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
기사사진
한투운용, 한국투자글로벌AI&반도체TOP10 시리즈 연초 이후 5배 성장

한국투자신탁운용은 한국투자글로벌AI&반도체TOP10 펀드 시리즈가 연초 이후 몸집을 5배 넘게 불렸다고 19일 밝혔다. 해당 시리즈는 환헤지형(H), 환노출형(UH), 미국달러형(USD)으로 구성돼 있다. 1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한국투자글로벌AI&반도체TOP10 펀드 시리즈의 설정액은 1451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251억원에서 8개월 만에 478.09% 성장한 것이다. 해외 IT 섹터 펀드 시장은 작년 말 2조1990억원에서 4조2751억원으로 94.41% 증가했다. 한국투자신탁운용 측은 "해외주식형 공모펀드로 넓혀보면 해당 펀드의 성과는 더욱 돋보인다"며 "해외주식형 공모펀드가 29조3982억원에서 47조3338억원으로 설정자금이 61.01%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시장 평균을 압도하는 수치"라고 설명했다. 한국투자글로벌AI&반도체TOP10 펀드 시리즈에 자금이 빠르게 유입된 배경에는 우수한 성과와 해당 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지속된 덕분으로 풀이된다. 한국투자글로벌AI&반도체TOP10 펀드 시리즈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28.90%로 전체 해외주식형 펀드 평균 수익률(8.60%)과 해외 IT 섹터 펀드 평균 수익률(17.14%)을 크게 상회했다. 상장지수펀드(ETF)를 제외하고 해외 IT 섹터 펀드 가운데서는 수익률이 가장 높다. 해당 시리즈의 최근 3개월, 6개월 및 설정 후 평균 수익률은 각각 7.42%, 15.88%, 47.88%로 집계됐다. 이는 글로벌 기술주 중심 지수인 나스닥100 지수의 최근 3개월(5.12%) 및 6개월 수익률(9.55%)도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한국투자글로벌AI&반도체TOP10 펀드 시리즈는 지난해 4월 처음 설정된 상품으로 국내외 인공지능(AI)·반도체 산업을 주도하는 대표기업 TOP10에 집중투자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난 8일 환헤지형(H) A클래스 기준 포트폴리오에는 ▲마이크로소프트(8.85%) ▲메타 플랫폼스(8.76%) ▲엔비디아(8.48%) ▲애플(8.30%) ▲TSMC(8.20%) ▲ARM(4.59%) 등이 편입돼 있다. 해당 펀드 운용역인 김현태 한국투자신탁운용 글로벌퀀트운용부 책임은 "빅테크 기업들은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AI 성장이 AI를 적용할 거대 플랫폼 기업을 중심으로 지속될 것임을 증명했다"며 "특히 메타 플랫폼스는 올 2분기 매출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며 막대한 AI 반도체 투자비용에도 AI를 활용해 실적이 크게 개선될 수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전했다. 이어 "한동안 AI와 반도체 투자에 있어 경기침체 우려가 있었으나, 최근 조정으로 그러한 우려가 대부분 반영됐다"며 "현재 매크로 환경은 인플레이션 완화, 금리 인하 예상, 견고한 수요 등으로 과거 하락장 국면에서의 환경과는 크게 다르다고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2024-08-19 10:36:01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한국투자증권, 퇴직연금 현물이전 사전예약 이벤트 진행

한국투자증권은 '퇴직연금 현물이전' 제도 시행을 앞두고 MTS '한투'앱을 통해 현물이전 사전예약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올 10월 '퇴직연금 현물이전' 제도가 도입되면 퇴직연금 계좌를 기존 상품 그대로 다른 금융사로 옮길 수 있게 된다. 기존에는 퇴직연금을 다른 금융사로 이전하려면 보유 중인 투자 상품을 모두 매도해 현금화하거나 만기를 기다려야 했다. 하지만 현물이전 제도 시행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그대로 유지한 채 이전이 가능해져 가입자의 편의성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이번 이벤트는 ▲상담 신청 ▲사전 예약 ▲현물 이전 3단계로 나뉘어 진행된다. DC(확정기여형), IRP(개인형퇴직연금) 등 퇴직연금 현물이전 상담 신청을 하면 3000원 상당의 CU 모바일 상품권을 제공하고, 주간 단위로 10명을 추첨해 BBQ 치킨 쿠폰도 증정한다. 또한 현물이전 사전예약을 완료한 IRP 고객에게는 5000원 상당의 CU 모바일 상품권과 경품 추첨권 1매를 추가로 증정한다. 제도 시행일 이후 실제 현물 이전까지 완료된 고객에게는 금액별로 최대 경품 추첨권 4장이 지급되며, 'LG 휴대용 스마트TV 스탠바이미GO', '네스프레소 커피머신 버츄오플러스' 등 다양한 경품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상담신청 기간은 10월 11일까지, 사전예약 기간은 10월 14일까지다. 현물이전 경품 응모는 12월 31일까지이며, 추첨 및 경품 지급은 응모 마감 후 내년 1월 진행된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한국투자증권 홈페이지 및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2024-08-19 10:32:29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하나증권, ‘해외파생 실전투자대회’ 개최

하나증권은 19일부터 9월 20일까지 '해외파생 실전투자대회'를 개최한다. 하나증권 측은 '하나증권 해외파생 실전투자대회'는 옵션을 제외한 CME그룹거래소 해외선물 상품이 대상이며, 주간 단위로 총 5차례에 걸쳐 진행이 된다고 19일 밝혔다.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수익률 상위 10명을 가려 시상을 하며, 주간 입상자에게는 1위 50만원부터 순위별 차등적으로 상금이 지급된다. 대회가 끝나면 대회기간 동안의 참여한 누적 수익률을 기준으로 입상자에게 상금과 경품을 준다. 1위부터 10위까지 상금과 함께 파리 올림픽 국가 순위에 해당하는 국가별 테마 경품을 함께 지급한다. 입상 하지 못한 참가자 전원에게는 5000원 상당의 커피 모바일 상품권을 준다. 하나증권에서 해외파생상품계좌를 가지고 있는 손님이면 누구나 참가 할 수 있으며, PC의 경우 1Q HTS(파생형), 모바일에서는 원큐파생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실전투자대회 메뉴로 들어가 신청하면 된다. 대회 중간에 신청을 하면 신청한 날의 다음주부터 참여 된다. 이병철 하나증권 WM그룹장은 "해외파생상품 투자전략을 점검하고 다양한 해외파생상품에 대한 관심을 갖는 계기를 만들고자 기획한 것"이라며 "실전투자대회와 해외파생상품 투자 교육과정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올바른 해외파생상품 투자문화 확립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대회 기준과 수익률 산출 방식, 시상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하나증권 홈페이지 이벤트 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2024-08-19 10:28:26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KB자산운용, 일본 섹터 ETF 출시...'사무라이7'에 투자하자

KB자산운용이 오는 20일 일본 주식시장을 주도하는 섹터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최근 일본 증시는 저성장 탈피, 기시다 정부의 경기 부양 의지, 환율 효과가 더해지며 전 세계 증시 가운데 돋보이는 투자처로 부각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이 화두로 떠오르며 반도체 공급망이 중요해지자 오랜 역사와 독보적 기술력을 지닌 일본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주목받는 모습이다. 현재 국내 증시에 상장한 일본 관련 ETF는 일본 대표지수 또는 반도체 등 특정 테마에 투자하는 상품이 대부분이다. KB자산운용은 일본의 핵심 섹터를 골라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라면 'RISE 일본섹터TOP4Plus ETF'를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출시된 'RISE 일본섹터TOP4Plus ETF'는 일본 증시 상승을 주도하는 4개 핵심 섹터에 집중 투자한다. 가장 큰 특징은 일본의 '사무라이7(Seven Samurai)'을 40% 수준으로 담는 것이다. '사무라이 7'이란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거래량과 수익률, 실적 등을 바탕으로 선정한 일본의 7개 대형 주도주를 말한다. 도요타자동차(TOYOTA MOTOR), 미쓰비시상사(MITSUBISHI), 도쿄일렉트론(TOKYO ELECTRON), 스바루(SUBARU), 디스코(DISCO), 스크린홀딩스(SCREEN HOLDINGS), 어드반테스트(ADVANTEST) 등으로 구성됐다. 'RISE 일본섹터TOP4Plus ETF'는 'Solactive Japan Samurai Sector TOP4 Plus Index'를 기초지수로 추종한다. 모멘텀과 성장성을 감안해 고른 일본 상위 섹터 4개에서 4종목씩 선정하고, 그 외 나머지 섹터에서 3종목을 추리는 방식으로 총 19개 종목에 투자한다. 현재 상위 섹터는 내구소비재와 기술, 산업재, 소비자서비스로, 일반 섹터는 금융과 의료, 비내구소비재로 구성했다. 연 2회 지수 편입종목을 선정하며, 연 4회 종목별로 리밸런싱할 예정이다. 지난 6일 기준 주요 투자종목은 사무라이 7에 속한 도요타자동차(12.18%), 도쿄일렉트론(10.99%), 미쓰비시상사(7.06%)를 비롯해 소니(11.31%),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11.12%) 등이다. 더불어 'RISE 일본섹터TOP4Plus ETF'는 환노출 전략을 사용해 환율 변화 사이클에 따라 환차익을 얻을 수도 있다. 김찬영 KB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일본 증시에서 성장성이 확인된 '사무라이 7'로의 쏠림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다"며 "향후 엔화의 점진적 강세 전환이 예상되는 만큼 글로벌 투자자들은 해당 기업에 더욱 주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8-19 09:42:11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KB증권, 여름방학 맞이 배민방학도시락·경제금융교육 실시

KB증권이 2024년 여름방학 기간 동안 결식 우려 아동에게 '배민방학도시락' 후원과 함께 경제금융교육을 실시했다고 19일 밝혔다. KB증권은 지난 3월 우아한형제들과 업무협약을 맺고 2024년 여름방학과 겨울방학 두차례에 걸쳐 배달의민족 '배민방학도시락' 사업을 후원하기로 했으며, 경제금융교육 프로그램 'KB스타 경제교실'을 준비했다. 'KB스타 경제교실'은 KB금융공익재단에서 초·중·고등학생 대상으로 하는 대표 경제금융교육 프로그램으로 KB금융공익재단의 경제교육 전문강사가 직접 학교로 찾아가 경제교육을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KB증권은 배달의민족, 월드비전과 함께 배민방학도시락을 준비하며 'KB스타 경제교실'을 진행할 학교를 모집했고, 2024년 여름방학에는 서울, 군산 등 총 4개 학교에서 경제금융교육을 진행했다. 2024년 여름방학 'KB스타 경제교실'에서는 '합리적 소비와 자산관리'를 주제로 소득의 유형과 합리적 소비란 무엇인지 이해하고 세금 및 보험의 종류를 알아보며 이를 통해 재무설계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와 더불어 KB증권은 배민방학도시락을 통해 전국 8개 지역 총 1000명의 아이들에게 식사를 지원했으며, 추가로 도서 구매 기프트 카드도 제공했다. KB증권은 이번 여름방학과 마찬가지로 돌아오는 겨울방학에도 배달의민족 '배민방학도시락'을 후원하며, 월드비전과 함께 경제금융교육 신청 학교를 대상으로 'KB스타 경제교실'도 진행할 예정이다. '배민방학도시락' 사업은 맞벌이, 한부모 등 경제적으로 취약하고 사회의 돌봄이 필요한 결식 우려 아동들을 대상으로 급식이 없는 방학 기간에 도시락과 배민식사권으로 매주 4끼니를 지원해주는 사업으로 2020년부터 국제구호개발 NGO 월드비전과 배달의민족이 함께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김성현, 이홍구 KB증권 사장은 "KB증권은 돌봄이라는 핵심가치 아래 자라나는 아이들이 사회로부터 소외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ESG 경영을 위해 지속적으로 미래세대 육성과 돌봄 체계 구축을 위한 사회공헌사업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8-19 09:36:08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iM증권, '글로벌 바로매매 서비스' 이벤트

iM증권(전 하이투자증권)은 9월 6일까지 미국 주식을 거래하는 디지털 고객을 대상으로 글로벌 바로매매(통합증거금) 서비스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iM증권 스마트지점 또는 시중 은행 연계 계좌로 iM증권 주식계좌를 보유한 고객이 이벤트 기간 내 글로벌 바로매매 서비스를 신청하고 미국 주식을 100만 원 이상 거래하는 경우 97% 환전 우대 쿠폰을 지급한다. 쿠폰은 지급 요건을 충족하는 다음 영업일 오전에 지급되며, 9월 30일까지 홈·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H·MTS)을 통해 등록하면 등록일로부터 2개월간 사용할 수 있다. 글로벌 바로매매 서비스는 주식 매매에 필요한 증거금으로 원화와 달러를 통합해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국내외 주식의 매도 시 결제와 상관없이 매도 대금으로 다른 국가의 주식을 바로 매매할 수 있다. 미국 주식을 정규시장에서 매도하는 경우 대금을 다음날 주식 매매에 사용할 수 있으며, 국내 주식을 매도하는 경우는 대금을 미국 주식의 정규시장 매매에 활용할 수 있다. 이벤트는 iM증권 MTS와 HTS를 통해 참여 및 신청할 수 있으며, 이벤트 기간 내 신규로 계좌를 개설하는 고객도 참여할 수 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8-19 09:31:05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R의 공포가 뭐예요?”…엔비디아 사들이는 서학개미

미국발 'R(경기침체·Recession)의 공포' 우려가 진정되면서 국내 투자자들이 다시 빅테크 매수에 나섰다. 특히 '인공지능(AI) 버블' 논란에도 엔비디아에 대한 매수세가 강하게 일어났다. 이러한 추세는 다음주 발표 예정인 엔비디아 2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 '서학개미'의 선택은 'AI 큰형님' 18일 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은 지난 12일부터 16일까지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를 가장 많이 담았다. 이 기간 동안 이른바 '서학개미'는 7575만5825달러(약 1026억1126만원)를 순매수했다. 엔비디아의 뒤를 이은 단일 종목은 순매수액 3002만5170달러(약 406억6909만원)를 기록한 테슬라와 2899만1690달러(약 392억6924만원)를 기록한 애플이었지만, 이들은 같은 기간 순매수결제액 순위에서 각각 5위와 6위에 머물렀다. 순매수결제액 순위 상위권은 ▲인베스코 QQQ TRUST SRS 1 ETF(QQQ) ▲디렉시온 DAILY SEMICONDUCTOR BULL 3X SHS ETF(SOXL) ▲프로셰어즈 ULTRAPRO QQQ ETF(TQQQ)가 차지했다. SOXL과 TQQQ는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상품 특성상 글로벌 증시가 폭락한 '검은 월요일'에 크게 하락했지만, 변동성이 잦아들자 해당 상품에 대한 거래는 오히려 활발해졌다. SOXL의 경우은 미국 대체거래소(ATS) 블루오션이 촉발한 '미국 주식 주간거래 주문 취소' 사태로 주간거래가 막혔음에도 순매수결제액이 4105만7638달러(약 556억1257만원)에 달했다. 이 같은 매수세에 기관도 동참했다. 국민연금 역시 5분기 연속 미국 직접투자를 늘리며 엔비디아를 선택했다. 국민연금 소유한 엔비디아의 주식 수는 4110만2034주(50억7774만달러)로 1분기 말 대비 104만3624주가 증가했다. 이 외에도 국민연금은 1분기에 이어 마이크로소프트(MS), 애플, 메타플랫폼, 테슬라 등의 '매그니피센트7(M7)' 관련 종목의 비중을 늘려오고 있다. ◆ 회복력 좋은 美증시…2분기 실적 주목 이러한 투자 움직임은 글로벌 증시 폭락의 여파를 빠르게 상쇄하는 뉴욕 증시의 힘에서 비롯됐다. 지난 16일(현지시간)까지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는 4거래일 연속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7거래일 연속으로 강세를 보였다. 다우존스지수는 전장보다 96.70포인트(0.24%) 오른 4만659.76을, S&P 500지수는 전장보다 11.03포인트(0.20%) 상승한 5554.25를, 나스닥지수는 37.22포인트(0.21%) 오른 1만7631.72에 장을 마감했다. 이제 투자자들의 눈은 28일(현지시간) 발표 예정인 엔비디아의 2분기 실적에 쏠려있다. 실적에 따라 서학개미들의 수익률이 큰 변동을 겪을 전망이다. 엔비디아는 지난 4거래일 연속 상승해 가장 최근 종가는 124.58달러를 기록하고 시가총액도 3조220억달러를 달성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보고서를 통해 "계절적 비수기가 지나면 반도체 업종은 4분기에 반등할 것"이라면서 관련 최선호주로 엔비디아를 꼽았다.

2024-08-18 12:50:37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금리 인하 기대에 '채권' 인기 쑥↑…"채권도 원금 손실 가능"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9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국내 개인 투자자들의 채권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채권은 확정 이자를 지급해 안정적인 투자처로 여겨지지만, 채권 역시 원금 손실이 가능한 상품이어서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개인 투자자들의 장외채권 순매수 규모는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7월까지 8개월간 3조원대를 넘어섰다. 올해 4월에는 4조5000만원까지 늘기도 했다. 이러한 추세에 금감원은 "주요 요건에 따라 수익 변동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며 '채권 투자 시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가장 먼저 채권도 '원금 손실이 가능한 금융상품'임을 강조했다. 채권도 투자자가 정부, 금융회사, 주식회사 등(발행인)에 자금을 빌려주면서 받은 '증권'이다. 즉, 발행인의 신용등급, 만기 전 채권 매도 시점의 시장금리 수준 등에 따라 채권 투자 시에도 원금 손실은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다. 혹, 발행인이 부도나 파산 등의 사건을 겪게 되면 원금 손실이 생긴다. 금감원은 "발행인의 신용위험 사건이 발생하지 않고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에는 확정된 이자 및 원금 회수가 가능하나, 만기 이전에 채권을 매도하는 경우에는 시장금리 수준에 따라 변동된 채권가격만큼을 돌려받게 되므로 이에 따른 투자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해외채권에 투자하면 '환율변동'에 따른 손실을 입을 수도 있다"며 "해외채권을 만기 보유해 확정 이자를 받아도 환율변동으로 원화 기준 수익은 확정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금감원은 '브라질채권'을 투자했다고 가정하고 환율변동에 따른 손실 사례를 제시했다. 2011년 8월 브라질 국채(10년 만기, 표면이자율 10%)에 1억원을 투자해 2021년 8월 만기까지 보유하면 채권 만기가 왔을 때 수령금액은 현지통화(헤알화) 기준으로 원금의 2배(이자수익 100%)가 될 예정이었다. 한국과 브라질 간 조세협약에 따라 브라질 국채 투자 시 이자소득세를 면제했기 덕분이다. 하지만 헤알화/원 환율이 2011년 8월 680원에서 2021년 8월 220원으로 68% 하락하면서 원화로 환산해도 오히려 3529만원 손실이 발생했다. 또한 '중도매매'를 통한 매매차익 실현을 목적으로 채권에 투자하는 경우에는 채권 매도 당시 시장금리에 따라 채권가치가 크게 변동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장외채권'은 '중도매도'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할 부분이다. 시장금리가 상승하면 채권가격 하락으로 중도매매 시 손실을 볼 수 있으며, 장기채일수록 가격변동 정도가 더욱 커질 수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처럼 시장금리 하락 전망이 우세한 시기에도 금리변동이 예상보다 천천히 진행되면 투자자금이 계획보다 장기간 묶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24-08-18 12:41:04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metro관심종목] CJ, '올리브영·푸드빌' 견조한 성장세...호실적에 주가 급등

CJ의 자회사인 올리브영, 푸드빌 등이 '깜짝실적'을 기록하면서 기업가치가 상승하고 있다. 비상장 자회사들의 호조가 반영되면서 주가도 강세를 보이는 모습이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CJ가 올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호실적을 이어가면서 마지막 거래일이었던 16일 주가가 10.70% 급등했다. CJ의 올해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3.8% 증가한 10조6000억원, 영업이익은 33.6% 성장한 6664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의 경우 시장예상치인 5865억원을 웃돌았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CJ올리브영,CJ푸드빌 등 비상장 자회사의 호조로 시장예상치를 상회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했다"며 "CJ올리브영의 2분기 매출액은 1조 2079억원, 순이익은 1249억원을 기록하면서 분기 사상 최대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매출액과 순이익 각각 전년 동기보다 24.8%, 22% 성장한 수치다. 올리브영은 지난해 3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으로 분기 매출 1조원을 넘기면서 주목되고 있다. 지난해 3분기에는 매출 1조5억원을, 4분기에는 1조641억원, 올해 1분기에는 1조726억원을 기록했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올리브영의 2분기 외국인 매출은 전 분기 대비 50% 이상 급증해 총 매출 대비 외국인 매출 비중이 15%를 상회한 것으로 추정됐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다소 포화상태로 보였던 점포수도 2분기에 16개나 증가했는데, 외국인관광객을 타겟으로 한 소규모 점포가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매출총이익률(GPM)이 유지되는 반면 물류창고 투자비용 감소 등으로 판관 비율은 하락하면서 영업이익률이 13%대까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CJ의 16일 종가는 12만9300원을 기록했지만 이번 달 증권사들이 제시한 CJ의 목표주가 평균은 16만원이다. 10%대 급등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24.03%의 상승 여력이 남은 셈이다. DS투자증권의 경우 지난 7일 리포트를 통해 기존 목표주가인 17만원을 유지했으나 일주일 후인 16일 목표주가를 18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증권사에서 제시된 목표주가 중 가장 높다. 김수현 DS투자증권 연구원은 "올리브영은 단기적으로 자체 (PB)브랜드를 통한 일본 진출과 중기적으로는 미국과 일본 중심 마케팅 강화를 통한 역직구몰 강화 등 상당 기간 높은 성장이 지속될 전망"이라며 "북미에서 고성장 중인 푸드빌의 가치도 재평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푸드빌의 기존 장부가치는 1000억원으로 평가했으나 최근 펀딩 과정에서 6000억원의 밸류에이션을 인정받았다는 부연이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8-18 12:32:31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한양증권, 상반기 자기자본 5000억 돌파...견조한 수익성 입증

한양증권이 '강성부펀드'로 불리는 사모펀드 KCGI를 새 주인으로 맞이하게 된 가운데, 올해 2분기에도 실적 성장세를 보이며 수익성을 증명했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인수 우선협상대상자인 KCGI의 실사를 받고 있는 한양증권이 올해 2분기에도 영업이익 360억원, 당기순이익 259억원을 기록하면서 호실적을 이어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 당기순이익은 11% 증가한 수준이다. 한양증권은 올해 1분기에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108억)보다 22% 증가한 196억원, 당기순이익은 23% 성장한 134억원을 달성하면서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연 환산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0.4%로 중소형사 중 최상위권을 차지했다. 상반기 중 자기자본도 5000억원을 달성하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임재택 한양증권 대표이사가 취임했던 2018년 1분기 자기자본 2699억원에서올해 2분기 기준 5057억원으로 불어나면서 5년여만에 87.36% 증가했다. 증자나 자본증권 발행 등 별도의 자본증식 없이 이익금만으로 이뤄낸 결과다. 임 대표이사는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지난해 3월 4연임에 성공했다. 특히 기업금융(IB), 트레이딩(Trading), 채권 등 3개 부문에서 성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양증권 관계자는 "IB부문은 여전채 및 유동화증권 주관을 통해 실적 상승을 거뒀으며, 트레이딩에서는 변동성 장세에 적합한 운용 전략을 적용했고, 금리인하에 따른 기대감 고조와 더불어 시장이 강세에 돌입하며 채권부문도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문도 약진했다. 한양증권의 부동산 PF 부문은 지난 6월 흑자전환하며 작년 이후 월 최대 실적을 달성하는 등 하반기 기대감을 상승시키고 있다. 임 대표가 부임 직후 재편했던 사업구조의 주요 내용 중 하나도 부동산 PF 사업이다. 임 대표는 창립 62년만에 부동산금융본부를 신설하며 관련 사업의 우수 인력들을 영입한 바 있다. 현재 한양증권은 대주주인 한양학원 등의 지분 매각을 위해 KCGI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매각 대상 지분은 29.6%로 매각가는 약 2450억원 수준이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8-18 12:31:57 신하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