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억원 투자받은 네이버 '제페토'는?…아바타 제작 서비스로 1020 세대에 인기
제페토에서 아바타를 생성하는 과정. /구서윤 기자 네이버제트가 빅히트엔터테인먼트와 YG엔터테인먼트로부터 투자 받게 되면서 증강현실(AR) 아바타 서비스에서 엔터테인먼트 영역을 확장하게 됐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제트는 최근 빅히트와 YG로부터 12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공시했다. 빅히트가 약 70억원, YG 투자 계열사 YG인베스트먼트와 YG 광고계열사 YG플러스가 약 50억원을 투자했다. 3개사는 이번 투자를 통해 각 사가 보유한 글로벌 지식재산권(IP)과 글로벌 AR 아바타 서비스 제페토 간의 긴밀하고 폭넓은 협업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가치를 키울 계획이다. 제페토는 지난 2018년 네이버 자회사 스노우가 출시한 아바타 제작 플랫폼으로, 올해 5월 독립 법인 네이버제트로 분사했다. 분사 이후 네이버제트는 나이키, 디즈니 같은 글로벌 IP사업자들과 지속적으로 협업을 확대했으며, 그 결과 지난 8월 기준 글로벌 가입자가 1억8000만 명을 돌파했다. 사용자들이 제페토 내에서 다양한 IP를 활용해 제작한 2차 콘텐츠도 9억 건을 넘는다. 제페토를 통해 이용자는 피부, 머리, 액세서리, 얼굴 형태 등을 자유롭게 조합한 자신만의 아바타를 생성해 다양한 영상을 만들어 공유할 수 있다. 단순한 가상환경 기반의 아바타 서비스를 넘어 다양한 표정과 동작이 가능해 전 세계 Z세대 사이에서 하나의 소셜 장르로 자리 잡아가는 모습이다. 제페토 아바타로 재탄생한 블랙핑크. /네이버 특히 제페토는 AR 아바타를 통해 새로운 팬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지난 6월 제페토는 걸그룹 블랙핑크와의 협업을 통해 버추얼 의상을 선보였다. 블랙핑크 전원의 개성 넘치는 3D 아바타를 만날 수 있고, 팬들은 제페토 내에서 아바타화된 블랙핑크 멤버들과 사진을 찍거나 다양한 액티비티를 즐길 수도 있다. 제페토는 코로나19로 대면 만남이 어려워진 상황을 고려해 가상의 팬사인회를 열기도 했다. 이용자 개인의 아바타와 블랙핑크의 아바타가 함께 가상으로 셀카를 찍고 사인을 받는 새로운 형태의 나만의 한정판 버추얼 사인으로, 총 36가지 종류의 사인을 획득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실제로 만나기 더욱 힘들어진 스타들을 아바타를 통해 만나고, 새로운 추억을 만들 수 있는 혁신적인 경험을 제공한 것에 의미가 있다. 제페토 내에 구현된 버추얼 미술관. /네이버 올해 7월에는 르네상스 시대를 풍미한 대가들의 명화들을 가상으로 재현한 '버추얼 미술관'을 오픈하기도 했다. 2개 층에 7개의 전시실로 구성된 제페토 버츄얼 미술관에서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등 르네상스 시대에 역사적인 작품들을 남긴 대가 17명의 회화와 조각상 등 작품 69점을 제공한다. 오픈 6일 만에 15만명이 방문했다. 제페토는 버추얼 미술관 월드 개설을 계기로 뉴욕 현대미술관, 루브르 등과 같은 국내외 주요 미술관들과도 협업을 논의해 콘텐츠를 제공할 계획이다. 지난 3월 출시한 자체 크리에이터 플랫폼 '제페토 스튜디오'도 인기다.제페토 스튜디오는 제페토가 구현하는 가상현실 내에서 착용 가능한 의상 등 다양한 아이템을 직접 제작하고 판매까지 할 수 있는 창작자 플랫폼이다. 글로벌 1020세대 사용자가 주축인 만큼, 자신만의 독창적인 패션 아이템을 만드는 걸 넘어 직접 판매까지 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실제 제페토 스튜디오는 오픈 한 달 만에 8억원 이상의 매출이 발생하며 창작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다. 참여한 크리에이터 숫자만 6만여 명을 넘어섰으며, 이들이 직접 판매 등록한 아이템만 약 2만여 종 이상이다. 월 300만 원의 이상의 순수익을 올린 창작자가 나타나기도 했다. 앞으로 게임, 오디오, 애니메이션 등에 이르기까지 제페토만의 새로운 가상 현실에서 소비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콘텐츠를 사용자가 직접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대욱 네이버제트 대표는 "사용자들이 제페토 내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IP들을 활용한 2차 창작활동에 매우 적극적인만큼, 양사와의 시너지가 매우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IP 사업자들과의 네트워크를 더욱 확대해가며 제페토만의 무한한 가상세계를 더욱 풍성하게 채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구서윤기자 yuni2514@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