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
기사사진
코스닥 상위 기업, 코스피 이전상장에도 주가 부진 지속

코스닥 대장주들이 투자자 유입, 기업 인지도 제고 등의 효과를 예상하며 코스피로 자리를 옮겼으나 이들 기업의 주가는 기대에 못 미치는 부진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코스닥서 코스피로 이전 상장한 파라다이스, 포스코DX, 엘앤에프 등의 주가는 두 자릿수 하락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달 24일 코스피 시장에 입성했던 카지노 기업 파라다이스의 주가는 이전 상장 후 19%가량 급락했다. 이전 상장을 한다는 소식에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1만5000원을 넘어섰으나 최근 들어 1만2000원대까지 떨어졌다. 기대했던 기관이나 외국인의 대규모 자금 유입도 주춤했다. 오히려 이 기간 동안 기관은 361억원어치 순매도했으며 외국인의 순매입은 9억5600만원어치에 그쳤다. 올해 첫 코스피로 이전했던 정보기술(IT) 서비스기업 포스코DX의 주가 역시 이전 상장 직전 7만4200원에서 57%가량 떨어졌으며, 지난 1월 말 코스피로 옮겨온 2차전지 소재기업 엘앤에프의 주가도 이전 상장 이후 29% 내렸다. 이전 상장을 앞두고 15만9400원에 거래됐던 주가는 현재 11만3500원으로 주저앉았다. 코스닥에서 코스피 이전은 수급 개선, 투자자 저변 확대, 기업가치 제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시장에서 호재로 여겨졌으나 최근에는 그렇지 않은 모습이다. 이는 실적을 동반한 호재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포스코DX, 엘앤에프의 경우 이차전지 산업 불황이 이어진 점이 주가에 반영됐다. 파라다이스도 성장폭이 둔화하고 있다. 키움증권은 파라다이스의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한 2822억원에 영업이익은 25.4% 감소한 409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남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최근 공시를 통해 2026년 연결기준 1조2554억원의 매출 목표를 내세웠지만 단기 실적 개선 포인트 부재, 중장기 투자 비용 증가로 발표 이후 주가는 하락했다"며 "올해 2~3분기는 전년 실적 베이스가 높아져 추가 성장 모멘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코스피 이전상장보다는 기업의 실적과 성장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투자자들이 이전 상장을 호재로 받아들이는 이유는 실적 개선보다는 단순히 수급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 심리 때문"이라며 "이러한 수급상의 효과는 실제로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업의 본질적 가치가 달라지지 않았는데 코스피로 이전한다고 해서 주가가 갑자기 높아지는 건 정상적이지 않다"며 "일시적인 수급상의 변화보다는 기업의 펀더멘탈(기초체력)을 중요하게 봐야 한다"고 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07-25 11:44:26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삼성운용 "KODEX AI전력핵심설비 상장 2주만에 순자산 1000억 돌파"

삼성자산운용은 인공지능(AI)전력 상장지수펀드(ETF)인 'KODEX AI전력핵심설비'가 순자산 1212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KODEX AI전력핵심설비는 국내 전력설비 빅3(BIG3) 종목인 HD현대일렉트릭(21.2%), LS Electric(23.4%), 효성중공업(15.3%) 을 최대 비중으로 편입하는 등 선별된 핵심 종목에 집중 투자할 수 있도록 설계된 ETF다. 현재 AI전력설비 분야는 포스트 AI반도체 테마로 꼽힌다. 23일 HD현대일렉트릭은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57% 증가한 2,100억을 기록해 하루 만에 17.69% 상승했다. 이외에도 LS Electric과 효성중공업 등 편입된 종목들도 일제히 상승하며, 이 ETF도 하루 만에 10.59%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국내 AI전력설비 핵심 기업에 대한 전망도 긍정적이다. AI로 인한 전력부족 현상이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적으로 다가오면서, 전력망 확대에 필수적인 초고압변압기, 전선 등 국내 전력설비 기업들의 수주 신기록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초고압변압기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과 생산이력을 가진 국내기업들은 이미 3~4년치 수주를 완료한 상황이다. 또한, 국내 및 미국 현지 공장 가동률이 이미 100%에 달하면서, 국내 기업들은 고마진 위주의 수주를 선별해서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효율적인 수주 전략과 미국 현지 생산능력 등으로 핵심 기업의 수익성은 지속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대환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지금 주요 국가들의 경우 AI로 인한 전력설비, 인프라의 신규 수요도 크지만 그동안 노후화된 전력설비 교체수요까지 더해진 상황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미국 등 전력 기업들의 성장 슈퍼사이클은 꾸준히 이어질 것"이라며 "AI전력설비 및 인프라에 투자하는 ETF에 투자자들이 장기적인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07-25 11:42:20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상반기 펀드 이익배당금 23조…전년比 84.2%↑

올해 상반기 펀드 이익배당금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상반기 펀드 이익배당금 지급액은 23조 443억원으로, 전년 동기(12조5082억원) 대비 84.2% 증가했다. 이중 공모펀드 이익배당금은 3조 4921억원으로 66.9% 증가했고, 같은 기간 사모펀드 이익배당금은 19조5522억원으로 87.7% 늘었다. 이이익배당금을 지급한 펀드수 역시 공모펀드 1349개, 사모펀드 7792개로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각각 32%, 6.5% 증가했다. 펀드 이익배당금 지급액 중 당해 펀드에 재투자한 금액은 12조7555억원으로 이익배당금의 55.4% 수준으로 집계됐다. 공모펀드 재투자율은 90.9%(3조1751억원), 사모펀드 재투자율은 49%(9조5804억원)로 나타났다. 예탁원 관계자는 "사모펀드의 경우 재투자가 쉽지 않은 부동산·특별자산형 비중이 공모펀드보다 높아 재투자율이 낮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규로 설정된 펀드 최초 설정액인 신규 설정액은 31조868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4% 증가했다. 청산분배금은 18조 540억원으로 18.5% 늘었다. 공모펀드의 신규 설정액은 2조995억원으로 21.1% 감소한 반면, 청산분배금은 1조7432억원으로 2.7% 증가했다. 사모펀드의 신규 설정액은 29조7690억원, 청산분배금은 16조31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7%, 20.5% 늘었다. 공모펀드에선 신규 설정액과 청산분배금 모두 채권·채권혼합 유형에서 크게 늘었고, 사모펀드에선 신규 설정액은 기타 유형에서 대폭 증가했으나 청산분배금은 부동산·특별자산 유형에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07-25 11:41:11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0만원 돌파하며 연중 신고가 경신

국내 방산 대표주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30만원 고지를 넘어섰다. 이에 모회사인 한화 주가도 주목받고 있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57분께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주가는 전일 대비 0.67% 오른 30만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미국 뉴욕 증시가 급락하며 국내 증시까지 흔들리고 있지만 한화에어로스페이시는 장 중 31만250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대선 후보에서 물러나면서 지난 22일 종가 기준으로는 2.31%(6500원) 하락한 25만5000원을 기록했지만, 23일과 24일에는 4% 이상의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다. 오는 31일 2분기 실적을 앞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를 부양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가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2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6.48% 증가한 2조6336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영업이익은 160.29% 증가한 2159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증권가에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상승세를 보고 모회사인 '한화'의 목표주가까지 높였다. SK증권은 25일 한화의 목표주가를 3만4000원에서 3만9000원으로 수정했다. 이날 오전 11시께 한화 주가는 전일 보다 1.35% 3만100원에 거래 중이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한화 자회사 가치 중 가장 큰 비중(24일 기준, 54.3%)을 차지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연초 대비 140% 상승했고 전체 상장 자회사의 순자산가치(NAV)도 37% 증가했다"며 "그럼에도 한화 주가는 15% 상승에 그쳐 NAV 대비 할인율이 70.8%까지 확대됐다"며 주가 상승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2024-07-25 11:08:05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미국S&P500 ETF' 개인 누적순매수 1위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S&P500 ETF'가 국내 상장된 전체 ETF 가운데 최근 1년간 개인 누적 순매수 1위를 차지했다고 25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7월 25일부터 이달 24일까지 집계된 'TIGER 미국S&P500 ETF'의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는 24일 종가 기준 1조 737억원이다. 이는 국내 상장된 ETF 873종목 중 최대 규모다. 뿐만 아니라 해당 ETF는 같은 기간 일평균 거래대금 258억원이며 순자산 4조 2284억원(24일 종가 기준)에 달하는 국내 대표 미국 투자 ETF다. 이 ETF는 미국 3대 대표지수 중 하나인 'S&P500 지수'를 추종한다. S&P500 지수는 미국에 상장된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으로 구성되어 미국의 전반적인 경제 상황을 반영한다. TIGER ETF는 'TIGER 미국S&P500 ETF'를 비롯해 현재 국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미국 주식 투자 ETF다. 미국 대표지수에 투자하는 'TIGER 미국S&P500 ETF'와 'TIGER 미국나스닥100 ETF'의 최근 1년간 총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는 1조 494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국내 상장된 S&P500지수 투자 ETF(9종)와 나스닥100 지수 투자 ETF(5종) 등 총 14종의 전체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인 2조 9360억원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미국 대표 지수 ETF의 개인 투자자 자금 절반 이상이 'TIGER 미국S&P500 ETF'와 'TIGER 미국나스닥100 ETF'에 투자한 셈이다. 김남호 미래에셋자산운용 FICC ETF운용본부 본부장은 "'TIGER 미국S&P500 ETF'와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는 개인 순매수, 일평균 거래대금 그리고 순자산 규모에서 알 수 있듯이 장기간 좋은 성과를 보이며 개인 투자자들의 활발한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며 "TIGER ETF는 선제적으로 미국 투자에 대한 최고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ETF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S&P500 ETF'의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 1위 등을 기념하며 미국투자 TIGER ETF 고객 대상 이벤트를 진행한다. 7월 26일부터 8월 8일까지 'TIGER 미국S&P500 ETF',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중 1종 이상 보유 및 8월 분배금 인증 고객에게는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제공한다. 자세한 이벤트 내용은 TIGER ETF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2024-07-25 10:33:35 허정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