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신한자산운용은 '신한초단기채펀드' 가 설정액 1조원을 돌파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5월 말 출시 이후 6개월 만에 수탁고 1조원를 달성한 것이다. 특히 최근 3개월간 2600억원이 유입되며 초단기채 펀드 유형 중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11월 20일 기준 '신한초단기채펀드' 는 3개월 펀드수익률(연환산) 3.75 %를 기록했다. 대표적인 파킹형 상품인 신한초단기채펀드는 머니마켓펀드(MMF)와 동일한 환금성으로 익일 설정(T+1), 익일 환매(T+1)가 가능하며, 환매수수료도 없다. 상대적으로 MMF 대비 유연한 투자로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 초과성과를 추구하는 상품이다.
신한초단기채펀드는 편입 채권의 만기를 90일에서 180일 이내의 짧은 듀레이션으로 잡고 금리 변동성에 대응한다. 또한 기업의 펀더멘탈을 분석해 저평가된 신용채권(AA-, A2-)에 집중 투자하며, 고평가 종목을 매도하고 저평가 종목을 매수하는 상대가치 전략으로 추가 수익을 추구하는 것이 핵심 운용전략이다.
최근 증시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작년부터 지속되어온 고금리 상황에서 시장은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초단기채 펀드에 자금 수요가 몰리고 있다. 초단기채권 상품은 한국은행의 금리인하 사이클이 시작된 가운데, 시장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낮고 높은 금리를 확보할 수 있는 점이 강점이다.
송한상 신한자산운용 채권운용2팀 팀장은 "2025년에도 추가적으로 2~3차례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가 인하로 MMF보다 상대적으로 듀레이션이 긴 초단기채가 수익률 측면에서 더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철저한 크레딧 분석을 통해 높은 등급안정성을 가진 저평가 종목을 발굴, 투자하여 펀드 수익률을 꾸준히 높게 유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주요 가상자산 가격이 급락하고 있다. '가상자산 대장주' 비트코인은 지난 14일 사상 최고가인 12만4500달러를 경신한 지 2주 만에 약 1만3500달러 가량 내렸고, 4년 만에 최고가를 기록하며 5000달러를 목전에 뒀던 이더리움도 약 10% 하락했다. 인플레 우려로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하가 늦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확산한 영향이다. 27일 가상자산 시황중계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가상자산 대장주' 비트코인은 이날 정오께 전일보다 1.3% 오른 1BTC당 11만1167달러에 거래됐다. 장중 한때 10만9152달러까지 내렸던 전일의 하락을 일부 만회했지만, 지난 14일 기록한 사상 최고가인 12만4457달러와 비교해선 약 10.7% 하락했다. 이달 들어 50%가 넘는 가격 상승률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한 이더리움(ETH)의 상승세도 꺾였다. 지난 25일 1ETH당 4953.73달러까지 올랐던 이더리움은 이틀 만에 약 7.6% 하락한 4577.80달러까지 하락했다. 가상자산 전반의 강세에 힘입어 상승했던 리플(XRP), 바이낸스(BNB), 솔라나(SOL) 등 주요 알트코인도 이틀 새 약 4~10% 내렸다. 가상자산 전반이 약세로 전환한 것은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가 늦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확산해서다. 가상자산은 투자 상품으로 여겨지는 만큼 주로 금리 하락기에 가격이 상승한다. 지난 22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잭슨홀 미팅 연설에서 "정책 기조를 변경할 수 있다"라며 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했다. 금리 인하에 유보적이었던 파월 의장의 발언에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 기대감이 확산했지만,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정책의 여파로 인플레가 심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 이어지면서 시장의 기대감도 잦아 들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오는 29일(현지시간) 7월 개인소비지출(PCE)을 발표한다. 계절에 따른 변동이 큰 에너지·식품 가격을 제외한 근원 PCE는 연준이 금리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다. 시장에서는 7월 근원 PCE가 전년 대비 2.9% 상승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2월 이후 가장 큰 상승이다. 이달 초 실시된 상호관세의 영향이 본격화하면 향후 PCE의 상승 폭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선물시장의 금리 전망을 나타내는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는 연준이 오는 12월까지 기준금리를 75bp(1bp=0.01%p) 이상 내릴 가능성을 33.95%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 13일 전망치인 57.58%에서 2주만에 24%가량 급락했다. 9월 17일 개최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빅 컷(50bp 이상의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이란 기대감도 사그라들었다. 시장 일각에서는 대규모의 가상자산을 보유한 '고래 거래자'들이 일시적인 가격 상승 시기에 대규모 매각에 나서면서 하락을 유발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글로벌 거래 플랫폼 에프엑스프로(FxPRO)의 알렉스 쿠프치케비치 시장분석가는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 이후 비트코인이 급등했고, 새로운 매도자가 발생하면서 가격이 최근 50일 간의 평균보다 낮아졌다"라면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집중됐던 유동성이 다른 알트코인으로 이동하고 있고, 기업들이 매수하는 비트코인의 규모도 줄어 들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
애플이 최신 스마트폰 아이폰17 시리즈의 공개일을 확정하면서 국내 부품 관련주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기준 LG이노텍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93% 상승한 16만6600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비에이치는 7.71% 상승한 1만8300원에, 덕산네오룩스는 6.86% 오른 4만9100원에 거래 중이다. 26일(현지시간) 애플은 전 세계 미디어를 대상으로 내달 9일 아이폰을 비롯한 신제품 공개 행사를 진행한다는 초대장을 발송했다. 행사명은 'Awe dropping(놀라움이 뚝뚝 떨어진다)'이다. 이번 아이폰 17 시리즈는 기존 플러스 모델이 초경량 '에어' 모델로 바뀌는 등 라인업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에어 모델의 두께는 5.5㎜로 역대 가장 얇은 아이폰이 출시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앱코가 '단청 키보드' 완판 소식과 함께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흥행 효과를 타고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앱코 주가는 오후 1시 9분 기준 전일 대비 29.99%(266원) 오른 1153원에 거래 중이다. 장중 상한가에 안착한 모습이다. 앞서 앱코는 이날 자사 키보드 모델 K515 기반으로 제작된 국립중앙박물관 공식 기념품 '단청 키보드'가 완판 행렬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제품은 커스텀 키보드 제작사 시이닷(C.E.dot)이 K515 모델에 한국 전통 건축의 단청 문양을 입혀 제작했으며, 국립중앙박물관 기념품점 '뮷즈(MU:DS)'에서 판매 개시 직후 준비 물량이 모두 소진됐다. 온라인몰에서도 현재 품절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흥행이 '케데헌' 효과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영화 인기에 힘입어 국립중앙박물관을 찾는 외국인 방문객이 급증하면서 단청 키보드가 필수 굿즈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다. 실제로 국립중앙박물관 관람객은 올해 1월 1일부터 이달 25일까지 418만9822명으로 집계돼 박물관 개관 80년 만에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일부 소비자 사이에서는 사재기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으며, 회사는 향후 시장 반응에 따라 공급 모델과 물량 확대를 검토 중이다. 앱코 관계자는 "단청 키보드가 문화유산 디자인과 결합해 새로운 K-컬처 굿즈로 재탄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협업을 통해 K-컬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서울 강남보다 비싼 분양가에도 경기 과천시 새 아파트 청약에 1만2000명 이상이 몰리며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27일 청약홈에 따르면 과천시 주암동에 들어서는 '디에이치 아델스타'는 전날 진행된 1순위 청약에서 159가구 모집에 8315명이 신청해 평균 52대1 경쟁률을 기록하며 전 평형이 모두 마감됐다. 특히 과천 지역 내 거주자가 대거 몰린 것이 특징이다. 가장 높은 경쟁률은 전용 59㎡A 타입에서 나타났다. 27가구 모집에 해당 지역에서만 531명이 지원해 치열한 경쟁을 보였다. 전체 평균 경쟁률은 19.67대1로 집계됐다. 과천 거주자 외 기타 지역 청약자는 2436명에 달했다. 앞서 지난 25일 진행된 특별공급 청약에서도 인기가 높았다. 당시 189가구 모집에 3724명이 몰리며 관심을 확인했다. 특별공급과 일반공급을 합산하면 총 1만2039명이 신청한 셈이다. 이 단지는 분양가 책정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전용면적별 최고 분양가는 59㎡ 17억6200만원 75㎡ 21억9500만원 84㎡ 24억4600만원 수준이다. 이는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서울 강남 주요 단지보다 높은 금액이다. 그럼에도 인근 시세와 비교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점이 수요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과천 주암동은 행정구역상 과천에 속하지만 서초구와 맞닿아 있어 강남 접근성이 우수하다. 이 같은 입지적 장점이 청약 수요를 끌어올린 요인으로 분석된다. 다만 높은 분양가로 인해 금융 규제의 영향도 만만치 않다. 수도권 대출 규제 기준에 따라 전용 84㎡ 주택을 분양받을 경우 약 24억원 분양가 가운데 최대 18억원가량을 자기자본으로 마련해야 한다. 자금 마련이 수월하지 않은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상당한 부담이 될 전망이다. 이번 청약 결과는 강남을 넘어서는 고분양가에도 불구하고 희소성과 입지를 고려한 청약 수요가 여전히 강력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과천이지만 사실상 강남 생활권이라는 점이 수요자들의 선택을 이끌어낸 것으로 해석된다.
식음료(F&B) 업계, 특히 외식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매각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다. 고물가와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몸값이 더 떨어지기 전에 매각해야 한다'는 압박이 커지고 있어서다. 하지만 원매자와 매도자의 눈높이 차이가 커 거래 성사는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인수합병(M&A) 시장에 나온 대표적인 매물은 패스트푸드다. KFC는 오케스트라프라이빗에쿼티가 지난 4월 매각 주관사로 삼일회계법인을 선정하며 새 주인을 찾고 있다. 매각가는 약 4000억 원으로 거론되는데, 이는 오케스트라PE가 2023년 KG그룹으로부터 인수할 당시 금액보다 약 4배 높다. 버거킹도 2021년부터 매각이 추진됐지만 3년 넘게 결론을 내지 못했다. 운영사 비케이알(BKR)의 예상 매각가는 약 8000억 원 수준이었으나, 코로나19와 내수 부진으로 협상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한화갤러리아가 들여온 미국 수제버거 브랜드 파이브가이즈 역시 한국 진출 2년 반 만에 매물로 나왔다. 강남 1호점 오픈부터 7월 말 기준 8호점(용산)까지 외연을 확장해왔다. 파이브가이즈는 2023년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이 국내 도입 과정부터 사업권 계약까지 모든 절차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목받았다. 파이브가이즈 운영사인 한화갤러리아 자회사 에프지코리아는 2023년 5~12월 매출 99억 원, 2024년에는 매출 465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2023년에는 각각 13억 원 적자였으나 2024년에는 영업이익 33억 원, 당기순이익 18억 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호실적에도 한화갤러리아가 2년 만에 파이브가이즈 사업권을 매각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미국 본사에 내는 수수료 부담이 꼽힌다. 치킨·다이닝 프랜차이즈도 매각 대열에 합류했다. 이랜드이츠는 '리미니', '테루', '반궁', '스테이크어스' 등 9개 비주력 브랜드를 정리하고 핵심 브랜드인 애슐리·자연별곡·피자몰에 집중하기로 했다. 치킨 브랜드 노랑통닭은 필리핀 졸리비푸즈와 가격 협상을 놓고 매각 불발 위기에 놓였다. 투자은행 업계에 따르면 엘리베이션에쿼티파트너스-졸리비푸즈 연합은 최근 노랑통닭 운영사 노랑푸드의 매도인인 큐캐피탈파트너스·코스톤아시아 측에 "경영권 인수를 추진하지 않겠다"는 뜻을 전달했다. 앞서 매도 측은 지난 6월 해당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이달 중 주식매매계약(SPA) 체결을 추진해왔다. 거래 대상은 노랑푸드 지분 100%였으며, 시장에서는 매각가가 1000억 원 중반대로 추정돼 왔다. 그러나 실사 과정에서 졸리비 측이 "가격이 과도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우선협상 지위가 유지되는 동안 통상 2~3개월의 협상 기간이 주어지는 만큼 가격 조정 등을 통해 협상이 재개될 가능성은 남아 있다. 거대 매물이 쌓이고 있지만 단시간에 거래가 성사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경기 불확실성이 커진 데다 F&B 산업 특성상 유행 주기가 짧고 충성도가 낮아 고가 매입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다. 여기에 가맹사업법 개정안 발의로 본사의 비용 분담 의무, 재료 가격 공개 의무 등이 강화될 경우 투자자들의 부담은 더 커질 수 있다. 사모펀드가 보유한 맘스터치는 매각 시도가 무산된 대표 사례다. 케이엘앤파트너스는 2022년 맘스터치를 1조 원에 매각하려 했지만 원매자와의 가격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현재 맘스터치는 해외 확장으로 방향을 틀고 몸집을 불리고 있다. 일본·몽골·태국·라오스 등 현지 기업과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하며 매장을 늘려, 기업가치를 끌어올린 뒤 '성공 엑시트'를 노리는 전략이다. 업계 관계자는 "브랜드 가치를 지키려는 매도자와 조금이라도 싸게 사려는 원매자 간 줄다리기가 길어질수록 상품성이 떨어져 거래 성사 가능성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며 "고물가·저성장 시대에 프랜차이즈 매각은 더 까다로운 거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원선기자 tree6834@metroseoul.co.kr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