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기사사진
한국타이어 ESG 보고서 글로벌 시장서 주목…美 LACP 어워드서 금상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 '2021/22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보고서'가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한국타이어는 자사의 '2021/22 ESG 보고서'가 미국 커뮤니케이션 연맹(LACP)이 주관하는 'LACP 2022 스포트라이트 어워드'에서 금상을 수상했다고 6일 밝혔다. 한국타이어의 '2021/22 ESG 보고서'는 첫인상, 서사성, 디자인, 창의성 등 6개의 평가항목 중 4개의 항목에서 최고 점수를 받으며, 100점 만점 기준 98점이라는 높은 평가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LACP가 전세계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한 '월드와이드 탑 100' 우수작품에 선정되기도 했다. 한국타이어는 지난 2010년부터 한 해 동안의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활동과 성과, 중장기 전략을 공유하는 ESG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특히 올해 보고서는 지난해 새롭게 수립한 ESG 비전 체계에 따라 ▲환경 친화적 순환 구조 ▲지속가능 제품 ▲책임 있는 참여등 세가지 우선 순위 항목별로 활동 성과를 보고했다. 또 최근 글로벌 공통 이슈로 떠오른 기후 위기 해결에 적극 동참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 '탄소중립 로드맵'을 하이라이트 섹션에서 상세하게 다뤘으며,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TCFD) 권고안에 따른 보고도 전년 대비 강화했다. 이 외에도 지속가능경영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이어나가고 있다. 2021년 7월 ESG 위원회를 신설한 데 이어, 지난 5월 이사회를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 '기업지배구조 헌장'을 공표하며 전사 차원의 ESG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있다. 지난 9월에는 타이어 업계 최초 SBTi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제출하며 글로벌 ESG 경영의 선두주자로서 본격적인 탄소 중립 실현에 나섰다.

2022-12-06 11:37:51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롯데렌탈, 친환경· SUV 중고차 수출 호조…'3천만 불 수출의 탑' 수상

롯데렌탈이 '제59회 무역의 날' 시상식에서 친환경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중고차 수출 호조에 따라 '3000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고 6일 밝혔다. 무역의 날은 한국무역협회의 주최로 매년 해외 시장 개척과 수출 증대에 기여한 기업을 선정해 포상하는 행사이다. 롯데렌탈은 중고차 수출 브랜드 'LOTTE AUTO GLOBAL(롯데 오토 글로벌)'을 통해 올해 10월까지 중고차 누계 수출액 3714만 불을 기록한 기념으로 수상했다. 2020년(1132만 불) 대비 244.5% 증가한 수출액 3900만불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한다. 롯데 오토 글로벌은 중고차 수출 확대를 위해 중동과 남미 등 해외 판로를 개척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넓혀왔다. 특히 국내 중고차 선호도가 높은 중동지역 국가에 영업 역량을 집중하여 뛰어난 수출 성과를 이뤘다. 주요 수출국으로는 중동에 요르단과 사우디아라비아, 중남미에 도미니카공화국 등이 있다. 롯데렌탈은 중고차 수출 플랫폼 '롯데 오토 글로벌'을 신규 오픈하면서, 중고차 수출 판매 채널을 확장했다. 이로써 정찰가 판매는 물론 실시간 중고차 입찰 시스템까지 해외 바이어를 대상으로 다양한 판매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김현수 롯데렌탈 대표이사 사장은 "3000만불 수출의 탑 수상은 중고차 경매 노하우와 차량관리전문 자회사 롯데오토케어를 통한 우수한 차량 관리 등 당사의 강점을 활용해 수출 사업을 확대한 결과"라며 "향후에도 국내외 고객에게 투명한 정보를 제공하여 품질 좋은 중고차를 제공하겠다"고 전했다.

2022-12-06 09:16:08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글로벌 위기속 국산차 수출 성장 지속 전망…KAMA 보고서 발표

올해 자동차 수출액이 또다시 역대 최대치를 경신할 전망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5일 '2022년 자동차산업 평가 및 2023년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예상했다. KAMA는 올해 530억달러 수출액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수 2.3%, 수출 11.7%에 생산 6.9% 성장으로 공급망 차질을 극복하는 것. 글로벌 시장이 전년보다 0.7% 감소한 8432만대로 추정되는 상황에서도 좋은 실적이 기대됐다. 현대차그룹 점유율은 8.1%로 글로벌 3위가 유력하다. 대기수요 축소와 경기침체로 위기가 있지만, 내년에도 내수 1.5%와 수출 3.1%, 생산 1.4% 등 소폭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봤다. 다만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미국 IRA법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뿐 아니라, 수출 물류 애로를 해소하는 등 민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앞으로 10년간 미래차 전환을 위한 신규 투자가 절실한 만큼, '미래차 특별법'을 제정해야한다며, 높은 인건비와 경직된 노동 유연성이 국내 생산과 투자를 저하시키는 데에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KAMA 강남훈 회장은 "올해 자동차 시장은 미·중 패권경쟁 등 자국 중심의 보호무역 확대, 반도체 부족과 연이은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도 불구하고, 국내 완성차와 부품업계의 노력으로 생산을 확대하였으며, 정부 또한 공급망 차질 해소 노력이 더해져 역대 최대 수출금액 530억불을 달성함으로써 국가 경제에 버팀목이 되고 있다"며, "향후 지속적인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美IRA법 피해 최소화, 수출 물류애로 해소 등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추가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

2022-12-05 16:39:17 김재웅 기자
기사사진
수입차 시장, 누적 등록 전년比 '플러스' 전환…벤츠-BMW 1위 경쟁

수입차 시장이 올해에도 연간 기준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11월 수입차 신규등록대수가 2만8222대였다고 5일 밝혔다. 공급망 위기로 시장이 주저앉은 전년 동기(1만8810대)와 비교하면 50% 성장, 전달(2만5363대)보다도 11.3%나 늘어난 수치다. 특히 누적 등록 대수가 전년 동기 대비 '플러스'로 전환하며 연간 기준으로도 성장을 사실상 확정했다. 25만3795대로 전년(25만2242대)보다 0.6% 많았다. 공급량이 늘어나는 추세에 연말 인도량을 늘리는 추세를 감안하면 성장률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브랜드별로는 메르세데스-벤츠가 1위를 이어갔다. BMW는 7734대를 등록했다. 이어서 볼보(2615대)가 전달보다 3배나 많은 등록 대수로 브랜드 누적 10만대까지 달성하며 3위에 올랐다. 폭스바겐(1943대)과 아우디(1667대), 미니(1227대)와 쉐보레(1056대)가 뒤를 이었다. 누적 기준으로는 벤츠와 BMW가 1위를 두고 끝까지 경쟁할 분위기다. BMW가 7만1713대로 가장 앞서는 가운데, 벤츠도 7만1525대로 바짝 따라붙어있다. 증감율로 보면 BMW가 16.7% 성장으로 압도적인 모습. 벤츠도 3.1% 성장하며 시장을 이끌고 있다. 그 밖에 벤틀리와 람보르기니, 롤스로이스 등 판매량이 적은 럭셔리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모두 아직 '마이너스'다. 양사는 베스트셀링 모델을 두고도 연말까지 각축전을 이어갈 전망이다. 누적으로는 벤츠 E250이 1만1425대로 BMW 520(9294대)를 크게 앞질러있지만, 이번달에는 BMW 520이 1326대로 1위를 차지하면서 고삐를 늦추지 않았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임한규 부회장은 "11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은 반도체 공급난에도 불구하고 일부 브랜드의 물량확보 및 신차효과 등으로 전월 대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

2022-12-05 16:23:10 김재웅 기자
기사사진
한국타이어, '튠 잇! 세이프!'로 제작된 고성능 BMW i4에 고성능 타이어 장착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가 안전한 튜닝 문화 조성에 힘을 보탰다. 한국타이어는 2023년 '튠 잇! 세이프!' 캠페인 차량 BMW i4에 타이어를 장착했다고 5일 밝혔다. 튠 잇! 세이프!는 안전한 자동차 튜닝 문화를 위해 독일 연방 교통·디지털인프라부와 독일자동차튜너협회(VDAT)가 주도하는 캠페인이다. 내년 차량 한대를 선정해 경찰차 콘셉트로 튜닝, '에센 모터쇼'에 소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국타이어도 2005년부터 18년 연속공식 후원 기업으로 활동하며 브라부스 로켓 경찰차를 비롯해 850i xDrive 쿠페와 i8 쿠페, 아우디 슈퍼 왜건 RS4 아반트 등 튜닝에 참여해왔다. 올해에도 대상 차량인 BMW i4에 벤투스 S1 에보3를 장착했다. 이번 차량은 튜닝 전문업체 AC 슈니처가 제작했으며, 최대 400kW에 544마력을 낸다. 벤투스 S1 에보3는 타이어 골격에 고강도 첨단섬유인 아라미드(Aramid) 소재의 보강벨트를 적용해 안정된 접지력을 발휘한다. 또한 신소재인 '고순도 합성실리카 컴파운드(HSSC; Highly Enriched Synthetic Silica Compound)'를 적용해 고속주행 및 급격한 방향 전환 시에도 안정적인 핸들링 및 제동 성능을 제공하며, 타이어 마일리지까지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벤투스 S1 에보3는 유명 유럽 자동차 전문지에서 여러 차례 1위를 수상하며 우수한 성능을 전세계적으로 입증해오고 있다. 지난해 영국 최대 자동차 전문지 '오토 익스프레스(Auto Express)'의 2021 여름용 타이어 성능 테스트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지난 2019년에는 유럽 최고 권위의 자동차 전문지 아우토 빌트(Auto Bild)가 진행한 타이어 테스트에서 '최우수' 등급을 획득하기도 했다. /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

2022-12-05 13:59:46 김재웅 기자
기사사진
볼보차, 누적 10만대 판매 달성…10년 연속 두자릿수 성장 기록도

볼보자동차가 국내 누적판매 10만대를 돌파하며 '스웨디시 럭셔리'를 성공적으로 국내 시장에 뿌리내렸다. 볼보차는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조사 결과 11월 기준으로 누적 10만1079대 판매를 달성했다고 5일 밝혔다. 볼보차는 1987년 700시리즈로 처음 한국시장에 돌파, 35년만에 이같은 성과를 달성했다. 2012년부터 10년간은 연간 판매량 성장률이 두자릿수를 지속하며 볼보차그룹에서 뿐 아니라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도 유일한 기록을 세웠다. 볼보차는 한국시장에 적극적인 투자로 성장을 이어왔다. 2016년 이후 매년 신모델을 투입했으며, 최근에는 국내 소비자만을 위해 300억원을 투자한 통합형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전면 탑재하기도 했다. 앞으로도 5년간 수천억원 투자를 계획하는 등 성장을 위한 노력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다양한 브랜드 강화 활동과 함께 아시아 최초로 '서비스 바이 볼보'를 론칭하는 등 질적인 성장도 지속했다. 컨슈머인사이트 '2022 자동차 기획조사'에서 상품성 만족도 전체 1위와 AS서비스만족도 전체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친환경 노력도 이어왔다. 2021년식 모델부터 디젤엔진 판매를 전면 배재하고, 2019년부터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제한'과 함께 매년 '헤이, 플로깅'을 진행하는 등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사회적 책임을 이어가고 있다. 이윤모 대표는 "한국 시장을 위한 볼보자동차의 차별화된 전략이 10만 대 판매라는 결실로 이어졌다"며, "고객께서 스웨디시 럭셔리가 선사하는 스마트한 첨단 안전과 인간 중심의 가치를 경험하실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노력을 이어가겠다"라고 말했다. /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

2022-12-05 13:57:11 김재웅 기자
기사사진
현대모비스, CES2023에 새로운 PBV 공개…양산 가능한 신기술 총출동

현대모비스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가 업그레이드된다. 현대모비스는 내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2023에 새로운 PBV 융합 신기술을 공개한다고 5일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CES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본격적으로 글로벌 시장과 커뮤니케이션할 기회로 보고 역대 가장 넒은 면적인 780㎡에 전시 공간을 조성했다. 주제는 'Hi! For Better Tomorrow!'(우리가 가는 길에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이 있기에)로, 양산 가능한 미래 모빌리티 신기술을 다양하게 소개하고, 현장 미디어 발표회를 통해 미래 사업 방향과 탄소 중립 전략 등을 강조할 계획이다. 우선 현대모비스는 차량 기둥(필라)에 첨단 시스템을 입혔다. 자율주행 센서와 독립 구동 및 조향이 가능한 e-코너 모듈, MR 디스플레이 등으로, 더욱 사용자 요구를 충족한 PBV를 만들 수 있을 전망이다. 이를 적용한 모델이 새로운 PBV인 엠비전 TO와 HI다. 현대모비스 미래 모빌리티를 상징하는 브랜드 엠비전에, TO는 미래를 향해 나아간다는(Toward) 의미를, HI는 사용자 중심의 경험(Humanity)을 강조한다는 의미로 명명됐다. 엠비전 TO는 전동화 시스템 기반 자율주행 차량이다. 차량의 전, 후측면에 위치하는 4개의 기둥에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등 센서와 e-코너 모듈, MR(혼합현실) 디스플레이 등 신기술을 융합했다. 엠비전 TO 내부에는 PBV에 걸맞게 접거나 회전이 가능한 좌석이 탑재된다. 엠비전 HI는 레저와 휴식, 아웃도어 목적에 맞게 개발된 PBV이다. 차량 유리를 대형 디스플레이로 활용해 영화 감상이나 인터넷 쇼핑 등을 할 수 있다. 엠비전 HI에는 시선을 컴퓨터 마우스처럼 활용하는 원거리 조작 기술이 적용돼 별다른 조작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다. 스위블 디스플레이와 신개념 후륜 서스펜션은 양산 가능한 신기술로, CES2023 혁신상을 받기도 했다. 그밖에도 글로벌 고객사를 대상으로 미래 콕핏 통합솔루션(MVICS 4.0)과 LED 그릴 라이팅, 홀로그램 AR-HUD 등 신기술 19종도 함께 소개하고 신규 수주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현대모비스는 미디어 발표회를 통해 미래 사업과 기술 개발 방향,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전략 등을 소개하기로 했다. 별로 'HR존'을 운영하며 글로벌 우수 인재도 찾아나서기로 했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3분기까지 글로벌 수주 33억달러(한화 약 4조원)를 달성하며 연간 수주 목표 90%를 이미 달성한 상태다. /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

2022-12-05 11:23:20 김재웅 기자
기사사진
'e-모빌리티 올림픽' 제 10회 IEVE 조직위 출범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IEVE)가 'e-모빌리티 올림픽'으로 일찌감치 차회 행사 준비에 나섰다. IEVE는 1일 제주더큰내일센터에서 '제10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조직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내년 IEVE 개최 150일을 앞두고 현장과 온라인을 통해 진행됐다. 국내외 인사 180여명으로 구성한 조직위를 소개하는 자리다. 공동조직위원장은 김대환 이사장과 함께 박종우 전 삼성전기 대표이사, 문국현 뉴패러다임 인스티튜드 대표이사,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 고영하 (사)한국엔젤투자협회 회장, 에드먼드 아르가 아세안전기차협회(AFEVA) 회장 등 6명으로 선출됐다. 또 명예대회장으로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를, 명예조직위원장으로 미국 실리콘밸리에 기반을 둔 벤처 투자회사 라이징타이드펀드 오사마 하사나인 회장이 각각 추대됐다. 제 10회 IEVE는 내년 5월 2일부터 5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제주)와 중문관광단지 일원에서 열린다.세계 유일의 순수 전기차 엑스포로 'e-모빌리티의 올림픽'이라는 명성을 이끌어간다는 방침이다. 전시회와 콘퍼런스를 중심으로 기업들의 체감할 수 있는 비즈니스 창출 기회를 제공하고, 전기차뿐 아니라 전기선박과 UAM(도심항공교통), 로봇, 전동?자율주행 농기계 등 다양한 e-모빌리티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만날 수 있도록 준비한다. 특히 '글로벌 장관급 리더스 라운드테이블'을 개최, 팬데믹 이후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가치사슬 변화와 디지털 전환, 친환경 에너지 산업의 미래 등에 대해 담론을 펼친다. 세계 최고 전기차 기업인 테슬라와 BYD, 현대자동차 등의 최고위급 임원과 한국을 비롯해 각국 각료급 인사들의 참석을 추진한다. 아울러 실리콘밸리 투자유치 비즈니스포럼과 스타트업 창업경진대회, TIPS 스타트업 경진대회 등을 통한 창업 지원을 추진하며 혁신적인 창업 생태계를 조성해 소멸위기에 직면한 지방을 살리는 데 동력을 모은다는 계획이다. 김대환 공동조직위원장은 "내년 제10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는 e-모빌리티와 친환경 에너지 산업의 빠른 진화를 촉진시키고 글로벌 전문가들이 아젠다를 공유하고 숙의하는 담론장으로 준비할 계획"이라며 "단순 전시회를 넘어 B2B, B2C, B2G 등 다양한 형태의 실질 비즈니스의 장으로도 크게 주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

2022-12-04 11:36:40 김재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