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스포츠
"평화올림픽 위한 약속" 정부대표단, 휴전결의안 채택 관련 UN 총회 참석

대한민국 정부대표단이 2018 평창 동계올림픽·패럴림픽 대회(이하 평창올림픽) 휴전결의안(the Olympic Truce Resolution for PyeongChang) 채택을 위해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 제72차 총회에 참석한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와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위원장 이희범)는 "오는 13일 오전 10시(현지 시각) 뉴욕 유엔 본부에서 개최되는 제72차 유엔 총회에 평창 동계올림픽 휴전결의안 채택을 위해 우리나라 정부 대표단이 참석한다"고 밝혔다. 정부 수석대표인 도종환 문체부 장관과 이희범 조직위원장, 강원도, 평창올림픽 및 패럴림픽 홍보대사(김연아·정승환), 청소년 등 10명으로 구성된 정부 대표단은 휴전결의안이 원활하게 채택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평창올림픽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스포츠와 올림픽 이상을 통해 평화롭고 더 나은 세상 건설'(Building a peaceful and better world through sport and the Olympic ideal)이라는 제목의 올림픽 휴전결의안은 1993년 10월 25일 유엔에서 결의된 이후, 올림픽이 열리는 시기와 맞물려 2년마다 유엔 총회에서 채택되고 있다. 이번 휴전결의안은 평창올림픽이 전 세계 동계 스포츠에 새로운 지평(New Horizon)을 열 것임을 강조한다. 또한 '2018 평창, 2020 도쿄, 2022 베이징'으로 이어지는 동북아 연속(릴레이) 올림픽의 첫 주자인 평창올림픽이 한반도와 동북아시아, 그리고 전 세계에 평화를 구축하는 의미 있는 기회라는 점도 알리고 있다. 휴전결의안은 우리 정부 주도하에 초안을 작성, 유엔 회원국들간 문안 협상 과정을 통해 마련됐으며 11월 13일 제 72차 유엔총회에서 채택된다. 결의안 채택 이후 정부 대표단은 유엔 출입기자와 현지 주요 외신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미디어브리핑과 인터뷰 등 다양한 홍보활동을 통해 평창올림픽과 휴전결의안 채택의 의미를 더욱 널리 알릴 계획이다. 이희범 조직위원장은 "올림픽 휴전결의안 채택을 계기로 평창올림픽을 전 세계가 지지하는 평화올림픽으로 만들겠다. 또한 전 세계에 평창올림픽이 안전하고 평화롭게 열린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2017-11-12 12:39:52 김민서 기자
기사사진
한국중부발전(주), 평창올림픽 '탄소배출권' 1만 톤 기부

국내 기업들이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제로화에 앞장서고 있다. 조직위원회(위원장 이희범)는 10일 "한국중부발전(주)이 CDM(청정개발체제) 사업을 통해 발급받은 탄소배출권(CERs) 1만 톤을 이날 오후 조직위 평창 주사무소에서 기부 받았다"고 밝혔다. 탄소배출권 1만 톤은 잣나무(30년생) 약 82만 그루가 1년 동안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양이다. 조직위는 이번 기부를 포함해 지금까지 탄소배출권과 산림탄소흡수량을 기부 받거나, 산림탄소상쇄사업 등록 등 외부적인 상쇄사업과 조직위 자체 사업을 통해 총 138만 9000톤을 달성, 총 예상배출량 159만 6000 톤의 87%를 달성했다. 또한 조직위는 경기장과 선수촌에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하고 저탄소 수송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자체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김상표 조직위 시설사무차장은 "이번 기부는 대회가 다가올수록 국내기업들이 성공적인 '탄소를 책임지는 대회 구현'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 참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앞으로도 많은 기업들이 동참해 평창올림픽을 환경올림픽으로 개최하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01년 4월 전력산업구조개편관련법률에 따라 한국전력공사에서 분사한 국내 대표적인 에너지 공기업인 한국중부발전(주)은 전국 7개 발전본부와 국내·외 풍력, 태양광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운영해 전력과 난방열을 공급하고 있으며, 중장기 신재생에너지 추진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을 현재 발전량 대비 20%(연간 약 810만톤 온실가스 감축효과 예상)까지 확대하는 것은 물론, 온실가스 감축사업과 대기오염물질 감축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7-11-10 14:35:38 김민서 기자
기사사진
KLPGA 우승 조건은 장타? 우승자 대부분 245야드 넘겨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는 장타 전성시대다. 올해 투어에서도 비거리 245야드 이상의 장타력을 갖추지 못한 선수가 우승한 것은 단 네 차례뿐이다. KLPGA 투어에서는 드라이버샷 평균 비거리가 245야드 이상이면 장타력을 갖췄다고 본다. 올해 여기에 해당하는 선수는 총 52명이다. 이 경우 파4홀이나 파5홀에서 파온, 짧은 파5홀에서는 투온이 가능하다. 장타자로 분류되는 기준은 평균 비거리가 250야드 이상일 때다. 올 시즌에는 24명이 이에 해당한다. 250야드 이상이면 파4홀에서 두 번째 샷을 쇼트 아이언이나 웨지로 칠 수 있다. 올해 우승자 가운데 평균 비거리가 245야드에 미치지 못한 선수는 단 4명뿐이다. 롯데칸타타여자오픈 김지현, 금호타이어여자오픈 박보미, 카이도여자오픈 박신영, 하이트진로챔피언십 이승현 등 우승자들이 이에 해당한다. 나머지 우승자들은 대부분 투어 평균을 훌쩍 뛰어넘는 장타력을 지녔다. 특히 상금랭킹 15위 이내 선수는 이승현을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이 모두 비거리에서 밀리지 않는 장타자다. 올해 투어 상금왕뿐 아니라 대상·다승왕 등 전관왕을 예약한 이정은의 성공도 투어 15위(평균 252.31야드)의 장타력이 뒷받침됐다. 나란히 3승씩을 올린 김지현과 김해림, 올 시즌 두 차례 우승한 오지현도 장타가 특기다. 고진영과 박민지, 이다연 등도 장타에 힘입어 활약을 펼쳤다. 물론 장타자라고 해서 다 좋은 성적을 거두는 건 아니다. 장타 1위인 이나경 등 10위 이내 선수 가운데 7명은 우승과 인연이 없었다. 장타가 필요조건은 맞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뜻이다 .

2017-11-09 16:58:55 김민서 기자
기사사진
메트로신문 스포츠 한줄뉴스

▲한국 컬링 국가대표팀이 2017 아시아태평양 컬링 선수권대회(PACC)에서 21년 만에 남녀 동반 우승을 달성했다. ▲한국기원이 오는 11~12일 열리는 2017 대한민국 바둑대축제에서 바둑 보급에 활용할 캐릭터 '아리'와 '도리'를 공개한다. 아리와 도리는 각각 바둑판에서 느끼는 희로애락(喜怒哀樂) 4가지 표정을 갖고 있다. ▲전 여자친구를 성폭행한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프로야구 전 KIA 타이거즈 유창식이 징역 2년 6월, 성폭행 치료 프로그램 40시간 이수를 선고 받았다. 앞서 그는 프로야구 승부조작에 가담해 1심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바 있다. ▲한국 알파인 스키 간판 정동현이 오는 11~12일 핀란드에서 열리는 국제스키연맹(FIS) 월드컵 회전 종목에 출전한다. ▲프로농구 안양 KGC 인삼공사의 대들보 오세근이 2017-2018 정관장 프로농구 1라운드 최우수선수(MVP)로 선정됐다. ▲홍명보장학재단이 내달 9일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리는 자선 축구경기 'Share The Dream Football Match 2017'의 홍보대사로 축구선수 출신 가수 노지훈을 위촉했다. ▲올해 대학축구 최강자를 가리는 2017 U리그 왕중왕전이 10일 전남 광양에서 막을 올린 뒤 24일까지 열전을 벌인다. 왕중왕전에는 올해 주말 리그를 통해 11개 권역에서 치열한 경쟁을 뚫은 32개 팀이 참가해 토너먼트로 승자를 가린다.

2017-11-09 16:58:44 김민서 기자
기사사진
'생애 첫 FA' 앞둔 류현진, 신무기로 승부수 띄운다

'코리안 몬스터' 류현진(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이 내년 시즌 준비에 돌입했다. 계약 마지막 시즌을 앞둔 그는 '팔색조'로 거듭나 건재함을 과시할 계획이다. 류현진은 올해 우려와 기대 속에 마운드에 다시 올랐다. 어깨와 팔꿈치 부상을 털고 돌아온 그는 25차례 꾸준히 등판하면서 6차례 퀄리티스타트(QS·선발 6이닝 이상 3자책점 이하)로 호투를 펼쳤다. 그러나 8차례는 선발 5이닝을 채우지 못하고 강판당하는 등 기복을 보였다. 8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한 류현진은 올 시즌에 대해 "만족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는 "팔에 문제 없이 시즌을 잘 치른 것은 잘했다고 생각한다. 몸 상태도 전혀 문제 없었다"며 "부상 없으면 된다고 했는데 부상 없이 치렀다"고 소회를 전했다. 류현진은 올 시즌 건강함을 증명한 만큼 내년엔 본격적인 성과를 내겠다는 각오다. 성적(126⅔이닝 5승 9패 평균자책점 3.77)과 포스트시즌 엔트리 불발 등에 대한 아쉬움은 뒤로한다. 류현진에게 내년이 중요한 이유는 다저스와 계약을 단 1년 남긴 시점이기 때문이다. 2013년을 앞두고 다저스와 6년 총액 3600만 달러에 계약한 그는 내년 시즌을 마치면 자유계약선수(FA)가 돼 새 평가를 받아야 한다. 이미 내년 준비에 돌입한 류현진은 신무기로 새로운 구종을 준비 중이다. 올해도 기존에 구사하던 직구, 체인지업, 슬라이더, 커브에 이어 제5의 구종 커터를 추가했던 그는 제6의 구종을 선보일 계획이다. 야구통계사이트 팬그래프닷컴에 따르면 류현진은 지난 2014년 직구 52.3%, 슬라이더 15.8%, 커브 13.2%, 체인지업 18.8%의 비율로 던졌다. 그러나 재활로 긴 공백기를 가진 뒤 돌아온 2017년에는 직구와 슬라이더 비율을 36.8%, 4.2%로 낮추고 새 구종 커터를 18.0% 비율로 구사했다. 커브와 체인지업 구사율은 각각 15.6%, 25.4%였다. 류현진은 내년 제6의 구종을 추가할 예정이다. 이미 포스트시즌 엔트리에 승선하지 못한 시간을 활용해 장착 과정에 돌입했다. 그는 "포스트시즌 때 불펜피칭을 하면서 투심 패스트볼을 많이 던졌다. 내년에는 투심도 준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2017-11-09 16:17:52 김민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