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까지 올라가는 거예요?"...올해만 100%대 오른 방산株
글로벌 안보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K-방산 기업들의 주가 강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현대로템의 주가는 올해만 약 2배 뛰었으며, 외국인 투자자의 집중 매수세도 이어지고 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현대로템은 각각 115.93%, 104.43%씩 급등했다. 코스피 중에서는 3·4위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이다. 이외에도 한화오션(98.92%), 한국항공우주(56.10%), 풍산(29.52%) 등의 방산주가 일제히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5거래일 동안 외국인이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도 방산이다. 해당 기간 동안 외국인들은 한국항공우주를 1197억원 순매수했으며, 현대로템 역시 7011억원으로 순매수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전 세계적으로 방위비 증액 기대감이 오르면서 방산주가 주목되고 있다. 최근 유럽연합(EU)은 방위력 강화를 위해 8000억유로(약 1258조원) 동원을 목표로 하는 '유럽 재무장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EU의 재무장 계획대로라면 EU 내 23개 나토 회원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방비 비율을 현재 2% 수준에서 약 3.5%까지 올려야 한다. 정동호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이를 기준으로 할 때, 나토 유럽·캐나다(미국 제외)의 국방 예산은 9179억달러(1334조원), 무기조달예산은 국방예산 내 비중 45%로 가정시 4092억달러(593조원)를 예상한다"며 "그중 한국 유효시장은 1066억달러(154조원)으로 전체의 26%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국 방산업체의 유럽 매출 비중이 높은 만큼 멀티플(주가의 이익배수)을 높여갈 유인이 충분하다는 판단이다. 증권가에서도 방산주 훈풍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달부터 이달까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대한 기업 보고서를 낸 18곳 모두가 목표가를 상향 조정했으며, 이번 주(3월 10~16일)에도 BNK투자증권, KB증권 등이 목표가를 올렸다. 특히 BNK투자증권은 기존 65만원보다 36.8% 높은 100만원으로 올리면서, 최고가를 제시했다. 이상현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말 기준 지상방산 부문 수주 잔고는 32조4000억원으로 폴란드향 천무 2차 실행 계약, 루마니아 K9 공급 계약 등 다수의 계약 체결로 수주 잔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2025년에도 지상방산에서 폴란드향 K9 70문 이상, 천무 50대 이상 인도, 호주 및 이집트 K9 계약 공급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등 해외 수주 잔고를 바탕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올해 예상 연결실적에 대해서는 매출액 13조9000억원, 영업이익 2조2000억원을 예상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3%, 28%씩 증가한 수치다. 현대로템에 대해서도 비슷한 전망이 유지되고 있다. 가장 높은 목표주가는 15만원으로 교보증권이 제시했으며, 이번 주 들어 미래에셋증권과 BNK투자증권도 14만원으로 목표가를 상향했다. 14일 종가 기준 현대로템의 주가는 10만1600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