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외국인 '사자'에 상승...2728.17 마감

외국인 순매수세에 힘입어 코스피가 2700선을 넘어 상승세를 보였다. 12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2.85(0.84%)포인트 오른 2728.17에 장을 종료했다. 기관이 98억원, 외국인은 2345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홀로 2430억원을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화장품(5.34%), 인터넷과 카탈로그소매(4.08%), 건강관리 장비와 용품(3.17%) 등이 오르고, 전기장비(-2.71%), 생물공학(-2.13%), 해운사(-1.85%) 등은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들은 혼조세를 보였다. 반도체주인 삼성전자(1.73%), SK하이닉스(1.18%),삼성전자우(0.49%) 등은 상승한 반면 셀트리온(-2.60%), LG에너지솔루션(-1.40%), 현대차(-0.37%) 등은 하락했다. 상승 종목은 502개, 하락종목은 375개 보합종목은 56개로 집계됐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31포인트(0.27%) 상승한 870.67에 마침표를 찍었다. 기관과 외국인은 30억원, 313억원씩 사들인 반면, 개인은 172억원을 팔아치웠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들은 에코프로비엠(-1.87%), 알테오젠(-2.65%), 에코프로(-1.75%), 엔켐(-2.45%) 등을 제외한 모든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클래시스(11.97%), HLB(3.59%),리노공업(1.92%) 등의 상승폭이 컸다. 상승 종목은 855개, 하락종목은 682개 보합종목은 113개로 집계됐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이 현물과 선물시장에서 모두 순매수해 국내증시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오늘 오전 발표된 중국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예상치와 크게 다르지 않아 국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2.20원 내린 1376.20원에 마감했다.

2024-06-12 16:51:45 안재선 기자
기사사진
중국 증시 회복에…중국 관련 ETF 수익률도 '쑥'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 발표에 힘입어 중국 증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이자, 국내 증시에 상장된 중국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도 양호한 수익률을 나타내고 있다. 중국 경제 전망이 점차 개선되고 있어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도 다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12일 코스콤 ETF 체크에 따르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타이거 중국소비테마'는 최근 3개월 동안 26.29%의 수익률을 올려 전체 ETF 중 16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삼성자산운용의 '코덱스 차이나H'는 수익률 14.60%, '타이거 차이나항셍25'는 14.42%의 수익률을 나타냈다. 이외에도 코덱스 차이나H레버리지(H)(13.63%), 1Q 차이나H(H)(11.43%) 등도 두 자릿수의 수익률을 보였다. 이처럼 중국 ETF들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중국 경제 및 증시의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홍콩 H지수는 최근 3개월간 14%가량 상승했으며 중국 경제는 수치상으로 뚜렷한 반등세를 보였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분기 GDP(국민총생산)가 작년 동기 대비 5.3% 증가한 29조6299억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4.6% 안팎을 예상했던 시장 전망치를 한참 웃도는 수준이다. 민간 중소기업들의 체감 경기로 여기는 5월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2022년 7월 이래 최고치인 51.7로 집계됐다. 중국 정부도 경기 회복 불씨가 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여러 가지 부양책을 내놓고 있다. 중국 당국은 지난달 17일 1조위안 규모의 초장기 특별국채 발행을 시작했다. 침체된 부동산 경기를 띄우기 위해 적극적인 재정 정책을 시행한 것이다. 이에 앞서 지난 4월에는 '중국판 밸류업 프로그램'으로 불리는 '신(新)국9조'를 발표하는 등 주식시장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이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 일부 증권업계는 중국 증시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백은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중국 증시는 부동산 가격 안정 기대, 실적 추정치 하향 조정 일단락, 외국인자금 유입 전환 등에 힘입어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해외직접투자가 감소하고 있고 2월부터 반등해 저평가 매력이 이전보다는 크지 않다는 점에서 상승폭이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경기 회복이 약한 상태가 지속되고 있어 수출·고배당 ·원자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06-12 16:29:23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엔비디아 집중투자로 수익률 증가...'SOL 미국 AI반도체 칩메이커' 주목

신한자산운용이 'SOL 미국 AI반도체 칩메이커 ETF'가 상장 이후 우수한 성과를 지속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11일 한국거래소 기준 한달 수익률은 14.35%로 국내에 상장된 AI 반도체 중 최상위권이다. 해당 상장지수펀드(ETF)는 26%를 편입하고 있는 엔비디아와 함께 AMD(17.73%), 브로드컴(15.03%)의 비중이 약 60%로 인공지능(AI) 반도체의 핵심 기업에 집중투자한다. 지난 4월 16일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했으며,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AI(인공지능) 구동에 있어 필수적인 GPU, NPU, CPU 등을 설계하는 엔비디아, AMD 등의 칩메이커 기업에 집중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다. 엔비디아, AMD, 인텔, 브로드컴, 퀄컴을 포함한 총 10개 종목으로 구성된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AI 수요의 급격한 팽창으로 인해 가장 직접적인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업은 칩 설계의 원천기술을 보유한 소수의 칩메이커 기업들"이라며 "포트폴리오 내 엔비디아를 가장 높은 비중으로 편입하고 있는 SOL 미국 AI반도체 칩메이커 ETF는 개별 종목의 단기 변동성 리스크를 관리하면서 AI반도체 산업의 장기 성장성에 투자할 수 있는 최적의 상품"이라고 말했다. 데이터를 해석, 연산, 처리하는 비메모리 반도체가 AI반도체의 핵심이라면, 비메모리 반도체 밸류체인의 헤게모니를 쥐고 있는 것은 칩 설계의 원천기술을 보유한 소수의 칩메이커 기업들이라는 부연이다. 특히 AI 칩 시장의 80% 이상을 장악하고 있는 엔비디아는 전 산업에 걸쳐 기업들이 생성AI를 도입하면서 드라마틱한 성장을 보여 주고 있다. 김 본부장은 "AI의 전방위적인 확산에 따라 관련 산업이 세분화 되고 있기 때문에 투자 역시 같은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AI 관련 ETF도 종목 구성과 비중에 따라 성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 컨셉과 구성종목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신한자산운용은 'SOL AI 반도체소부장 ETF'를 운용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SOL 미국 AI반도체 칩메이커' 와 'SOL 미국 AI소프트웨어'를 잇따라 출시하며 AI 라인업을 지속 강화하고 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6-12 16:28:21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주주에 대한 충실 의무 확대' 두고 "모호하다 VS 필수다"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주주로 확대하는 상법 개정안을 놓고 이해 당사자 간의 찬반이 첨예해졌다. 상장사들은 이사 충실 의무는 현행만으로도 충분하고 그 이상의 규제는 기업의 경영 활동 위축을 불러올 수 있다는 반면, 학계와 투자자는 자본시장의 근본적인 문제로 '후진적 기업지배구조'를 지적하고 나섰다. 12일 자본시장연구원과 한국증권학회는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기업지배구조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은 '이사의 충실 의무 확대의 적정성 여부(상법 제382조의3 관련)'를 두고 격돌했다. '회사'로 한정돼 있는 '상법상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을 '주주'로 넓히는 게 적절한지에 대한 의견을 개진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쪼개기 상장'처럼 회사나 특정인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사례가 여전히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며 "다수의 시장 참여자가 국내 자본시장의 근본적인 문제로 '후진적인 기업 지배구조'를 지적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법상 이사의 충실 의무를 '회사 및 주주의 이익 보호'로 확대하면서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에 주주를 포함하자는 의견을 재차 피력한 것이다. 이날 주제발표에 나선 김우진 서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국내에서는 상장기업의 지배주주와 일반주주 사이에 이해충돌 거래가 발생하면 일반주주의 이익이 지배주주 일가로 이전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일반주주의 이익이 훼손되지 않도록 의사결정자인 이사회에 대해 의무를 부여해야 한다"며 "우리나라는 지배주주와 일반주주의 이해 충돌에 따른 주주 간 부의 'N분의 1 원칙'이 붕괴됐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기회 유용 ▲비시장가격 거래 ▲일감몰아주기 등의 방법으로 사익을 편취하는 사례가 들며 일반주주 이익을 훼손하는 사례가 더욱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공정거래법의 부당지원금지 규제, 총수 일가 사익편취 행위 금지를 비롯해 상법의 '회사기회 및 자산의 유용 금지' 등의 개정을 통해 오너 일가의 사익 편취를 제재해왔지만 학계는 해당 법으로는 사익편취 제재가 힘들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부당지원행위를 규제하는 공정거래 관점에서는 편취 입증 자체가 쉽지 않다"며 "5조 미만 일반 상장기업은 사익편취 조항 적용 대상이 아니라는 한계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반주주의 권익 보호 의무를 부여해 소액주주들의 권익 보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국내 증시 저평가)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다만, 상장사들이 포함된 산업계는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가 오히려 이사회 활동을 저해하고 경영 활동을 제약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본부장은 "2011년 상법이 개정되면서 회사가 이사와 주요주주가 투자한 회사와 거래하면 그 내용과 절차가 공정해야 한다는 조문이 생겼다"며 이미 지배주주의 지배권 남용을 제한하는 제도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사의 충실 의무 확대는 기업에 부담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이사의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 도입은 그 의미가 모호하다"며 "구체적인 상황에서 이사의 행위 기준으로 작동하기 어렵기에 신중하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미 지난 11일 한국경제인협회는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하는 상법개정을 하면 소송 남발 등 경영 불확실성이 가중된다"고 우려를 표한 바 있다.

2024-06-12 16:27:37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KB증권, WM자산 60조 돌파...10개월여 만에 10조 증가

KB증권은 2023년 8월 자산관리(WM)자산이 50조원을 돌파한 이후 10개월여 만에 10조원이 증가하며, 6월 현재 60조원을 돌파했다고 12일 밝혔다. 2017년 통합법인 출범 이후 지속적으로 진행해온 'WM Transformation(자산관리로의 전환)' 전략과 올해부터 실시한 '고객관리-맞춤솔루션-채널연계' 전략을 집중 추진한 결과라는 해석이다. KB증권은 올해 고객 니즈에 기반한 '고객관리-맞춤솔루션-채널연계'를 통해 고객 중심의 자산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3가지 실행 전략을 수립해 진행하고 있다. ▲고객의 니즈와 시장환경을 반영한 '고객 맞춤형 포트폴리오 제공' ▲최우선 가치로는 '고객의 수익' ▲ '차별화된 채널 전략을 통한 고객 솔루션 제공' 등이다. 또한, 원거리 거주, 시간 제약 등의 이유로 지점 내방이 어려운 고객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 'Everywhere PB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계좌 개설부터 상품 가입, 영업 지원까지 가능한 ODS 전용 시스템인 'able Partner'를 통해 전문성을 갖춘 PB들의 외부 영업이 가능하고, 고객의 니즈에 따라 본사 전문가가 동행해 서비스 제공이 어디서든 가능하다. 더불어 KB증권은 초고액자산가 시장 지배력 강화를 위해 특화 점포 확대 및 패밀리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2년 8월 프리미엄 자산관리센터인 'KB GOLD&WISE the FIRST'를 압구정에 성공적으로 런칭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2024년 4월에는 신흥 부촌인 반포 원베일리에 2호점인 'KB GOLD&WISE the FIRST 반포'를 오픈했다. 연말에는 도곡에 3호점 오픈을 예정하고 있어 초고액자산가만을 위한 채널 경쟁력을 지속 강화하고 있다. 이외에도 KB금융그룹 자산관리 전문가들의 투자 세미나와 명사들의 특강을 통해 대면·비대면 양방향으로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 위한 '투자를 더하다, Premier Summit'과 기업 최고경영자(CEO) 고객을 위한 고품격 인적, 지적 교류의 장인 'Premier Forum'을 통해 전문적인 금융서비스와 차별화 된 비금융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이재옥 KB증권 리테일사업총괄본부장은 "최근까지는 글로벌 고금리에 기인한 채권 중심의 상품 공급이 이루어졌다면, 하반기에는 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식 관련 상품을 선제적으로 기획하고 제공함으로써 고객 수익률 제고에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자산관리부분에서 지속 성장할 있는 원천은 고객으로부터 나온다고 생각하며, 앞으로도 KB증권은 고객 최우선의 자산관리서비스 제공을 통해 고객과 동반성장하는 금융파트너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6-12 15:58:24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3조 대어 '시프트업' 등장...게임주 투심 살아날까

게임사들의 실적 개선 흐름과 조 단위 게임 대어인 '시프트업'의 상장 기대감이 겹치면서 증권사들은 대표 게임주들의 목표가를 대폭 끌어올리고 있다. 특히 시프트업의 상장 이후 주춤하던 게임주에 대한 투심이 회복될 수 있다는 평가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2일 크래프톤의 종가는 전 거래일보다 3.72% 급등한 26만5000원에 마감했다. 최근 크래프톤의 주가는 25만원 선에 머물렀지만 대부분의 증권사들은 30만원이 넘는 목표가를 제시했었다. 특히 지난달 미래에셋증권은 37만원을 설정하면서 목표가를 대폭 상향시켰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신한투자증권이 29만원, 흥국증권 36만원, 하이투자증권 35만원 등이 제시됐다. 크래프톤뿐만 아니라 펄어비스와 넷마블 등 게임주 전반에 장미빛 전망이 언급되면서 목표가가 상향됐다. 우선적으로 주요 게임사들의 실적 개선 기대감이 상승하면서 실적 추정치가 올랐기 때문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기준 크래프톤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1074억원으로 직전 달보다 11% 상승했다. 게다가 엔씨소프트는 1분기 257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면서 시장예상치보다 84.9% 높은 '깜짝 실적'을 발표하기도 했다. 영업손실이 전망됐던 넷마블과 펄어비스 역시 각각 37억원과 6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하지만 국내 대표 게임주로 구성된 KRX 게임 TOP10 지수를 살펴보면 최근 한 달 동안(5월 13일부터 6월 11일까지) 8.62% 감소했다. 업계에서는 게임주의 하락세가 이어졌던 만큼 호재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실제로 이날은 1.43% 상승하면서 반등 기미를 보였다. 게다가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조 단위 게임 대어인 '시프트업'의 상장이 예정되면서 게임주 반등에 힘을 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독립리서치 리서치알음의 최성환 연구원은 "크래프톤 다음으로 3년 만에 나온 게임 대어 '시프트업'이 상장을 앞두고 있어 얼어붙은 게임 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이라며 "지난해 흥행 신작이 없어 게임사들의 실적이 하향안정화된 가운데 주가 또한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시프트업 상장 흥행 시 게임주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주당 공모 희망가 범위 상단 기준 시프트업의 예상 시가총액은 약 3조4000억원에 달한다. 이는 12일 종가 기준 크래프톤(12조6903억원), 넷마블 (4조9423억) 엔씨소프트(4조856억원)에 이어 4위에 해당하는 규모이기 때문에 게임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는 부연이다. 게다가 시프트업은 하반기 IPO 투자심리에 대한 가늠자로 꼽히는 만큼 투자자들의 관심도 상당하다. 이지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게임 시장은 눈높이가 많이 낮아진 만큼 악재에는 둔감하고 호재에는 민감한 상황으로 변화했다"며 "하반기 신작 실적이 빠르게 반영되는 일부 종목들의 경우, 비용 효율화와 함께 올해 상저하고 실적이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6-12 15:57:50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고경모 유진투자증권 대표 뉴욕증권거래소 방문...해외주식 서비스 강화 방안 논의

유진투자증권은 고경모 대표가 뉴욕증권거래소(NYSE)를 방문해 해외주식 서비스 강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방문은 뉴욕증권거래소의 BQT(Best Quote and Trades) 서비스 도입을 기념해 성사됐다. 유진투자증권은 뉴욕증권거래소 그룹의 5개 산하 거래소(NYSE, NYSE American, NYSE ARCA, NYSE National, NYSE Chicago) 시세 제공 서비스인 'BQT' 통해 미국 주식 실시간 무료 1호가 서비스를 지난 3일부터 제공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유진투자증권의 고경모 대표이사와 최현 WM본부장, NYSE의 존 해릭(Jon Herrick) 부회장과 제시카 프로츠(Jessica Froats) 부사장 등이 참석해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 거래 서비스 편의 확대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이후 유진투자증권 고경모 대표이사는 뉴욕증권거래소와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 투자 현황 및 전망에 대해 논의하는 인터뷰 자리를 갖기도 했다. 유진투자증권은 뉴욕증권거래소 외에도 오는 12일(현지시간)까지 칸토 피츠제럴드(Cantor Fitzgerald), 블루 오션 (Blue Ocean) 등 미국 주요 금융회사와 미팅을 갖고 해외주식 서비스 강화를 주제로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유진투자증권은 올해 해외주식 서비스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올 초 조직개편을 통해 해외주식을 담당하는 별도 전담팀을 구성했으며, 미국 주식 주간 거래 서비스 오픈, 미국 주식 거래수수료 무료 이벤트 등도 진행했다. 고경모 대표이사는 "유진투자증권은 국내 투자자에게 더 나은 미국 주식 투자 환경을 제공하고자 인프라, 서비스 등 다방면에 걸쳐 고도화를 진행 중"이라며 "NYSE 방문과 미국 주요 금융회사와의 미팅도 그 일환으로 이번에 협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해외주식 서비스 경쟁력 강화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06-12 13:52:27 원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