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 지자체·지역대학과 글로컬대학 실현 위한 공동협력 구축
계명대가 지역과 세계를 연결하는 '글로컬대학' 실현을 위한 공동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실행에 나선다. 계명대는 7월 22일 오전 10시 30분 대구시청 동인청사에서 대구시, 달서구, 달성군, 지역 8개 대학과 함께 '글로컬대학 실현을 위한 국제인재 양성 및 지역 일자리 생태계 조성 공동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을 통해 정주형 계약학과 운영, 일자리 플랫폼 구축 등 지역-대학 간 전략적 협력체계를 갖추게 됐다. 이번 협약은 지역에 정주할 수 있는 국제인재를 양성하고, 지속가능한 지역 일자리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각 기관은 대구-계명국제교육원 산하 '글로컬일자리주식회사' 설립과 'On Site 계약학과' 운영을 통해 교육과 고용이 연계된 정주형 모델을 추진하게 된다. 또한 국제학생 중심의 실무형 커리큘럼도 공동 개발해, 한국형 대학 국제화 모델 구축을 도모한다. 협약에 따라 대구시는 글로컬일자리주식회사 체계 구축과 공공부문 일자리 수요 발굴을 지원하며, 달서구와 달성군은 행정 협력을 통해 지역 특화형 일자리 모델과 주민참여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계명대는 일자리주식회사 설립과 계약학과 운영을 총괄하고, 국제학생 맞춤형 실무 교육과정을 설계하며, 협력대학들은 교육과정 공유, 학점 교류, 한국어 집중교육, 지역 기반 실무 과제 수행을 맡는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이번 협약을 통해 교육과 산업, 일자리가 연결되는 지역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며 "글로컬일자리주식회사는 외국인 유학생의 정주·고용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핵심 장치"라고 밝혔다. 신일희 계명대 총장은 "이번 협약은 지역사회와 함께 실질적인 글로컬대학 모델을 만들어가는 의미 있는 출발"이라며 "글로벌 인재가 지역에 정착하고, 지역이 세계로 확장되는 연결고리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협약에는 계명대를 비롯해 경북대, 계명문화대, 대구공업대, 대구과학대, 대구보건대, 수성대, 영남이공대, 영진전문대 등 9개 대학이 참여했으며, 협약 이후에는 기관별 역할에 따른 세부 실행 계획이 마련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