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왓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채신화
기사사진
'냉기 가득' 주택시장…강남→강북→경기도 연쇄 하락

3월에도 주택 시장에 냉기가 가득하다. 9·13 부동산 대책의 여파로 거래절벽이 이어지며 매매·전세 가격 하락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 집값의 바로미터인 강남을 비롯해 강북까지 하락세가 확산된 가운데 경기도 집값도 떨어지는 연쇄 반응이 일어나고 있다. 3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16주 연속 떨어졌다. 지난 2월 25일 기준 전국·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각각 0.09% 하락했다. 그동안 상승 피로감에 대출규제, 세금부담까지 겹치면서 하락세가 가속화하는 추세다. 매수대기자들도 매수 시점을 연기하는 등 관망세가 짙어지는 상황에서 매물이 적체된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 조정이 이어지며 '계단식 하락' 현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강남의 집값 하락세가 눈에 띈다. 지난주 강남 11개구의 아파트 가격은 0.11% 하락했다. 고가 비중이 높은 강남4구(강남·송파·서초·강동)는 -0.14%로 강남 평균치보다 하락폭이 더 컸다. 강남은 고가 아파트 비중이 높아 대출규제, 금리상승, 세제 강화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 보유 부담이 커지면서 재건축단지 중심으로 하락이 지속되고, 급등했던 단지들도 가격이 내려가고 있다. 강남권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추이를 보면 지난해 11월 5일 이후 17주째 '마이너스' 변동률을 나타내고 있다. 2월 마지막 주에는 양천구(-0.15%)가 투자 수요가 몰렸던 단지를 중심으로, 동작구(-0.15%)가 흑석·상도동 등 신규 입주단지 인근 위주로 하락하며 대다수 지역에서 하락했다. 강북도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지난주 강북은 대단지 신규 입주 및 단지 인근 매물 증가 등으로 14개구 모두 하락했다. 강북권역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도 지난해 11월 26일 이후 14주째 마이너스다. 매매가격뿐만 아니라 전셋값 하락폭도 크다. 지난주 강북의 전셋값은 0.26% 하락해 서울 전역에서 가장 하락폭이 컸다. 강북은 인근 성북구 일대 신규 입주물량 여파에다 전세수요 감소가 더해지며 낙폭이 커졌다. '거래절벽'도 지속되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신고건수 기준)은 총 1563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조사가 시작된 지난 2006년 이후 2월 거래량으로 역대 최저 수준이다. 강남3구의 아파트는 매매 거래량은 총 194건으로 작년 2월(2179건)의 10분의 1에도 못 미쳤다. 강북구의 거래량도 32건에 불과, 전년 동월(195건)의 16.4% 수준에서 그쳤다. 이 같은 서울 주택 시장 한파는 인접 지역인 경기도까지 옮겨지고 있다. 앞서 2017~2018년 서울 전 지역에서 집값이 치솟자, 수요자·투자자들이 경기도로 눈길을 돌린 바 있다. 통계청의 자료를 보면 지난해 경기도의 순유입(전입자-전출자) 인구는 17만94명으로, 이 가운데 서울에서 경기로 이동한 인구가 79.5%(13만5216명)에 달했다. 수요가 높아지자 경기 지역의 집값도 상승곡선을 타기 시작했다. 지난해 9·13 대책 직전인 9월 10일 기준 경기도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21% 올랐다. 당시 전국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0.09%) 보다도 한참 웃도는 수치다. 그러나 9·13 대책 이후 서울을 중심으로 가격 내림세가 이어진(작년 12월 3일부터 13주째 마이너스 변동률) 가운데 올해 대규모 입주가 몰리며 경기도 주택 시장에 먹구름이 불어오고 있다. 직방에 따르면 올해 3월 서울·수도권 입주 물량은 1만9021가구로 전국(3만6115가구)의 절반이 넘는다. 전년 동기(1만220건)과 비교해도 1년 새 입주 물량이 86.1% 늘어났다. 특히 경기도는 서울(1669가구) 보다 입주량이 10배가량 많은 1만5610가구가 집들이를 시작해 '입주 폭탄'이 예고되고 있다. 부동산114 임병철 연구원은 "지난해 9·13대책 이후 매수세가 위축된 가운데 호가가 크게 떨어진 급매물도 거래가 쉽지 않고, 본격적인 봄 이사철을 앞두고도 실수요자들의 움직임은 크지 않은 상황"이라며 "대출 규제와 보유세 인상, 공시가격 인상 등으로 추가 하락에 대한 우려가 커 매수심리가 쉽게 회복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라고 말했다.

2019-03-03 11:55:12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교통사고 사망자, 42년 만에 '3000명대' 진입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42년 만에 처음으로 3000명대에 진입했다. 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8년도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3781명으로 전년(4185명)에 비해 9.7% 감소했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3000명대로 내려앉은 건 지난 1976년(3860명) 이후 처음이다. 1976년 이후 처음으로 3000명대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13년(5092명) 이후 2014년(4762명), 2015년(4621명), 2016년(4292명) 등 6년 연속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다. 2018년 발생 사고 건수는 21만7148건으로 전년 대비 0.4%(813건) 증가했으나, 사망사고는 6년 만에 가장 크게 감소했다. 특히 전년에 비해 음주운전, 어린이, 보행자 등의 사망사고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자 사망자는 1487명으로 1년 전보다 11.2%(188명) 줄었고, 어린이 사망자는 34명으로 37%(20명) 크게 감소했다.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는 도심 제한속도 하향 정책과 어린이 등하교시간대 취약지역에 교통경찰을 전환 배치한 정책 등 교통안전 체계를 '차량·운전자' 중심에서 '사람·보행자' 중심으로 전환한 결과로 국토부는 보고 있다.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망자는 346명으로 전년(439명) 대비 21.2%(93명) 대폭 감소했다. 지난해 음주운전 근절에 대한 전 국민적 여론이 부각되고, 이른바 '윤창호법'이 통과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한국의 인구 10만명당 보행 중 사망자 수는 3.3명(2016년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1.1명과 비교하면 3배나 높다. 이는 OECD 국가 30개국 중 최하위(29위) 수준이다. 경찰청과 국토교통부는 올해도 교통사고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 '보행자 우선' 교통안전 정책과 '안전속도 5030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 제한속도 이상으로 달리기 어려운 회전교차로, 지그재그식 도로 등 교통정온화 시설을 확대할 계획이다.

2019-03-03 11:30:36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귀한 몸' 대단지 오피스텔…청약경쟁률·가격상승률 高高

-"규모 클수록 가격 상승률 높아" 1000실에 달하는 대단지 오피스텔이 분양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희소가치가 높은 데다 상대적으로 관리비가 저렴하고 피트니스, 게스트하우스 등 아파트 수준의 커뮤니티 시설이 제공돼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다. 3일 부동산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전국적으로 분양이 계획된 900실 이상 오피스텔은 단 6곳(6876실)이다. 지난해는 총 분양단지 257곳 중 8곳만이 대단지 오피스텔이었고, 2017년도 총 365곳 중 11곳에 불과했다. 부동산 전문가는 "매년 늘어나는 1~2인 가구와 더불어 까다로워지는 주택청약 조건으로 오피스텔로 눈길을 돌리는 소비자들이 점점 많아지는 추세"라며 "특히 대단지 오피스텔은 상업·업무·문화시설이 함께 조성되는 경우가 많아 원스톱 라이프가 가능하고 차별화된 커뮤니티시설, 다양한 평면 등을 갖춰 분양시장에서 주목도가 높다"고 말했다. 실제로 대단지 오피스텔은 높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부천 중동신도시에 공급된 '신중동역 랜드마크 푸르지오 시티' 오피스텔은 1050실 모집에 2만2651명이 접수해 최고 1451.75대 1, 평균 21.51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지난해 3월 분양된 '광교 더샵 레이크시티(1805실)'는 평균 5.5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해 9월 공급된 '힐스테이트 삼송역 스칸센(2513실)', '평택 고덕 아이파크(1200실)'도 청약 결과 각각 3.84대 1, 3.2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오피스텔의 규모가 클수록 가격 상승률도 높게 나타났다. 부동산114 자료를 보면 지난해 500세대 이상 오피스텔의 가격 상승률은 1.85%로 전체 평균(1.63%)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017년 수치를 봐도 500세대 이상 오피스텔의 가격 상승률이 5.27%로 가장 높았다. 400~500세대가 3.73%로 뒤를 이었으며 ▲300~400세대 3.64% ▲200~300세대 2.35% ▲100~200세대 2.08% ▲100세대 미만 1.79% 등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에 있는 1390실 규모의 대단지 오피스텔 '마곡나루역보타닉푸르지오시티'의 전용면적 22㎡ 매매가는 2억2000만원(2월)으로 마곡동 일대 대장주 역할을 하고 있다. 임대료도 보증금 1000만원 기준 월세 60~70만원으로 책정돼 같은 생활권을 공유하는 '우성르보아2차(348실)' 전용면적 20㎡보다 약 10~25만원가량 높은 수준이다. 이런 분위기에 올 상반기에도 '대구혁신도시 하우스디 어반 메가시티(대보건설)', '신중동역 랜드마크 푸르지오 시티(대우건설)', '광주수완7차대방디엠시티(대방건설' 등 전국에서 900실 이상의 대규모 오피스텔 분양이 이어진다.

2019-03-03 09:44:07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SK건설, UAE 원유비축기지 공사 본궤도…1.3조원 규모

SK건설이 지난해 착공한 아랍에미리트(UAE) 초대형 지하 원유비축기지 건설공사가 본궤도에 올랐다. SK건설은 UAE 아부다비 국영석유회사(ADNOC)가 발주한 총 공사비 12억 달러(약 1조3000억원)의 알 만도스 원유비축기지 프로젝트가 진입 터널 공사를 마치고 지하 저장시설 공사에 착수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UAE 북동쪽 해안에 위치한 푸자이라(Fujairah)의 지하 암반에 총 4200만 배럴 규모의 지하 원유비축기지를 신축하는 공사다. 저장 용량이 30만톤급 초대형 유조선(VLCC) 20척과 맞먹으며, 단일 프로젝트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SK건설은 지하 원유 저장시설 3개와 원유의 입·출하를 관리하는 상부 플랜트 시설 등을 일괄 시공하고 시운전까지 수행한다. 준공은 오는 2022년 예정이다. 알 만도스 원유비축기지는 세 가지 유형의 원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운반일정 관리와 최적화가 용이해 아라비아해(Arabian Sea)를 통한 글로벌 수출 전략의 유연성을 높여줄 전망이다. 앞서 SK건설은 울산·여수 등 국내는 물론 인도 망갈로르(Mangalore)와 파두르(Padur)까지 국내외에서 총 8개의 지하 원유비축기지를 건설했다. 1000만 배럴이 넘는 대형 비축기지 건설 경험이 많으며, 원유 저장 규모로 따지면 총 7500만 배럴에 달하는 등 세계 최대 공사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안재현 SK건설 사장은 "세계 최대 규모로 건설되는 UAE 지하 원유비축기지 공사가 현재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공사 수행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글로벌 스토리지 시장에서 더 많은 사업기회를 발굴해 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9-02-28 10:31:06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한화건설,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인천 서창 꿈에그린' 입주 시작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인천 서창 꿈에그린'이 28일부터 입주를 시작한다. 한화건설이 건설한 이 단지는 인천 남동구 서창2지구 13블록에 위치하며 지하 1층에서 지상 25층, 9개 동, 1212가구로 조성됐다. 기존 계약고객의 입주지정기간은 이날부터 오는 4월 28일까지이며, 장기적인 임대운영을 위해 입주를 희망하는 신규 관심고객도 지속적으로 모집 중이다. 인천 서창 꿈에그린은 최대 8년간 거주할 수 있고 보증금과 임대료 상승률이 연 3% 범위에서 주거비 물가지수, 인근지역의 임대료 변동률 등을 고려해 조정된다. 전용면적 74~84㎡의 중소형 중심으로 구성돼 있으며, 최저 20만원대의 저렴한 임대료가 장점이다. 다양한 전환보증금 제도도 적용된다. 단지는 자연과 함께하는 친환경 단지로 설계되어 중앙광장인 대규모 '커뮤니티 파크'와 단지 내 캠핑장인 '힐링 포레스트', 생활농원 '킨포크 가든'등이 조성돼 있다. 다양한 수변공간과 벚꽃산책로, 선텐장, 어린이놀이터 등도 어우러져 있다. 아파트 외관은 고급스럽고 모던한 위빙컬러시스템(Weaving Color System)이 적용됐다. 휘트니스센터, 골프연습장, 키즈카페, 작은도서관, 독서실 등 커뮤니티 시설도 다양하다. 또 인천 남동구청과 협의해 자녀를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단지 내 국공립 어린이집 유치를 추진 중이다. 단지 인근에선 서창3초등학교가 개교를 앞두고 있다. 이 밖에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조명, 가스, 난방 등의 원격제어, 무인택배 시스템, 차번 인식 주차관제 시스템 등을 갖췄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엘리베이터 전력회생 시스템 등 에너지 절감 시스템도 구축돼 있다. 서창JC가 차량 5분 거리에 있어 제2경인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 진입이 용이하다. 인천 지하철 2호선 운연(서창)역도 가깝다. 한화건설 주택사업2팀의 황율남 팀장은 "최근 부동산시장 침체가 계속되면서 주택 구매를 망설이는 실수요자들이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에 많은 관심을 갖고있다"며 "인천 서창 꿈에그린은 저렴한 임대료, 기존 임대주택과 차별화된 주택 품질, 주거 안정성까지 갖춰져 100% 계약이 완료된 만큼 입주도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화건설이 건설한 민간임대주택은 '수원 권선 꿈에그린(2400가구), '인천 서창 꿈에그린(1212가구)' 등 총 3612가구에 달한다.

2019-02-28 10:00:32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건설협회 "올해 혁신성장 목표…공사비 현실화 등 추진"

대한건설협회가 올해 건설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 공사비 현실화, 성장기반 확보, 공정경쟁 환경 조성. 상생가치 제고 등 4대 추진 전략을 설정했다. 건설협회는 27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소재 임피리얼팰리스 호텔에서 제61회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일같은 올해 중점과제와 추진전략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유주현 건설협회 회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건설 산업을 둘러싼 외부 환경이 녹록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건설관련 규제를 완화하고 건설업 하기 좋은 환경으로 만들겠다"며 "앞으로 건설 산업의 발전과 건설업계의 경영애로 해소를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건설협회의 목표는 '혁신성장을 주도하는 활력 있는 건설산업 조성'으로 잡았다. 이를 위해 ▲산업 활력 제고를 위한 공사비 현실화 ▲건설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기반 확보 ▲공정경쟁을 위한 경영환경 조성 ▲건설 산업의 상생 가치 제고 등을 4대 추진전략으로 정했다. 이를 뒷받침할 16개의 중점과제도 선정했다. 특히 정부가 발표한 계약제도 개선방안 및 낙찰율 상향 법안을 조기에 통과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탄력적 근로시간 확대, 주체별 안전관리 역할 강화, 노후 인프라 개선 등에도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협회는 이날 공공건설 공사비 정상화 추진, 건설 업역체계 개편 대응 등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대의원들에게 보고했다. 아울러 2019년 사업계획 및 예산(안)을 의결했다. 임원(회원이사 및 감사) 선출 및 윤리위원(결원 1인) 보선, 예비비 지출(태풍 콩레이 피해지원) 승인 등의 안건도 통과시켰다.

2019-02-27 15:51:28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1월 분양 비수기 실종…전국 주택분양 5년 평균보다 56%↑

지난달 공동주택 분양 실적이 5년 평균 대비 56%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하반기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 등으로 건설사들이 '전통적 비수기'인 1월로 분양 일정을 미뤘던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면 주택 인·허가와 착공 실적은 소폭 감소했다. 2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전국 1만5501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5788가구) 보다 1.8% 줄었으나, 5년 평균(9944가구)보다는 55.9%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7291가구로 전년(6407가구) 보다 13.8% 늘었고, 5년 평균(3380가구)과 비교하면 115.7%나 급증했다. 지방에서도 8210가구가 분양돼 전년(9381)보다 12.5% 줄었으나 5년 평균(6564가구) 보다 25.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유형별로 보면 일반분양은 1만3118가구로 전년 보다 9.2%, 5년 평균 보다는 65.6% 늘었다. 조합원분은 2181가구로 전년보다 42.1% 줄었으나 5년 평균과 비교하면 44.0% 증가했다. 같은 기간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4만7799가구로 지난해 1월 보다 20.7% 줄었으나 5년 평균 보다 25.9% 늘었다. 수도권은 2만2948가구로 5년 평균 대비 27.5%, 지방은 2만4851가구로 24.4% 각각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3만4987가구로 5년 평균 대비 49.7% 늘었고 아파트 외 주택은 1만2812가구로 12.2% 감소했다. 반면, 인·허가와 착공실적은 모두 줄었다. 1월 주택 인허가실적은 전국 3만2023가구로 지난해 1월 3만7696가구보다 15%, 5년 평균 3만6601가구보다는 12.5% 각각 감소했다. 전국 주택 착공 실적은 2만4397가구로 전년 동월(2만5233가구) 대비 3.3%, 5년평균(2만6832가구) 보다는 9.1% 각각 줄었다.

2019-02-27 11:54:59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SK건설, 1조원대 UAE 원유비축시설 공사 수주…내년 완공

SK건설이 지난해 아랍에미리트(UAE)의 1조원대 원유비축시설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27일 재계에 따르면 SK건설은 지난해 하반기 푸자이라 지역에 4000만 배럴 규모 원유 비축 시설을 짓는 프로젝트를 수주해 현재 공사를 진행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아부다비 국영석유공사(ADNOC)가 발주한 사업이며, 내년에 완공 예정이다. 푸자이라는 UAE를 구성하는 7개 토후국 중 하나다. 석유를 생산하진 않지만 인도양에 접근하기 쉬운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어 UAE의 석유 수송 항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12년 푸자이라항과 아부다비를 연결하는 송유관이 건설되면서 UAE는 이란에 맞닿은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하지 않고 원유를 수출할 수 있게 됐다. 푸자이라가 석유 저장 시설을 확대하는 와중에 SK건설이 이 프로젝트를 따낸 것으로 전해진다. 푸자이라 프로젝트 수주와 관련된 내용은 아직 공식 발표되지 않았다. SK건설 관계자는 "수주 관련 내용 발표 및 공식 보도자료 배포 등은 발주처와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선 이날 오전 문재인 대통령과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나흐얀 UAE 왕세제 겸 통합군 부총사령관과의 정상회담 이후 발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상회담 후 오찬엔 최태원 회장과 안재현 SK건설 사장이 초정됐다.

2019-02-27 11:11:44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LH, '건설품질명장제' 확대 시행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하남미사·감일지구에 시범적용 중인 건설품질명장제를 LH 인천지역본부 관할 모든 건설현장으로 확대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LH는 지난 2017년 공공기관 최초로 고숙련 기능인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한 품질혁신체계인 건설품질명장제를 도입했다. 현재 하남미사·감일지구 내 9개 단지, 9000세대의 공동주택 현장에서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번 확대 시행은 시범사업의 성과를 확산하고 지역본부 단위에서 적용 가능한 운영체계를 마련해 향후 전국의 모든 사업지구에 건설명장제를 도입하기 위해 추진됐다. 건설품질명장은 10년 이상을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고숙련 기능인을 대상으로 경력, 기술능력, 인성 등을 종합 평가해 선발한다. 건축 하자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품질명장의 작업기술과 노하우를 현장에서 일하는 기능인에게 직접 전수 및 교육하고 작업내용과 품질수준을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새로 적용하는 현장은 LH 인천지역본부 관할 30개 단지, 2만5000세대의 공동주택 단지다. 품질관리 공종을 기존 10개에서 12개로 확대하고 사업 참여인력을 기존 14명에서 31명으로 늘린다. 특히 이번 사업에는 현장관리 경력을 보유한 기술 인력을 추가로 배치해 건설품질명장과 기술자간의 협업체계를 보다 강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건설품질명장제에 기존 LH기능인등급제와 더불어 지난해 하반기 도입한 전자인력관리시스템을 연계한다. LH기능인등급제는 LH 건설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기능인의 작업과정 및 결과물을 전문공종별 품질명장이 평가하는 제도다. 작업수준 및 숙련도에 따라 건설기능인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품질관리계체의 완성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박상우 LH 사장은 "앞으로도 건설기능인 근로환경, 처우개선 및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며 "우수한 기능인의 가치와 전문성이 인정받을 수 있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하여 건설산업에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2019-02-27 10:36:14 채신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