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은미
기사사진
식품업계, 메르스 악재에도 2분기 '선방'

CJ제일제당·농심·롯데칠성 등 신제품 인기가 실적 견인 [메트로신문 정은미기자] 주요 식품업체들이 올 2분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 등으로 내수 침체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호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CJ제일제당과 농심, 롯데칠성 등이 R&D 투자를 통해 선보인 신제품이 소비자에게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이 기간 높은 수익성을 기록, 업계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의 올 2분기 영업이익은 1918억원(CJ대한통운 제외)을 기록, 전년동기대비 55.4%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1.9% 늘어난 3조1650억원을 기록했다. CJ제일제당의 이 같은 실적호조는 '비비고'와 '햇반' 등 가공식품 브랜드의 판매 증가와 함께 '메치오닌' 등 바이오 신규 제품이 시장에 안착하며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한 것이 주요했다. 회사 측은 "2년 전부터 식품부문을 비롯해 전 사업부문에서 고강도 구조혁신활동과 R&D 투자를 지속한 결과 어려운 경제여건 속에서도 수익성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농심도 시장기대치를 크게 웃도는 실적을 내놨다. 농심이 지난 4월 출시한 짜왕이 한 달 만에 100억원 이상 팔리는 등 높은 인기를 끌면서 영업이익이 242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보다 144.9%나 급증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295억원으로 8.0% 증가했다. 오뚜기 역시 호실적을 기록했다. 오뚜기는 2분기 매출액 4377억원, 영업이익 345억원으로 전년비 각각 3.5%와 29.0% 신장했다. 카레, 케첩, 마요네즈 등 주요 품목의 판매가 꾸준히 증가하고 주요 원재료 시세가 하락하면서 호실적의 주요 요인이 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제과업체들도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했다. 롯데제과는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7.4% 증가한 359억원, 매출액은 3.4% 증가한 5604억원을 기록했다. 회사 측은 "판매관리비 절감과 기존에 기린 합병, 브랑제리 합병 등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가 본격화 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크라운제과도 자회사 해태제과의 허니버터칩 인기가 계속되면서 같은 기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314억원을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2.7% 신장했다. 매출액은 18.2% 늘어난 3156억원을 기록했다. 오리온도 같은 기간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19.1% 증가한 474억원, 매출액은 3.2% 늘어난 5126억원을 나타냈다. 주류음료업체는 매출 희비가 엇갈렸다. 롯데칠성음료는 올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92억원으로 전년비 65.3%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209억원으로 5.6% 늘었다. 사이다 등 탄산음료의 꾸준한 판매와 함께 올해 초 선보인 '순하리 처음처럼'이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이 같은 호실적을 달성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반면 같은 기간 하이트진로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2% 줄어든 4793억원, 영업이익은 9.7% 감소한 281억원을 기록했다. 회사 측은 "소주 부문에서는 저도수 제품의 수요 증가로 매출이 증가했지만 맥주는 메르스 여파로 판매가 부진했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식품업계는 지난해 세월호 사고로 매출감소 폭이 커 올 2분기 메르스라는 악재 속에서도 전반적으로 좋은 실적을 낼 수 있었다"며 "특히 신제품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한 회사들이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높은 수익성을 보였다"고 말했다.

2015-08-23 16:53:17 정은미 기자
기사사진
백화점, 프리미엄 '식품관 경쟁' 뜨겁다

백화점이 변하고 있다. 옷을 구입하는 쇼핑장소에서 외식과 문화생활까지 즐기는 놀이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23일 백화점 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의 식품관 매출 신장률은 ▲2012년 18.7% ▲2013년 13.5% ▲2014년 10.2% 신장했다. 현대백화점도 ▲2012년 13.8% ▲2013년 12.6% ▲2014년 14.2%로 매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백화점 업계 매출 신장률이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에 비해 식품관은 불황 속에서도 매출이 신장하고 있다. 백화점 고급 식품관 경쟁은 지난 2012년 한화갤러리아가 고메이494를 개장하면서 부터다. 이곳은 식당가와 식재료 쇼핑을 하는 식료품점 공간을 분리하지 않고 합친 '그로서란트'(Grocerant)를 최초로 시도했다. 롯데백화점도 지난해 10월 개장한 에비뉴엘 월드타워점 6층에 130년 전통의 이탈리아 고급 식품관 '펙'(PECK)을 오픈했다. 업계 최초로 이탈리아 현지의 모든 식음매장을 그대로 옮겨 왔다. AK플라자도 2012년 분당점을 시작으로 수원점, 구로본점 등이 대규모 프리미엄식품관인 'AK푸드홀'로 탈바꿈했다. 20~30대 젊은층 고객 비중이 특히 높은 AK플라자 수원점에는 이태원, 홍대, 가로수길 등의 유명 맛집을 델리존에 입접시켜 고객들의 미각을 사로잡았다. 현대백화점도 지난 21일 오픈한 판교점에 1930㎡ 넓이의 이탈리아 프리미엄 식자재 브랜드 이탈리(EATALY)를 선보였다. 이곳은 디저트와 델리를 맛볼 수 있는 '그랑바'와 정통 이탈리아 음식이 제공되는 '리스토란테'로 구성돼 있다 ▲디저트(커피, 젤라또) ▲델리(샌드위치, 포카치아) ▲파스타, 피자 ▲음료(와인, 맥주) 등 업계 최다인 14개 코너도 별도로 운영한다. 황해연 현대백화점 판교점장(전무)은 "백화점 식품관은 불황에도 두 자리 수 이상의 매출 신장세에 연관 구매율까지 높아 백화점에서 효자 상품군"이라며 "식품관을 전략 MD로 육성해 판교점 전체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는 뉴시스를 토대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2015-08-23 09:08:51 정은미 기자
기사사진
65세 이상 노인 고기 섭취 부족하다

[!{IMG::20140921000047.jpg::L::320::}!][메트로신문 정은미기자]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층이 고기를 하루 권장섭취량보다 적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이 2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단국대 식품영양학과 문현경 교수(한국영양교육평가원장)는 이같은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문 교수는 "65세 이상 여성의 91.2%는 하루 육류 섭취 권장량인 51.4g를 섭취하지 않고 있었으며 같은 연령대 남성 역시 83.9%가 하루 육류 섭취 권장량(93.4g)을 채우지 못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또 2010~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1만7460명(남성 7355명, 여성 1만105명)을 분석한 결과 3분의 2가 넘는 1만2682명(72.6%)이 육류를 하루 섭취권장량보다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문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남녀의 적정 단백질 섭취량, 하루 칼로리 섭취량, 식사 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연령별 하루 육류 섭취 권장량을 산출했다.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을 합쳐 하루에 이 정도 이상은 고기를 먹어야 한다는 권고안이다. 그러나 우유, 계란 등은 제외됐다. 문 교수는 "빈혈은 생리불순 등의 증상을 동반해 임신을 힘들게 할 뿐 아니라 임신 후 태아의 성장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노인에게는 기억력 감퇴 등 신경학적 증상을 일으킨다"며 "철분이 풍부한 육류 섭취를 통한 빈혈 예방에 관심을 기울일 것"을 당부했다.

2015-08-20 17:37:02 정은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