에 엔비디아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를 3589만달러(488억원) 사들였다. 지난 24일 기준으로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주식 보관금액 2위로 엔비디아(102억9347만달러)이다. 1위는 지난해부터 서학개미들의 꾸준한 지지를 받았던 테슬라(108억4386만달러)인데, 1·2위 사이의 격차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국제금융센터의 '내국인의 해외투자 현황 및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서학개미들의 해외주식 보관 잔액 중 미국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이달 기준 89.3%에 달한다. 2022년 말 79.9%에서 지난해 말 88.5%로 확대되는 등 몸집이 커지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국내 투자자의 미국주식 보관금액은 775억2674만달러(약 105조7464억원)로 집계를 시작한 이후 월별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다. 연초 646억9353만달러(87조8408억원)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올해 1분기에 들어서는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인한 투자 쏠림 현상이 발견되고 있다.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 인텔 등 대형 기술주들이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의 약 49%(17억1000만달러)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테슬라는 포함되지 않은 결과값이다. 지난주에도 엔비디아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소프트(1448만달러), 미국 반도체 기업인 AMD(1574만달러) 등 기술주에 대한 선호가 유지됐다. 신술위 책임연구원은 "미국 주식 고평가 인식 확산, 달러화 약세 반전 등 투자 위험 증대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향후 미국의 통화정책 피봇 등으로 내국인의 해외투자는 최근의 추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동시에 내국인 해외 투자의 미국 쏠림 등에 따른 투자 위험 관리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다만 지난주에는 금·구리 등 주요 금속들의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관련 ETF에도 투자가 몰렸다. 서학개미들은 지난주에 ▲구리 관련 상품인 'GLOBAL X COPPER MINERS ETF SPLR'(2783만달러) ▲대표적인 미국 금투자 ETF인 'SPDR GOLD SHARES ETF'(2409만달러) ▲글로벌X의 우라늄 ETF(1742만달러) 등도 사들였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5-28 16:20:31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개인 '팔자'에 약보합...2722.85 마감

전날 뉴욕증시의 휴장으로 변동성이 낮아지자 코스피도 관망세를 보이며 약보합 마감했다. 28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0.14포인트(0.01%) 내린 2722.85에 거래를 종료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기관과 외국인이 1114억원, 454억원을 순매수했다. 개인은 홀로 1455억원을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카드(1.39%), 반도체장비(0.77%) 등이 오르고, 게임엔터테인먼트(-4.21%), IT서비스(-2.00%) 등은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 반도체주인 삼성전자(0.52%), SK하이닉스(0.50%), 삼성전자우(0.80%) 등은 일제히 상승했다. 전날 '기업가치 제고 계획' 예고 공시를 통해 밸류업 1호 공시 기업이 된 KB금융(1.05%)도 소폭 상승했지만, 이외에는 대부분이 하락했다. 자동차주인 현대차(-0.19%)와 기아(-0.08%)가 나란히 하락했으며, LG에너지솔루션(-1.23%), 삼성바이오로직스(-1.32%) 등도 내렸다. 상승종목은 406개, 하락종목은 467개, 보합종목은 60개로 집계됐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02 포인트(0.36%) 오른 851.01에 마침표를 찍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기관이 988억원을 팔아치웠다. 반면, 개인과 외국인은 988억원, 67억원씩을 사들였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바이오 관련주가 강세를 보였다. 에이치엘비(15.12%), 에이치피에스피(6.86%) 등이 급등했으며, 셀트리온제약(0.76%)도 소폭 상승했다. 다만 알테오젠(-2.00)은 떨어졌다. 이외 에코프로비엠(-4.75%), 에코프로(-2.67%) 등 대부분은 하락세를 보였다. 상한종목은 6개, 상승종목은 790개, 하락종목은 739개, 보합종목은 115개로 집계됐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5.3원 내린 1358.5원에 마감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5-28 16:17:47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촛불집회까지...금투세 논란 개인투자자 반발 본격화

최근 윤석열 정부와 여당의 금투세 폐지 주장에 반해 야당은 조세 형평성을 거론하면서 금투세 폐지를 반대하고 있는 등 금투세 논란이 지속되자, 개인 투자자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절반으로 줄어드는 사모펀드 감세효과때문에 '부자감세'라는 여론이 비등하고 있다.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한투연)는 22대 국회 개원일인 오는 30일 오후 5시부터 7시 30분까지 여의도 민주당사 앞에서 금융투자소득세 폐지를 촉구하는 촛불집회를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 금투세는 개인투자자가 주식·펀드 등 금융투자로 연간 일정 금액(주식 5000만원·기타 금융상품 250만원) 이상 소득을 거둘 경우 초과분의 22%(3억원 초과분은 27.5%)를 부과한다. 당초 지난해부터 금투세가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2025년으로 2년 유예된 상태다. 금투세 도입이 7개월도 채 남지 않은 지금 시행 여부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현재 여당과 야당이 폐지 및 시행 입장을 유지하면서 금투세 폐지를 합의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개인투자자들은 내년부터 금투세가 시행되면 주식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며 일단 폐지 후 재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의정 한투연 대표는 "우리 주식시장은 신흥국으로 분류되지만 주주환원율 및 주가순자산비율(PBR)과 배당 성향이 중국보다 못하며 기업가치 대비 주가 수준도 최하위권이고 소액주주 보호 및 기업지배구조 순위도 하위권에 속하는 등 모든 지표가 후진국 수준이다"며 "금투세 시행은 시기상조이며 강행 시 주식시장 폭락 참사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금투세는 개인투자자 독박 과세라는 치명적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거래세 인하는 가뜩이나 단타 성향이 높은 우리 주식시장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게 돼 AI 프로그램으로 무장한 고빈도 단타 매매를 하는 외국계 증권사들의 승률을 높여줄 뿐"이라며 "결정적으로 고액 투자자들이 미국 등으로 150조원 내외 자산을 이전하면 개인투자자의 투매 현상으로 인해 주식시장이 초토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일각에서는 금투세 시행이 초부자 감세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3억원 이상부터 투자가 가능한 사모펀드는 기존 최고 세율이 49.5%지만 금투세가 시행되면 27.5%로 낮아져 오히려 사모펀드에 감세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정 대표는 "사모펀드에 가입한 일부 의원 등 고액 자산가들이 감세 혜택을 주는 것은 어불성설이다"라면서 "금투세 시행이야말로 부자 감세이므로 조세 형평을 위해 금투세는 반드시 폐지돼야 한다"고 했다. 다수당인 민주당의 동의가 있어야만 금투세 폐지가 가능한 만큼 한투연은 늦어도 8월까지 여야 합의로 금투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 대표는 "정치적 합의로 다시 유예하는 것은 꼼수이자 치명적 악수"라며 "유예 기간 중 우리 주식시장의 꽃은 불확실성으로 인해 계속 시들고 마침내 생명의 불꽃이 사그라들어 다수의 피해자를 양산할 뿐이다"라고 설명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05-28 16:15:42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KB자산운용, 'KBSTAR 미국30년국채액티브 ETF' 출시

KB자산운용은 'KBSTAR 미국30년국채액티브 ETF'를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난해 선보인 'KBSTAR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 ETF', 'KBSTA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 ETF'에 이어 미국30년 국채 상장지수펀드(ETF) 3종 라인업을 완성하게 됐다. 'KBSTAR 미국30년국채액티브 ETF'는 미국에서 발행한 'AA+' 신용등급 장기국채 및 장기국채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장지수상품(ETP)에 투자해 매달 이자를 받는 월배당형 상품이다. 금융채나 회사채 대비 안정성이 높으며, 잔존만기 20년 이상의 미국국채로 구성한 비교지수(Bloomberg US Treasury 20+Year Total Return Index) 대비 높은 초과 수익을 목표로 한다. 'KBSTAR 미국30년국채액티브 ETF'의 듀레이션은 약 20~21년 수준으로, 일반적인 미국 30년 국채 듀레이션(약 16년)보다 1.3배 더 길게 투자하는 것이 특징이다. 금리가 1% 하락할 때 채권 가격 상승폭이 기존 미국 30년 국채 대비 약 4% 더 크며, 이러한 액티브 전략을 활용해 금리 인하 시기에 상대적으로 더 큰 가격 변동을 추구할 수 있다. KB자산운용에 따르면 이 상품은 환노출 전략으로 환율 변화 사이클에 따라 환차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최근 미국과 한국 간 기준금리 격차 확대에 따른 높아진 환헤지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원·달러 환율 상승 시 차익도 얻게 된다는 설명이다. 김찬영 KB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최근 미국의 비농업부문 고용지수, 실업률 등 고용지표가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하반기 중으로 미국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기존 미국30년 국채 대비 듀레이션이 1.3배 긴 'KBSTAR 미국30년국채액티브 ETF'를 활용한다면 금리 인하 시 더 많은 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5-28 16:10:05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신한MAN글로벌하이일드펀드, 수탁고 300억원 돌파!

신한자산운용은 '신한 MAN글로벌하이일드펀드'가 출시 5개월만에 300억원을 돌파했다고 28일 밝혔다. '신한 MAN글로벌하이일드펀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4.68%로 글로벌 하이일드 펀드 중 수익률 1위를 기록했다. 또한 동일 유형펀드의 3개월 평균 수익률(1.66%)에 비해 두 배 이상의 초과성과(1.76%포인트)를 달성했다.이는 24일 제로인기준, 운용펀드 기준, 동일유형 100억이상 기준이다. 해당 펀드는 영국의 'Man High Yield Opportunities'라는 펀드에 투자하는 재간접 펀드로, MAN Group의 대표적인 하이일드 펀드다. 피투자펀드인 MAN GLG 하이일드펀드는 2019년 출시 이후 58.1%(연평균 9.1%)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글로벌 하이일드 인덱스(24.0%, 연평균 4.2%) 대비 2배 이상의 초과 성과를 보여 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이일드 펀드의 성과를 가늠할 수 있는 YTW(Yield to Worst, 채권의 조기상환 가능성을 감안해 계산된 투자자가 얻을 수 있는 최소한의 연환산 수익률)는 10.4%로 비교지수 ICE BofA Global High Yield Index의 YTW 7.8% 비해 높은 성과를 보였다. 신한 MAN글로벌하이일드펀드는 인덱스 중심의 펀드와 다르게 크레딧 리서치를 통해 개별 기업 종목을 선정한다. 시장에서 리서치가 덜 돼 있는 섹터나 기업들 중에서 뛰어난 펀더멘털과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형성돼 있는 종목들을 발굴 및 선별한다는 설명이다. 신한자산운용은 투자자들의 월배당 수요에 맞춰 4월 23일 동일한 운용전략의 '신한 MAN글로벌하이일드월배당펀드'를 출시했다. 월배당과 자본차익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상품으로 출시 1개월 만에 50억원 이상의 자금이 모이고 있다. 이번 첫 월배당 지급예정으로 7% 수준의 배당률(연환산기준)를 보인다. 박정호 신한자산운용 펀드솔루션 팀장은 "현재 시장에서는 미국보다 유럽 ECB가 더 빨리 금리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며 "타 하이일드 펀드가 미국에 가장 큰 비중을 보유하고 있는 것과 달리 신한 MAN 글로벌하이일드 펀드는 유럽과 영국의 비중 확대를 통해 더 빠른 금리인하에서 오는 수혜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5-28 15:52:24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NH투자증권, 퇴직연금 분석한 'THE100리포트' 91호 발간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는 'THE100리포트' 91호를 발간했다고 28일 밝혔다. THE100리포트는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에서 발간하는 리서치자료로 행복한 100세시대를 위한 생애자산관리, 고령화 트렌드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한다. 이번 리포트에선 ▲퇴직연금 DC형 가입현황 분석 ▲채권 직접투자, 왜 하는 걸까? Part 2 ▲금융시장의 Autopilot, TDF ▲분양형 실버타운, 살까(Buy)? 살아볼까(Live)? 4가지 주제를 다뤘다. 대한민국 직장인 대상 퇴직연금 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대표적인 수익자산인 채권의 매력과 주의할 점, 노후 자산관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TDF에 대해 분석했다. 또 지난 3월 발표된 분양형 실버타운 허용에 관한 조사 내용도 담겼다. 김진웅 NH WM마스터즈 수석전문위원(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장)은 "이번 리포트를 통해 우리나라 직장인 중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가입자들의 인식을 일부 엿볼 수 있었다"며 "고령화 사회가 목전에 있는 현 시점에서 실버타운에 대해 자세히 들여다봄으로써 앞으로 주거 형태에 대한 고민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THE100리포트는 NH투자증권 홈페이지 100세시대연구소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4-05-28 15:49:20 허정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