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획코너 > IPO기자간담회
기사사진
[IPO 간담회] 탑머티리얼 "차세대 2차전지 소재 대표 기업 도약"

2차전지 시스템 엔지니어링 업체 탑머리티얼이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다. 27일 탑머티리얼은 온라인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장 후 성장 전략과 회사 비전에 대해 밝혔다. 지난 2012년 설립된 탑머티리얼은 2차전지 분야의 축적된 기술력을 기반으로 배터리 제조업체에게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시스템 엔지니어링, 고성능 전극 제조, 차세대 양극재 개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탑머티리얼의 핵심 경쟁력은 ▲연구개발(R&D) 맨파워 ▲2차전지 토탈 솔루션 역량 보유 ▲전극 및 양극재를 통한 사업 다각화로 꼽힌다. 탑머티리얼은 삼성SDI 1세대 기술자 출신인 노환진 대표를 중심으로 최고 수준의 연구진을 구성하고 있다. 연구인력은 전체 임직원의 34%다. 특히 핵심 연구진들은 노환진 대표와 함께 미국 2차전지 제조기업 A123시스템즈(A123Systems)에서 근무하며 세계 최초로 전기차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개발하고, 이를 생산하기 위한 미국최초의 기가팩토리 건설을 주도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탑머티리얼즈는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력을 바탕으로 2차전지 토탈 솔루션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시스템 엔지니어링은 2차전지 제조기업에게 파일럿 라인 및 기가 팩토리를 일괄 공급하는 토탈 엔지니어링 솔루션 사업이다. 공정 기술과 제조 장비를 동시에 공급하는 턴키(Turn-key)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시스템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독보적인 실적을 쌓아가고 있다. 이어 전극 및 양극재 분야까지 사업다각화를 이뤘다. 시스템 엔지니어링을 통해 확보한 글로벌 고객사에게 전극과 양극재까지 공급하며 수주 기반을 확보 중이다. 올해 상반기 탑머티리얼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78억원, 83억원으로 2021년 온기 매출액 및 영업이익을 상회했다. 지난 8월 말 기준 수주 잔고는 약 415억원으로 꾸준한 매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노환진 탑머티리얼 대표이사는 "탑머티리얼은 지속적 성장을 이루고 있는 시스템 엔지니어링을 캐시카우 삼아 전극과 양극재까지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라며 "이번 상장을 통해 차세대 2차전지 소재 대표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탑머티리얼의 총 공모주식수는 200만주이며, 희망 공모가 밴드는 2만7000~3만원이다. 9월 27~28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10월 4~5일 일반청약을 받는다. 상장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며, 10월 중 코스닥 시장 상장 예정이다. /박미경기자 mikyung96@metroseoul.co.kr

2022-09-27 12:58:21 박미경 기자
기사사진
[IPO 간담회] 샤페론 "나노바디 항체 치료제 개발…염증질환 치료제 선도"

면역 혁신신약개발 바이오기업 샤페론이 기술특례상장을 통해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다. 21일 샤페론은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장 후 성장 계획과 비전에 대해 밝혔다. 샤페론은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 중인 성승용 공동 대표가 지난 2004년 네이처 리뷰 이뮤놀로지(Nature Review Immunology)에 발표한 세계 최초 염증 개시 이론인 DAMPs(Damage Associated Molecula Partners) 이론을 바탕으로 2008년 10월 설립됐다. 혁신적 면역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며, 독자적인 염증복합체 억제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아토피, 알츠하이머 치매, 특발성 폐섬유증, 코로나19와 같은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혁신 항염증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또 차세대 신약기술로 주목받는 나노바디(Nanobody)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나노바디-이중항체 면역항암제(Papiliximab)와 나노바디-mRNA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주요 파이프라인은 ▲국내 임상 2상을 진행 중인 아토피 치료제 ▲전임상을 완료하고 국전약품에 기술이전을 완료한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전임상을 완료하고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에 글로벌 기술 이전을 완료한 특발성폐섬유증 치료제 ▲국가신약개발재단으로부터 91억원의 임상 개발비를 지원받아 다국가 2b/3상을 진행 중인 코로나19 폐렴 치료제 등이 있다. 또 샤페론은 기존 항체 치료제를 10분의 1로 경량화해 기존 항체 치료의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나노바디 기술을 바탕으로 차세대 면역항암제를 개발 중이다. 나노바디 기술은 높은 안정성에 기반한 다양한 투여 경로를 가지며, 작은 크기와 안정된 구조의 '모듈'로 다양한 타겟과 구조로 설계할 수 있다. 성승용 샤페론 공동대표는 "샤페론은 국내 최고 수준의 전문가들이 모여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며 "상장 후 선도 바이오 기업과의 기술 이전, 글로벌 리딩 제약사들과의 공동 연구, 효과와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킨 차세대 염증복합체 억제제 개발 등을 통해 염증질환 치료제 분야를 선도하는 일류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샤페론의 총 공모주식수는 274만7000주이며, 희망 공모가 밴드는 8200원~1만200원이다. 오는 9월 29일~30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 예측을 진행하고, 10월 6일~7일 일반청약을 거친다. 상장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며, 10월 중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구주매출 없이 공모주를 전량 신주로 발행한다. 기존 주주들이 보유주식 대다수에 자율적 락업을 걸어 상장 후 보호예수 물량은 70%가 넘는다. /박미경기자 mikyung96@metroseoul.co.kr

2022-09-21 15:00:16 박미경 기자
기사사진
[IPO간담회] 이노룰스 "글로벌 디지털 전환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

"코스닥 상장을 계기로 디지털 전환 소프트웨어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확고히 자리잡을 것입니다" 김길곤 이노룰스 대표는 20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에서 "상장 이후 우수한 개발 인력 확보와 꾸준한 신규 솔루션 개발로 국내 시장 점유율 확대는 물론 글로벌 시장 개척을 통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디지털 전환 솔루션 기업이 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2007년 설립된 이놀루스는 디지털 전환 자동화 소프트웨어 솔루션 개발 및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며 성장해 왔다. 회사 대표 제품은 디지털 의사결정 자동화 시스템인 '이노룰스(InnoRules)'와 디지털 상품 정보 자동화 시스템 '이노프로덕트(InnoProduct)' 등이다. 이노룰스의 제품군은 코딩 과정을 최소화한 로우 코드 소프트웨어(Low Code Software)로, IT 비전문가인 현업 담당자도 디지털화된 업무를 쉽게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다. 회사는 이러한 강점을 통해 보험사, 카드사 등 국내 금융업계는 물론 공공분야 및 제조, 유통,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다수 고객사를 확보했다. 이노룰스의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매출액은 2019년 약 34억 원에서 2021년 약 61억 원으로 증가했고, 전체 매출액에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매출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9년 25.7%에서 2021년 38.8%로 늘었다. 소프트웨어 기술료 매출 역시 2019년 약 20억 원에서 2021년 28억 원을 기록했다. 소프트웨어 기술료 매출은 라이선스 매출보다 1년 정도 후행하기 때문에 최근 라이선스 매출 증가에 따른 기술료 매출 증가는 2022년 이후에 보다 크게 반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노룰스는 상장을 통해 마련되는 공모를 통해 유입되는 자금을 신규 솔루션 개발, 우수 인력 확보, 해외시장 개척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금융 이상거래 감지 시스템, 보험금 지급 자동화 플랫폼 서비스 등을 포함한 'Inno ITP(Inno Insur Tech Platform)' 등 신규 솔루션을 개발해 시장 다각화를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이노룰스의 총 공모주식수는 115만4744주로 1주당 공모 희망가범위는 1만1000원∼1만2500원이다. 본 공모를 통해 공모가 범위 상단 기준 약 144억 원을 조달한다. 오는 22일부터 이틀간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27일과 28일 일반청약을 받는다. 10월 상장 예정이며, 상장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2-09-20 14:53:07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IPO간담회] 모델솔루션, 내달 코스닥 상장…"프로토타입 톱 티어 기술력이 강점"

고부가가치 프로토타입 제작 기업 모델솔루션이 1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열고 코스닥 상장 후 성장 계획과 비전에 대해 밝혔다. 우병일 모델솔루션 대표는 "코스닥 상장을 통해 경영성과를 고객과 주주에게 투명하게 보여주는 동시에 시장에서 냉철히 평가받아서 한 단계 퀀텀 점프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모델솔루션은 지난 1993년에 설립해 자동차와 항공우주, IT·통신, 의료기기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산업의 제품 개발 단계에서 필요한 디자인·기능성·사출성형 프로토타입의 제조 및 소량 양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모델솔루션은 프로토타입 산업의 높은 성장성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 기관 TMR에 따르면 프로토타입 글로벌 시장 2021년부터 2031년까지 매년 11% 이상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모델솔루션은 보유한 컴퓨터 수치제어 가공 기술, 후공정 경쟁력을 바탕으로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특히 신규 제품 개발 주기가 짧아진만큼 최대 7영업일 내에 고객사에 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초단납기 프로세스'를 강점으로 꼽았다. 우 대표는 "통상적으로 제품을 대행으로 제작해주는 업체들이 자체적인 CMF와 같은 공정에서 자체적인 인력과 설비가 없다 보니 개발 리드타임에 손해를 입는다"며 "모델솔루션은 데이터분석부터 가공단계까지 시스템화된 프로세스를 통해 제품 납기 기한을 경쟁사 대비 2배 이상 빠르다는 강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실적도 견조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은 611억원으로 전년 대비 9.8% 늘었으며, 영업이익은 89억원으로 같은 기간 32% 가량 증가했다. 올 상반기에도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8.2% 증가한 322억원을 기록했다. 여기에 국내는 삼성전자·LG·현대차, 해외에서는 테슬라, 구글, 아마존 등 글로벌 최상위 기업 등 탄탄한 고객군을 바탕으로 매출 실적에 안정성을 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이번 IPO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북미·유럽 지역 등 진출을 위한 투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또한 향후 그룹사인 한국타이어그룹과 연계한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강화 계획도 밝혔다. 모델솔루션이 아이디어를 보유한 혁신 스타트업에 하드웨어 개발과 생산을 지원하고, 한국타이어그룹이 스타트업에 투자까지 이어가는 순환구조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우 대표는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하드웨어 산업의 최전방에 서있는 모델솔루션이 제품 개발을 완성하면, 지주사인 한국앤컴퍼니에서 투자와 M&A 등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모델솔루션의 총 공모주식수는 총 100만주, 공모 희망가 밴드는 2만4000~2만7000원이다. 오는 19~20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할 예정이며, 이어 26, 27일 양일간 일반청약을 진행한다. 이어 다음달 중 상장을 진행하며, 대표주관사는 KB증권이다. /이영석기자 ysl@metroseoul.co.kr

2022-09-15 14:19:32 이영석 기자
기사사진
더블유씨피·KB스타리츠 등 출격 준비…IPO 한파 걷힐까

금리 인상기 속 IPO 시장마저도 한파가 불어닥친 가운데 이달에도 기업공개(IPO)를 준비하는 기업들이 이어지고 있다. 1조 이상의 시가총액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더블유시피(WCP) 등이 차례대로 나서면서 침체된 IPO 시장의 분위기를 반전시킬지 관심이 모아진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달 말까지 코스피·코스닥에서 더블유씨피, KB스타리츠,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등을 비롯한 기업인수목적회사(스팩·SPAC) 등 12개 기업에서 일반 공모 청약을 진행한다. 가장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는 기업은 더블유씨피다. 하반기 중 IPO 시장 최대어 중 하나로 지목되는 더블유씨피는 국내 2차전지 분리막 2위 업체로 KB증권과 신한금융투자의 대표 주관 아래에 오는 14~15일 수요예측에 돌입한다. 이어 20~21일에 일반 청약을 진행하며, 희망 공모가 밴드 기준 시가총액이 2조7208억~3조4009억원에 달한다. 기대대로 밴드 상단을 기록할 경우 코스닥 7위권 기업으로 직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최근 2차전지 분야 유력 소재주로 공모주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올 상반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9.9%, 26.8%씩 증가하면서 실적도 견조하다. KB스타리츠는 오는 15일부터 16일까지 일반 청약을 진행한 뒤, 다음달 6일에 코스피에 입성한다. 벨기에, 영국 등 해외에 위치한 빌딩을 기초자산으로 한 재간접 투자 방식의 리츠다. 예상 배당수익률 7.76%(지난달 말 기준 추정치) 수준으로 예상되며, 낮은 공실률을 유지해 안정적인 임대료 수취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투심 악화로 주춤했던 바이오 기업들의 IPO도 다시 이어진다. 먼저 20~21일에 알피바이오가 일반 청약을 실시한다. 알피바이오는 의약품, 건강기능식품용 연질캡슐을 생산하는 업체로 탄탄한 매출이 강점이다. 예상시가총액은 공모가 1만~1만3000원으로 기준 예상시가총액 808억~1050억원으로 예상된다. 이후 22~23일 중 코넥스에서 이전상장을 추진하는 선바이오가 일반 청약을 실시한다. 특히 성장성 특례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으로 각각 100억원, 34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그러나 냉랭해진 바이오 공모시장 관심을 반대로 투자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조언도 제기된다. 박재경 하나증권 연구원은 "공모경쟁률이 IPO 시장의 열기와 수급을 보여준다는 점을 감안하면 헬스케어 IPO 시장은 여전히 차갑다"라며 "그러나 IPO 시장의 냉각은 상장시장에게는 좋은 기업을 낮아진 밸류에 살 수 있는 기회"라고 전했다. 이 외에도 오는 26일과 27일에 각각 모델솔루션, 이노룰스가 일반청약을 진행한다. 또한 이날부터 일반 청약을 실시하는 '케이비제22호스팩'을 비롯해 이달 중 5개 스팩이 상장을 진행한다. /이영석기자 ysl@metroseoul.co.kr

2022-09-13 14:56:59 이영석 기자
기사사진
[IPO 간담회] 오픈엣지테크놀로지 "글로벌 대표 AI 반도체 설계 IP 기업으로 도약할 것"

"AI 반도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만큼 상장 후 당사만의 성장동력을 강화해 글로벌 시장 확대와 매출 신장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이성현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대표는 7일 서울 여의도 63컨벤션에서 열린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지난 2017년에 설립된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자체 보유한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AI 반도체 IP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전문 기업이다. 시스템 반도체 산업의 전방에서 시장 수요에 따라 AI 반도체 칩 설계에 필요한 핵심 기능 블록을 선행 개발하며, 해당 기능 블록을 반도체 칩 설계 회사(팹리스, 디자인하우스, 종합 반도체 업체 등)에 공급한다. 오픈엣지는 현대자동차, SK하이닉스 등 국내 대기업들과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했고, 글로벌 톱티어 팹리스 업체를 포함해 현재 30건 이상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수익구조는 반도체 IP 공급에 따른 라이선스 요금과 동 IP가 적용된 고객사 반도체 칩 양산에 따른 개당 러닝로열티로 구성돼 있으며, 2022년 상반기에만 2021년 연간 매출의 135%를 달성했다. 오픈엣지는 상장을 통해 확보한 공모자금을 5nm, 4nm 포함 최선단 공정 IP 제품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연구개발과 IP 개발 전문 인력 확보, 글로벌 거점 확대와 같은 사업 확장을 위한 투자에 사용할 계획이다. 오픈엣지의 총 공모 주식 수는 363만6641주이고 1주당 공모 희망가액은 1만5000원~1만8000원, 총 공모금액은 545억원∼655억원이다. 8일까지 기관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15일과 16일 일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오는 26일 상장 예정이며 대표 주관사는 삼성증권이다.

2022-09-07 15:15:32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IPO 간담회] 모코엠시스 "尹 디지털플랫폼 정부…매출 확대 기회"

IT 인프라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 모코엠시스가 신한제6호스팩과 합병, 상장한다. 18일 모코엠시스는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향후 성장 전략에 대해 밝혔다. 지난 2007년 설립된 모코엠시스는 ▲기업 내·외부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등을 동기화 및 통합하는 연계 솔루션 ▲정보 자산의 유출 방지를 위해 업무 자료를 중앙에 통합하고 저장해 공유와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보안 솔루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클라우드 모니터링을 지원하는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솔루션 등 3개 사업 분야를 영위하고 있다. 현재 국내 주요 공공기관과 금융업,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군에 분포된 200여개 이상의 우량 고객들과 장기적인 거래 관계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산업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또 자체 개발 솔루션 판매 비중을 확대하며 수익성을 향상시켰다. 그 결과 지난 2019년 전체 매출에서 28.2%의 비중을 차지하던 자체 개발 솔루션 매출이 지난해 38.0%까지 증가했다. 지난해 모코엠시스의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은 각각 37억3700만원, 14.2%로 2019년 대비 5배 이상 성장했다. 모코엠시스의 올해 반기 실적은 매출액 111억6700만원, 영업이익 14억800만원, 당기순이익 10억7600만원이다, 모코엠시스는 올해 상반기 기준 총 134억6300만원의 수주잔고를 확보했다. . 현재 모코엠시스의 연계 솔루션 고객은 지난해 말 기준 총 123개사로 계약 기간이 5년 이상인 장기 고객 비중이 75%에 달한다. 연계 솔루션 사업은 한번 솔루션이 구축된 이후 경쟁 업체가 진입하기 어렵고, 구축 이후에는 유지 보수 계약을 통해 장기적인 고객 관계 지속이 가능한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가진다. 이어 보안 솔루션을 정부 기관에 납품하기 위해서는 GS 인증과 국정원 암호 모듈 검증 획득이 필수적이다. 모코엠시스는 자체 개발한 보안 솔루션에 대한 국정원 암호 모듈 검증(KCMVP·Korea Cryptographic Module Program) 인증을 획득한 국내 유일 업체다. 특히 지난 2017년 행정안전부의 중앙부처 공무원 10만명을 위한 클라우드 저장소 'G-드라이브'를 구축해 공급한 바 있다. 사용자 수 기준 현재까지 국내 최대 규모의 클라우드 저장소다. 모코엠시스는 이를 기반으로 국세청,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등 사용자 규모 최소 3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들을 수주했다. 정부 주도에 따른 클라우드 저장소 솔루션 시장의 고성장도 전망된다. 새 정부는 각 정부 부처 데이터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디지털플랫폼 정부' 구축 의지를 밝혔다. 추후 클라우드 저장소 기반의 디지털플랫폼 시장이 공공 중심에서 민간 업체까지 확대될 것이란 설명이다. 조천희 모코엠시스 대표는 " 10만명이 사용할 수 있는 행정안전부의 G-드라이브는 공공 스마트업무 환경과 공공정보 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에서 당사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며 "디지털플랫폼 정부 전환에 이어 민간으로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플랫폼이 확대될 것이며, 이는 모코엠시스의 매출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모코엠시스는 신한제6호스팩과 스팩존속방식 합병 절차에 따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8월 26일 합병 승인을 위한 주주총회를 거치며, 합병 신주 상장 예정일은 10월 19일이다. 모코엠시스는 이번 스팩 합병을 통해 유입되는 자금을 오픈 API 솔루션과 보안 솔루션 연구 개발에 사용할 예정이다. /박미경기자 mikyung96@metroseoul.co.kr

2022-08-18 14:33:20 박미경 기자
기사사진
[IPO 간담회] 비스토스, '스팩소멸' 1호 상장…"생체의료장비 선도기업 도약"

생체신호 의료기기 전문기업 비스토스가 '스팩소멸방식 1호'로 SK5호스팩과 합병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18일 비스토스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장 후 성장전략과 포부를 밝혔다. 비스토스는 태아 및 신생아 관련 의료기기부터 가정용 의료기기 및 환자감시장치 등 생애 전 주기를 아우르는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핵심경쟁력으로는 ▲20년 이상 연구개발로 축적한 기술력 ▲전세계 120여개국, 1만여 개 리스트에 달하는 풍부한 고객풀과 다양한 판매루트 ▲의료기기 업계 최고 수준의 품질시스템 및 인허가 능력 등을 꼽을 수 있다. 보유한 특허들은 제품 양산에 핵심 기술로 효용성이 높고, 해외 시장에서도 주목 받는 기술이다. 그 결과 매출의 90%를 전세계 120여개국 대상의 해외 수출에서 달성하고 있다. 또 의료기기는 각종 인증과 인허가를 요구하며 각 국가별로 등록을 획득해야만 판매가 가능하다. 해외시장서 거두는 매출 실적은 비스토스의 인허가 획득 능력이 높음을 방증하고 있다. 이후정 비스토스 대표는 "생체신호 진단기술 제품을 다변화해 지속적인 매출액 성장을 실현하겠다"며 "주력제품군을 병원용 의료기기, 가정용 의료기기, 뇌관련 의료기기 등 3개군으로 구분 후 전략모델 개발에 집중 투자할 것"이라 성장계획을 밝혔다. 비스토스는 기존 주력제품에 IoT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제품으로 시장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하이테크 시장에 진입해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고, 뇌 관련 기술을 확보해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비스토스는 ▲태아 ECG 추출신호 기반의 Fetal monitor 및 AI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복합형 인큐베이터(병원용) ▲신생아 돌연사 방지 및 모니터링을 위한 베이비 모니터(가정용) ▲청소년기에 주로 나타나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전기 자극에 의해 치료하는 제품 등을 개발 중이다. 비스토스는 각 제품에 대한 기초기술을 이미 확보한 상태로, 2~3년 내 인허가를 득하고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후정 대표는 "비스토스는 20년이 넘는 업력 동안 국내외서 인정받아온 믿음과 신뢰의 기업"이라며 "상장 이후 최고의 제품개발 및 생체신호 미개발분야 개척을 통해 인류의 복지 향상에 기여하고, 열정적인 연구개발과 의욕적인 영업활동을 통해 지속성장해 투자자들에게 결실을 돌려드릴 것"이라며 포부를 밝혔다. 비스토스는 SK5호스팩과 '스팩소멸방식'으로 상장하는 최초 기업이다. 8월 25일 합병 승인 결의를 위한 주주총회를 거쳐 오는 10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계획이다. 기존 스팩합병은 비상장기업의 법인격 및 업력을 소멸하고 스팩을 존속하는 방식이라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비스토스는 '스팩소멸방식'이어서 설립 이래 확보한 각종 국내외 인허가를 법인 소멸로 갱신할 필요가 없다. /박미경기자 mikyung96@metroseoul.co.kr

2022-08-18 14:27:13 박미경 기자
기사사진
[IPO간담회] 대성하이텍, "글로벌 초정밀 스마트 머시닝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

"지난 창업 시기부터 시작해서 누적 매출 9000억원 중 6000억원이 해외 수출로 이루어진 만큼 대성하이텍은 해외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은 회사다." 최호형 대성하이텍 대표이사는 4일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지난 1995년 설립된 대성하이텍은 정밀 부품 사업을 기반으로 1997년부터 약 25년 동안 야마자키 마작, 마키노 등 글로벌 산업기계 메이커들에게 각종 정밀 부품을 제공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특히 대성하이텍은 지난 2014년 스위스턴 자동 선반 기업인 일본 노무라 VTC 인수를 통해 핵심 기술력 및 75년 전통의 브랜드 파워를 확보했다. 대성하이텍은 기존에 보유한 기술력과 스크레이핑, 일체형 베드 제작 기술 등 노무라 VTC의 독보적인 기술력의 시너지 효과로 초정밀 스마트 머시닝 기술력을 갖추게 됐다. 스위스턴 자동선반은 초정밀 부품 반복 생산이 가능하며 무인화가 가능한 고난이도 산업 장비다. 여기서 만들어지는 각종 제품들은 의료, 인플란트, IT, 전기차, 우주항공 등 다양한 산업에 납품된다. 또한 대성하이텍의 매출 성장 잠재력이 큰 사업 중 하나는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 및 모듈 가공 장비인 '컴팩트 머시닝 센터' 사업이다. 대성하이텍은 2018년 전기차 배터리 부품 가공에 특화된 생산성 높은 투헤드(TWO-HEAD) 컴팩트 머시닝 센터를 양산 판매에 성공했으며 이를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의 협력업체들에게 대량으로 공급하고 있다. 대성하이텍은 지난 2021년 매출 1027억원 영업이익 117억원을 기록하며 호실적을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매출도 전년 대비 약 33% 증가해 2022년 실적은 최고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성하이텍은 향후 첨단산업 분야에서의 신규사업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극대화하면서 성장을 지속할 계획이다. 전기차 모터 효율을 높이는 MSO-COIL, 노트북 및 폴더블 폰 힌지,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핀, 수소차의 핵심 부품인 수소차 샤프트, 해외 향 방산 부품 등 고부가가치 제품 라인업을 확보했으며 추후 본격적으로 양산할 예정이다. 최 대표는 "현재 대성하이텍은 2차전지 장비 핵심 부품 및 해외 향 방산 부품 등 관련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업 확대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로에 서 있다"며 "기술의 고도화,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고부가가치 첨단 시장 진출, 상장 후 높아진 대외 신인도 등을 통해 글로벌 초정밀 스마트 머시닝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성하이텍의 총 공모주식수는 332만주, 공모 희망가 밴드는 7400원~9000원이다. 이달 4일~5일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오는 9일부터 이틀간 일반 청약을 진행한다. 대표 주관사는 신한금융투자이다. 오는 22일 코스닥 시장 상장 예정이다.

2022-08-04 15:56:03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IPO간담회] 쏘카 "증시 한파에도 상장 철회 없다…진화 기회 잡을 것"

"증시를 비롯한 IPO 환경이 어렵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모빌리티 시장에서 한 단계 진화할 수 있는 기회를 빠르게 잡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시장이 좋아지기를 기다리기보다는 성장 동력으로 삼는다면 추후 주가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박재욱 쏘카 대표가 3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포부를 밝혔다. 올 들어 증시 침체와 더불어 기업공개(IPO) 시장에서도 조단위 '대어'가 잇달아 상장 철회에 나서는 가운데 쏘카의 이번 기업공개가 얼어붙은 시장 분위기를 타개하는 역할을 맡을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유니콘 특례상장 트랙'을 활용해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처음으로 입성하는 만큼 향후 상장을 앞둔 마켓컬리 등 후발주자들의 흥행 여부의 가늠자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지난 2011년 설립된 쏘카는 카셰어링 사업 및 전기자전거 공유, 플랫폼 주차 서비스 등을 비롯한 모빌리티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국내 카셰어링 시장에서는 79%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지난해 인수합병(M&A)을 통해 자전거 공유 플랫폼 '일레클', 주차 플랫폼 '모두의주차장' 등을 확보했다. 쏘카는 차량 공유 서비스뿐 아니라 이동 서비스 전체를 하나의 앱에서 이용할 수 있는 '슈퍼앱 전환'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난 5월부터 모바일 앱 화면 개편을 진행했으며, 하반기 자전거 공유, 온라인 주차장 플랫폼 연동을 연내로 마무리 짓는다는 계획이다. 박 대표는 "KTX 연계부터 전기자전거, 주차장 등 국내 여행의 모든 여정을 진행하면서 쏘카앱 하나로도 커버할 수 있도록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확보한 자회사와의 시너지를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번 공모자금을 통해 확보한 자금 절반 이상을 기존 쏘카 서비스와 시너지를 일으킬 서비스 M&A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박 대표는 "지난해 인수한 모두의 주차장, 일레클과 같이 슈퍼앱과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서비스 확보를 위해 60%의 공모자금을 활용할 계획"이라며 "구체적인 기업명은 밝힐 수 없지만, 롱리스트(후보자군)를 확보해둔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한 쏘카 기업가치가 고평가됐다는 지적에도 연내 흑자전환이 예상되는 만큼 우려를 털어낼 수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박 대표는 "법인세 제외 이전 영업이익률이 두 자릿수 마이너스인 해외기업 우버, 리프트, 디디추싱과는 달리, 쏘카는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유일하게 올해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라며 "오히려 피어그룹 대비 쏘카가 손해를 보는 멀티플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쏘카는 차량관리를 위해 활용하는 차량관제시스템(FMS) 서비스를 신규 매출원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연말 전까지 현대글로비스, 롯데로지스틱스 등 물류업체와의 사업 시작을 앞두면서 사업 다각화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이영석기자 ysl@metroseoul.co.kr

2022-08-03 15:24:52 이영석 기자
기사사진
[IPO간담회] 에이치와이티씨, "2차전지 장비 초정밀부품 선도 기업 도약"

"2차전지 품질과 직결되는 중요 요소인 초정밀부품 시장에서 에이치와이티씨는 오랜 노하우와 차별화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21일 여의도에서 열린 2차전지 장비 초정밀부품 제조기업 에이치와이티씨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에서 조동석 대표이사가 이같이 밝혔다. 2005년 설립된 에이치와이티씨는 2차전지 제조 장비의 초정밀부품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기업이다. 에이치와이티씨는 설립 초기 정밀 금형 사업에 집중해 기술 고도화를 이루고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2차전지 부품 생산을 시작했다. 현재는 2차전지 제조 공정 중 화성 공정을 제외한 극판 공정과 조립 공정에 사용되는 대부분 장비의 초정밀 부품을 생산 중이다. 에이치와이티씨가 제조하는 초정밀부품들은 대부분 소모품 영역에 해당해 2차전지 생산량 확대로 출하량이 급증하는 추세다. 초정밀부품 사용 증가로 제품 추가 발주 기간이 단축돼 발주량 증가로 이어지고 있어 장기적인 실적 증진이 기대된다. 에이치와이티씨는 지난해 매출은 357억4500만원, 영업이익은 73억5800만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57.7%, 71.74% 증가했다. 올해 1분기 매출은 95억6100만원, 영업이익은 20억4100만원으로 집계됐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국내외 2차전지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비 부품 수요도 급증하면서 품질과 생산 효율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미크론 단위 세밀한 공차 기술력이 2차전지 제품 품질을 좌우하기 때문에 해당 분야에서 초정밀 제조 기술 또한 조명되고 있다. 에이치와이티씨는 고품질 가공 기술을 바탕으로 생산 효율화를 이뤄 고객사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 중이다. 또한 에이치와이티씨는 급변하는 2차전지 시장에 대응하고자 주요 제조사와 공동으로 양·음극 전지의 탭 형상부와 측면부를 타발해 극판 전지를 만드는 정밀 프레스 금형인 노칭 금형 개발에 나섰다. 조 대표이사는 "글로벌 2차전지 시장의 고속 성장에 따라 선제적 기술 개발로 초정밀부품 업계를 선도할 것"이라며 "코스닥 상장을 통해 글로벌 공급 거점을 더욱 확고히 하고 고객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해 세계적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에이치와이티씨의 공모주식수는 226만주, 공모 희망가 밴드는 1만3000원~1만5000원이다. 이달 21일~22일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오는 28일부터 이틀간 일반 청약을 진행한다. 대표 주관사는 신영증권이며 인수회사로는 유진증권과 현대차증권이 참여한다. 8월 중 코스닥 시장 상장 예정이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2-07-21 15:39:02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IPO간담회] 2차전지 리사이클링 새빗켐, 코스닥 상장…"리사이클링 토탈 솔루션 기업될 것"

2차전지 리사이클링 전문기업 새빗켐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새빗켐은 20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장 후 성장 계획과 비전에 대해 밝혔다. 박민규 새빗켐 대표이사는 "이번 코스닥 상장을 계기로 전구체 복합액 사업역량 제고 및 탄산리튬, 건식 폐배터리 추가로 2차전지 순환경제 핵심기업으로 도약하겠다"며 "나아가 기술 고도화 기반의 해외진출로 세계시장에서 인정받는 리사이클링 토탈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을 가속화하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새빗켐은 30여년간 친환경 사업을 이어오면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산재활용 사업과 2차전지 폐배터리 재활용사업 등을 하고 있다. 특히 새빗켐이 보유한 재활용 정제기술인 다단침출기술이 95%에 달하는 높은 유가금속 회수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재활용 양극재에서 불순물을 제거한 후 니켈, 코발트, 망간 혼합액 형태로 제조하는 공정간소화를 통해 매출원가율을 업계평균보다 낮추는 등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다. 매출 성장세도 두드러진다. 새빗켐은 지난해 333억원의 매출액을 달성한 가운데 이중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이 70%, 폐산재활용 사업이 30%를 차지한다. 특히 폐배터리 사업 매출액은 지난 2020년 106억원 대비 1년새 115% 급증한 228억원을 달성했다. 최근 새빗켐의 3개년 연평균 매출액은 46%, 영업이익은 88%를 증가하는 등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박민규 새빗켐 대표이사는 "30여년 기업 경영에서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신제품 다변화 추진은 계속 사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사명과도 같았다"라며 "주력제품이 완성되면 또 다른 성장 먹거리를 찾았고, 이를 통해 완성한 게 지금의 새빗켐의 성장 스토리"라고 말했다. 이날 새빗켐은 코스닥 상장 계획과 더불어 중장기 성장전략도 발표했다. 먼저, 이번 상장 공모자금을 기반으로 제3공장설비 증설로 오는 2024년부터 향후 10년간 대규모로 공급될 전구체 복합액 물량 대응에 나선다. 이를 통해 현 6000톤 규모의 연간 생상능력을 2024년까지 3배 수준인 1만8000톤까지 확장에 나선다. 이 외에도 신사업인 탄산리튬, 건식 폐배터리,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사업 등을 추가한다. 탄산리튬의 경우 추출공정기술 개발 및 특허출원을 완료했으며, 오는 2023년부터 매출이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새빗켐의 총 공모주식수는 107만주, 공모 희망가 밴드는 2만5000~3만원이다. 오는 21일까지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오는 26일부터 이틀간 일반청약을 거친다. 대표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며, 8월에 코스닥 시장 상장 예정이다. /이영석기자 ysl@metroseoul.co.kr

2022-07-20 14:46:07 이영석 기자
기사사진
[IPO 간담회] 친환경 첨단 회로소재 기업 '아이씨에이치'…소부장 특례 상장

친환경 첨단 회로 소재 전문기업 아이씨에이치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술특례상장을 통해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다. 14일 아이씨에이치는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장 후 성장 계획과 비전에 대해 밝혔다. 지난 2012년 설립된 아이씨에이치는 기초소재, 복합소재, 첨단소재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친환경 필름형 박막 안테나(MFA·Metal Foil Antenna), 전자파 차폐 가스켓, IT 기기용 점착테이프 등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IT 기기에 내장되는 소재와 부품을 제조하고 있다. 이 중 아이씨에이치의 시그니처 제품인 필름형 박막 안테나(MFA)는 세계 최초로 독자 개발한 친환경 상온프레스 공정을 적용해 상용화에 성공한 제품이다. 필름형 박막 안테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웨어러블 기기 등 IT 기기에 내장돼 통화송수신,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GPS 등 각종 정보 송수신에 사용되는 핵심 회로소재다. IT 기기의 소형화, 다기능화에 따른 시장의 니즈를 충족하며 2020년 출시 이후 2년만인 지난해 단일 제품으로만 223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아이씨에이치의 '친환경 상온 프레스 패터닝 공정기술'은 기존 19단계의 플렉서블(flexible) 안테나 제조공정을 9단계로 간소화했다. 열을 가하지 않고 상온에서 오직 프레스 공법만으로 정교한 안테나 회로를 구현한다. 특히 환경 폐기물 발생과 물 소비를 제로화해 생산시간을 단축하고 원가 경쟁력을 확보했다. 일반 FPCB 공정에서는 1시간당 10.6톤의 물이 사용된다. 또 고온이 아닌 상온에서 프레스 공법만으로 가공해 필름층 소재 선택의 다양성을 제공하면서, 5G 네트워크, EV전장, 웨어러블 등의 시장으로 제품을 확장할 수 있는 압도적인 기술 확장성을 갖췄다. 이러한 독보적인 기술력에 기반해 아이씨에이치는 가파른 실적 성장세도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 384억원, 영업이익 95억원을 기록하며 약 25%의 높은 영업이익률을 달성했다. 특히 2018년부터 2021년까지 4개년 연평균 매출성장률(CAGR)은 38.4%를 기록해 가파른 외형성장과 질적성장을 동시에 확보했다. 아이씨에이치는 향후 원천기술과 친환경 공정을 통해 5G 기지국 안테나 등 네트워크 산업, 디스플레이 복합소재 등 디스플레이 산업, 배터리 소재 부품 등 자동차 전장 사업과 같이 플렉서블(Flexible) 회로소재가 사용되는 모든 산업분야로 확장해 성장할 계획이다. 김영훈 아이씨에이치 대표는 "소재·부품 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어 공정 단순화, 원가 경쟁력, 친환경 트렌드에 부합하는 방향으로의 혁신이 필요하다"며 "아이씨에이치는 이러한 요건을 두루 갖춘 기업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R&D) 및 사업다각화를 통해 ICT 첨단소재 및 글로벌 소재·부품의 트렌드를 선도함으로써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술특례상장 기술평가에 대한 결과물이 아이씨에이치 기술력에 대한 객관적인 증명"이라고 덧붙였다. 아이씨에이치의 총공모주식수는 118만주, 공모 희망가 밴드는 3만4000~4만4000원이다. 오는 7월 13~14일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19~ 20일 일반청약을 거친다. 대표 주관사는 삼성증권이며, 7월 내 코스닥 시장 상장 예정이다.

2022-07-14 15:51:39 박미경 기자
기사사진
[IPO간담회] 수산인더스트리, "세계 최고 발전 플랜트 기업 성장"

발전 플랜트 종합정비 솔루션 기업인 수산인더스트리가 다음 달 1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 수산인더스트리는 13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유가증권시장 상장 후 계획과 비전을 밝혔다. 지난 1983년 설립된 수산인더스트리는 주요 원자력, 화력, 신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발전 플랜트의 설비가동률 제고와 불시정지를 예방하는 발전 플랜트 종합정비 서비스 기업이다. 수산인더스트리는 전국 24개의 발전정비 사업소를 통해 경상장비, 계획예방정비, 설비운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난해 기준 사업부문별 매출 비중은 원자력 48.7%, 화력 31.1%, 신재생 10.8% 기타 9.4%이다. 자회사로는 발전 플랜트 계측정비 및 시공을 하는 '수산이앤에스',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영위하는 SH파워 등이 있다. 수산인더스트리의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은 2941억원, 영업이익은 531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1.5%, 54.1% 상승했다. 올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도 전년동기 대비 2.1%, 36.8% 상승한 670억원, 130억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수산인더스트리는 자사의 핵심 경쟁력으로 차별화된 기술력과 전문인력을 꼽았다. 수산인더스트리는 원자력부터 신재생에너지까지 모든 발전 영역에서 고른 정비 경험이 있으며 원전 정비산업 내 최다 정비적격 업체 자격을 보유했다. 또한 한전KPS를 제외하고 유일한 단독 정비적격 업체 자격을 보유했다. 임직원도 91%를 운전, 정비, 품질 전문인력으로 구성했다. 수산인더스트리는 자회사인 수산이앤에스가 보유한 소형모듈원자료(SMR)의 원천 기술을 활용해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SMR 개발과 수출이 가능한 국가는 극소수로 한정돼 있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면 수산인더스트리도 시장 확대에 따른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밖에도 수산인더스트리는 ▲해외원전, 복합발전, 신재생에너지 발전 플랜트 정비 및 운영 ▲노후 발전 플랜트 정비 프로젝트 확대 등을 통해 해외 사업 수주를 확대할 계획이다. 한봉섭 수산인더스트리 대표이사는 "당사는 공모자금을 국내외 에너지 관련 발전사업 지분 투자와 해외 시장 진출, 신규 사업 및 연구개발(R&D) 확대 등에 사용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전 세계 최고의 발전 플랜트 서비스 기업으로 지속 성장해 나가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수산인더스트리의 총 공모주식수는 571만5000주, 희망 공모가 밴드는 3만5000원~4만3100원이다. 오는 14~15일 수요예측을 실시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20~21일 일반청약을 받는다. 상장 대표주관사는 삼성증권, 인수회사로는 미래에셋증권이 참여한다. 다음달 1일 코스피 상장 예정이다.

2022-07-14 07:58:36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IPO 간담회] 에이프릴바이오 "독자적 신약 개발…글로벌 바이오텍 성장"

항체 치료제 개발 기업 에이프릴바이오가 기술특례 상장을 통해 7월 말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13일 에이프릴바이오는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공개(IPO)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장 후 성장 계획과 비전을 발표했다. 지난 2013년 설립된 에이프릴바이오는 약물의 반감기(약물의 농도가 정점에서 절반까지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를 늘리는 플랫폼기술 'SAFA(Anti-Serum Albumin Fab)'과 표적 항원에 맞는 항체를 발굴하는 '항체라이브러리(HuDVFab, Human naive Fab antibody library)' 기술을 활용해 자가면역질환, 염증질환, 암질환을 타깃으로 하는 단백질(항체) 치료제 개발 기업이다. 에이프릴바이오는 지속형 원천 기술인 SAFA 기술과 차별성 있는 항체 라이브러리 기술, 이 두가지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글로벌 경쟁력을 지닌 다양한 구조의 지속형 신약 후보 및 이중결합 항체를 제작하고 있다. 이 두 가지 플랫폼을 동시 보유한 바이오텍은 전 세계적으로 에이프릴바이오와 벨기에 바이오텍 아블링스(Ablynx) 두곳 뿐이며 국내에선 에이프릴바이오가 유일하다.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에이프릴바이오는 지난해 덴마크계 글로벌 제약사 룬드벡에 SAFA 플랫폼 기술 기반 파이프라인 APB-A1 기술이전에 성공했다. 약 5400억원 규모(로열티 제외)로 이는 국내 비상장 바이오텍 중에서 가장 큰 금액이며 계약금은 국내 바이오 기업 중 3위 수준이다. 현재 APB-A1은 미국 FDA 임상 1상 진행 중으로 이후 후속 적응증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연내 계약 체결을 목표로 염증질환 치료제 'APB-R3' 두번째 기술이전을 준비 중이다. 에이프릴바이오는 이번 상장으로 확보한 자금을 연구개발(R&D)에 투자해 신약후보들의 연구 속도를 높여 개발시간을 단축하는데 사용할 예정이다. 또한 글로벌 신약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우수 인력 유치에도 활용해 지속 성장의 기틀을 마련할 계획이다. 차상훈 에이프릴바이오 대표이사는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경쟁력을 지닌 항체 및 지속형 단백질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상장 후에도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회사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1년에 1개 내외의 신약후보를 기술이전 한다는 목표로 향후에는 독자적 신약 개발을 이뤄 글로벌 바이오텍으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에이프릴바이오의 총 공모주식수는 162만주, 희망 공모가 밴드는 2만~2만3000원이다. 7월 13~14일 수요예측을 실시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19~20일 일반청약을 받는다. 상장 주관사는 NH투자증권, 오는 28일 코스닥 시장 상장 예정이다.

2022-07-13 13:49:37 박미경 기자
기사사진
[IPO간담회] 루닛, 이달 코스닥 상장 "AI 통한 암 정복"

"이번 IPO를 통해 'AI를 통한 암 정복'을 목표로 의료환경에 새 역사를 쓰는 글로벌 의료 AI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이 목표다." 7일 여의도 63스퀘어에서 열린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에서 서범석 대표가 이 같이 밝혔다. 루닛은 지난 2013년 설립해 '인공지능으로 암을 정복한다'는 미션을 가진 AI 기반의 의료영상 진단 및 치료 플랫폼 개발 기업이다. 대표 제품은 암 진단을 위한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Lunit INSIGHT)'와 암 치료를 위한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Lunit SCOPE)'가 있다. 서 대표는 "의료 데이터가 복잡하다는 탓에 사람이 하나하나 분석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다"며 "이를 분석하는 AI기술은 '머스트 해브(Must-Have)'한 기술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루닛은 정밀한 데이터 분석에 최적화된 인공지능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이를 통해 많은 환자를 살릴 수 있는 경쟁력을 보유한 기업"이라고 설명했다. 루닛은 자사의 핵심 경쟁력으로 인공지능(AI) 기술력을 꼽았다. 루닛은 CB인사이트로부터 디지털헬스 150에 선정된 유일한 국내기업으로, 지난 2019년부터 작년까지 3년 연속 선정됐다. 또한 각종 세계 AI 대회에서 입상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으면서 보유하면서 국내외 투자사로부터 1600억원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이번에도 기술특례 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에서 모든 평가기관으로부터 AA등급을 획득하기도 했다. 사업영역에서 루닛은 GE헬스케어, 필립스, 후지필름과 같은 글로벌 메이저 의료기기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전 세계 600여 개 이상의 의료기관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7월 글로벌 액체생검 기업인 가던트헬스가 회사 설립 이후 최초로 루닛에 300억원을 투입해 지분 및 전략적 투자자(SI)로 참여하는 등 글로벌 파트너십을 넓히고 있다. 특히 글로벌 메이저 의료기기 기업과의 파트너십 효과가 이르면 올해부터 가시화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루닛 인사이트는 협력사의 장비에 탑재하는 방식으로 판매된다. 매출 확대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파트너십 이후에도 안정성 테스트 등을 위한 물리적인 시간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서 대표는 "2019년 후지필름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이후 2021년부터 그 성과가 가시화됐다"며 "GE헬스케어, 필립스 등 의료기기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이 본격 진행됨에 따라 향후 매출이 급성장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루닛은 2020년 하반기에는 GE헬스케어, 2021년 상반기에는 필립스와 아그파(AGFA)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루닛은 이번 상장을 통해 확보한 자금은 인공지능(AI) 제품의 연구개발(R&D) 및 인허가 과정에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을 가속화할 운영자금으로 사용해 지속 성장의 기틀을 마련할 예정이다. 루닛의 공모예정가는 4만4000~4만9000원으로 총 공모금액은 534억~595억원 규모다. 오는 8일까지 기관 수요예측, 12일부터 이틀간 청약 진행, 이달 중 코스닥 시장 상장 예정이다. 대표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 맡았다.

2022-07-07 14:21:35 이영석 기자
기사사진
[IPO 간담회] 성일하이텍, 글로벌 톱티어 2차전지 리사이클링 기업

유니콘 특례 상장을 추진 중인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선도 기업 성일하이텍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7일 성일하이텍은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코스닥 상장 후 사업 계획과 비전에 대해 밝혔다. 지난 2000년 설립된 성일하이텍은 전기차, 휴대폰, 노트북, 에너지저장장치(ESS), 전동공구 등 제품에 포함된 이차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을 추출하는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전문기업이다. 해당 산업에서 대량 생산에 성공한 유일한 기업으로 경쟁사 대비 7배의 업계 최고 생산능력(CAPA)을 보유하고 있다. 성일하이텍은 리사이클링파크에서 이차전지를 수집해 전처리하고, 하이드로센터에서 이차전지 소재를 생산하는 국내 유일의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일괄 공정을 보유했다. 습식 제련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최고 품질의 제품을 국내 최대 규모로 생산 중이다. 지난해 제품별 매출 비중은 코발트 49%, 니켈 39%, 리튬 6%, 구리 4%, 망간 1%, 기타 1%다. 회사는 현재까지 8개의 리사이클링파크를 건설해 안정적인 원료 수급망을 구축했다. 특히 헝가리 제2리사이클링파크는 유럽 최대 규모의 배터리팩 해체 및 전처리 공장으로 연간 5만 톤의 스크랩(Scrap) 처리와 약 2만대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이 가능하다. 성일하이텍은 오는 2030년까지 30개의 리사이클링파크를 확보해 지난해 11GWh(기가와트시)였던 생산용량을 77GWh까지 7배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이드로센터 신공장 건설을 통한 글로벌 최고 수준의 생산능력도 확보할 예정이다. 공모 자금을 하이드로센터 3공장 신축에 투자하며, 오는 2030년까지 총 5개의 하이드로센터를 구축해 전기차 100만대에 공급이 가능한 규모의 이차전지 소재 생산능력을 보유할 계획이다. 성일하이텍은 탄력적인 원료 수급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속적인 글로벌 거점을 구축해 대규모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또 전 세계 주요 완성차 그룹, 배터리 제조사, 소재회사들과의 견고한 네트워크를 형성해 안정적인 공급망(Supply chain)도 확보했다. 이러한 성과들을 바탕으로 회사의 연결기준 매출액은 지난 2020년 659억 원에서 지난해 123% 늘어난 1472억 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올해 1분기에도 연결기준 매출액 515억원, 영업이익 10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62%, 153% 대폭 증가했다. 이강명 성일하이텍 대표이사는 "성일하이텍은 고성장 중인 전기차 시장에 발맞춰 글로벌 친환경 기술 리더십 강화, 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술 고도화, 배터리 리사이클링 소재 생산 규모 대폭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번 코스닥 시장 상장을 기반으로 글로벌 톱-티어(Top-tier)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전문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성일하이텍의 총 공모주식수는 267만주, 희망 공모가 밴드는 4만700~4만7500원이다. 오는 7월 11~12일 수요예측을 실시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18~19일 일반청약을 받는다. 상장 대표 주관사는 KB증권, 대신증권이며, 이수회사로 삼성증권이 참여한다. 7월 말 코스닥 시장 상장 예정이다.

2022-07-07 14:20:57 박미경 기자
기사사진
[IPO간담회] 솔트웨어, 8월 코스닥 상장…"클라우드·스마트팜 경쟁력"

클라우드 서비스 전문기업 솔트웨어가 코스닥 시장에 스팩 합병 상장한다. 30일 솔트웨어는 여의도 루나미엘레에서 IPO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정근 솔트웨어 대표이사, 이성희 상무 등은 이날 간담회에 참석해 상장에 따른 전략과 비전을 밝혔다. 솔트웨어의 '핏클라우드(FitCloud)' 브랜드로 대표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기업의 IT 고민을 원스톱으로 해결해주는 서비스 플랫폼이다. 클라우드 구축 수익 및 운용·보수 수익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갖고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 IBM 등 글로벌 클라우드 제공업체와의 장기적 파트너십에 기반해 각 고객사의 개별 맞춤식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돕고 운용과 유지 및 관리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클라우드 산업 내 트렌드로 떠오르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선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불특정 다수에게 컴퓨팅 자원을 빌려주는 서비스)와 프라이빗 클라우드(기업 내부에 서버와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서비스) 복합한 형태다. 특히 향후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면서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인력 확보 등 경쟁력 확보에 적극적으로 임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성희 상무는 "클라우드 분야는 트렌드가 계속해서 변하고 있으며, 두 가지 형태를 융합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가 대세로 떠오를 것으로 판단했다"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SMB(Small Medium Business) 시장 공략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솔트웨어의 기존 고객군이 ▲게임 ▲금융 ▲미디어 ▲IT ▲커머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맞춤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해온 만큼 SMB 시장 선점에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또한 SMB 산업별 전담 조직을 운영해 기업의 비용절감 니즈에 특화된 원스톱 서비스를 지원하는 체계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 향후 헬스케어, 에듀테크 분야까지 고객군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솔트웨어는 기존 클라우드 사업에서 나아가 스마트팜 영역까지도 진출 목표를 제시했다. 이미 지난 2010년부터 서울시의 도시 식물재배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등 스마트팜 원천기술에 대한 특허권과 노하우를 확보한 상황이다. 또한 2019년에는 카타르 시범사업에 성공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바탕으로 중동 국가에 설비와 솔루션 판매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농가에서도 비닐하우스에 장착해 PC나 스마트폰으로 관리가능한 'DIY형 스마트팜 기기' 출시를 앞두고 있다. 올해 안으로 센서와 구동기 컨트롤러를 추가하는 한편, 내년 중에는 환기팬, 냉난방기, 양액기 등 제어장치 라인업을 추가할 예정이다. 이성희 상무는 "성장 잠재력이 아직 큰 클라우드 시장 속에서 탄탄한 기반을 다져온 만큼, 상장 후 스마트팜 기술까지 아우르는 회사가 되고자 한다"고 전했다. 솔트웨어와 미래에셋대우스팩3호의 합병 비율은1대 20.5605이며, 합병 기일은 오는 8월3일이다. 이후 22일 코스닥 시장에 합병 신주를 상장할 예정이다. /이영석기자 ysl@metroseoul.co.kr

2022-06-30 14:56:59 이영석 기자
기사사진
[IPO간담회] 에이치피에스피, "반도체 전(前)공정 독보기술력 보유"

반도체 고압 어닐링 공정기술 선도기업 '에이치피에스피'가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27일 에이치피에스피는 온라인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열고 회사 소개와 상장 후 성장 전략에 대해 밝혔다. 지난 2017년 설립된 에이치피에스피는 반도체 분야 고압 수소 어닐링 장비 제조 기업이다. 회사가 개발한 고압 수소 어닐링 소자 내 접합부의 결함을 줄여 소자 특성 및 성능을 높이는 것으로, 공정 미세화가 요구되는 반도체 공정의 기술개발 흐름에 따라 향후 수요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에이치피에스피의 핵심 경쟁력은 기술력이다. 최근들어 첨단 반도체의 공정미세화에 따라 높은 유전율을 보이는 대신 고온의 열처리 과정에서 불량 발생률이 높은 고유전율(High-K) 절연막 채택이 늘고 있다. 최선단 공정 반도체의 경우 낮은 열 노출량(Thermal Budget)이 요구되므로 기존의 경쟁 장비들의 고온·저압 공정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대두됐다. 이 과정에서 어닐링 공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반도체 집적 회로의 구동전류 감소, 회로동작 속도 감소, 전자 이동 감소 등의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에이치피에스피는 고압·고농도의 수소(H2),중수소(D2)를 사용해 저온 공정을 가능하게 하는 고압 어닐링 기술 개발을 선제적으로 완료했다. 에이치피에스피의 고압 어닐링 공정은 반도체 소자 구조 상 각 계면의 결함을 고압의 수소·중수소를 사용해 치유하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반도체 트랜지스터 구동전류 및 집적회로 성능을 향상시킨다. 에이치피에스피가 최초 개발해 양산 검증을 완료한 고압 수소 어닐링 장비 'GENI Series'는 28/32nm이하 최선단 공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3nm 이후 공정까지 적용할 수 있다. 에이치피에스피는 상장 후에도 기술 격차를 확대하기 위해 기존 고압 어닐링 기술 개선에 적극 투자할 계획이다. 이미 고객사의 기술적 요구사항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내 부설 연구소, 미국 연구·개발(R&D) 센터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한 세계 최대 반도체 연구소인 IMEC와 전략적 연구개발 협력을 강화해 자사의 GENI System을 통한 연구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김용운 에이치피에스피 대표이사는 "에이치피에스피는 세계 최초로 고압 수소 어닐링(Annealing) 장비를 개발하는 등 반도체 전(前)공정 분야의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했다"며 "반도체 분야 글로벌 톱티어(Top-Tier) 고객사로부터 다년간 검증받은 기술 차별성과 안전성을 기반으로 첨단기술 개발에 대한 신규투자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지위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에이치피에스피는 향후 ▲어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중앙처리장치(CPU) 등의 로직 및 파운드리 반도체 분야와 더불어 ▲디램(DRAM), 낸드(NAND) 등의 메모리 반도체 분야 ▲전기차와 모바일기기 등 초고해상도 카메라에 사용되는 CIS(CMOS Image Sensor)의 특수 시스템 반도체 분야로 전방 산업 시장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에이치피에스피의 상장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총 공모주식수는 300만주, 주당 공모 희망가는 2만3000원∼2만5000원이다. 오는 29일∼30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거친 뒤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다음달 6일∼7일 일반 청약을 받은 뒤 7월 중 코스닥 시장에 상장 예정이다.

2022-06-27 13:24:24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IPO간담회] 영창케미칼, "토털 화학솔루션 기업 도약"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초정밀 산업용 화학소재 전문기업 영창케미칼이 다음달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영창케미칼은 23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열고 회사의 코스닥 시장 상장에 따른 전략과 비전을 밝혔다. 지난 2001년 설립된 영창케미칼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친환경에너지 산업에 공급하는 화학소재 개발 및 생산 전문 기업이다. 본사 및 공장 소재지는 경상북도 성주다. 국내 반도체 제조 분야 국산화 1세대 기업으로 꼽히며, 특히 반도체 산업용 소재 포토레지스트를 양산해 수입 대체에 성공하면서 지난 2019년 시장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승훈 영창케미칼 대표이사는 "코스닥 상장을 통해 기술 고도화, 생산능력 확대 등에 주력해 기업가치와 경쟁력을 극대화하겠다"며 "4차산업의 핵심 분야인 반도체, 디스플레이, 친환경에너지 산업을 선도하는 세계적인 토털 화학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주요 제품은 포토레지스트(감광액), 유기 하드 마스크, 슬러리, 린싱 솔루션, 디벨로퍼 등이며 최근 'EUV 노광 공정용 린스' 시제품 개발을 마치고 오는 하반기 중 양산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영창케미칼은 20년 업력의 높은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화학소재 생산뿐 아니라 신소재 개발을 위해 연구개발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시제품 개발까지 마친 뒤 양산을 준비 중인 'EUV(극자외선) 노광 공정용 린스'는 반도체 공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패턴 쓰러짐 방지, 결함 제거 등에서 개선 효과가 있어 공정 마진 폭 확대에 중요한 소재로 여겨진다. 이 대표는 "전 세계적으로 자율주행 차량, 6G, 인공지능(AI) 등 반도체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며 "제품 성능 개선 및 고객사 다변화를 통한 시장점유 확대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영창케미칼은 선제적 연구개발 및 신제품 개발 등으로 경쟁력 강화 전략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이번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 역시 생산설비, 시설확충, 연구개발 등에 활용한다. 또한 영창케미칼은 올해를 해외 본격 진출의 원년으로 삼아 해외 시장 진출 가속화에 나설 예정이다. 현재 미국과 싱가포르에 현지 영업사무소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기존 고객사의 해외 생산라인 공급을 확대하고 해외 신규 고객사를 추가로 확보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늘린다는 전략이다. 현재 국내외 매출비중은 지난해 기준 국내와 해외가 각각 72%, 28%다. 영창케미칼의 상장주관사는 하나금융투자다. 총 공모주식수는 240만주, 공모 희망가 밴드는 1만5000원~1만8600원이다. 오는 27~28일 수요예측을 거친 뒤 30일 최종 공모가를 확정한다. 이어 다음달 4~5일 일반청약을 받은 뒤 다음달 중순 코스닥시장에 상장 예정이다.

2022-06-23 15:42:36 이영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