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소비 꺾는다?…상반기 한파·폭염에 소비증가율 0.18%p↓
올해 1분기 한파와 여름철 폭염이 연간 민간 소비 증가율을 0.18%포인트(p) 낮추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다만, 예년보다 적은 강수일수가 소비를 약 0.09%p 끌어 올리면서, 기상 여건 전반이 민간 소비 증가율에 미친 순영향은 마이너스(-)0.09%p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은 29일 'BoK 이슈노트 : 고빈도 데이터를 통해 본, 날씨 및 요일의 소비 성향'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조병수 한은 조사국 조사총괄팀 차장과 장수정 조사역이 공동 집필했다. 보고서 검토 배경으로 일별 카드 사용액이 날씨와 요일에 따라 크게 변동되는 현상이 지목됐다. 기상악화때 대면 활동이 제약되면서 소비 지출에 영향을 주고, 요일별 소비 패턴에도 차이를 야기한다는 분석이다. 연구 결과, 폭염·한파·강수 발생 시 대면 소비 전반에서 카드 사용액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평상 기후에 비해 폭염 발생 시 7%, 한파 발생 시 3%, 강수 발생 시 6% 각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도 쇼핑보다 외식·대중교통 등을 중심으로 한 대면 서비스 감소폭이 더 확대됐다. 폭염·한파·강수 발생 시 대면 서비스 카드 사용액은 각각 5%, 6%, 9% 감소한 반면, 백화점·마트 등 오프라인 쇼핑의 경우 1%, 3%, 6%씩 줄어드는 데 그쳤다. 특히, 대면 서비스에서는 폭염·한파보다 강수 발생 시 카드 사용액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파악됐다. 한은 연구진은 "폭염과 한파의 경우 피서·휴가, 냉·난방 기기 및 관련 용품 구매 등 계절적인 수요 증가가 기상악화로 제약된 소비활동을 일부 상쇄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요일별로 살펴보면, 금요일에 총 카드 사용액이 가장 많았다. 실제 지난해 인구총조사 일반 가구 수 기준, 가구당 일평균 전체 카드 사용액은 월요일에서 목요일이 14만4000원, 금요일이 15만1000원, 토요일이 11만6000원, 일요일이 9만2000원선인 것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금요일에 전자상거래, 자동차·의료·교육 분야에서 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단, 주말에는 쇼핑·외식 등 대면 소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날씨와 요일의 교차효과도 관측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금요일 또는 토요일에 비가 오는 경우, 전반적인 대면 소비를 중심으로 카드 사용액 감소폭이 더 확대됐다. 특히, 평상기후 대비 8% 감소폭을 보였으며, 업종별로는 오프라인 쇼핑이 8%, 외식 등 대면서비스가 11% 줄어들어 다른 요일에 비해 감소폭이 컸다. 억눌렀던 수요가 급속히 살아나는 펜트업 효과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우천 시 미뤘던 계획 소비가 날씨 개선 이후 평소보다 늘어난 것이다. 한은 연구진은 토요일에 비가 내린 뒤 일요일에 맑아진 경우 주말 내내 맑았던 경우보다 일요일 카드 사용액이 더 많았다고 분석했다. 한은 연구진은 "앞으로도 이상기후, 근로시간·근무형태 변화 등으로 소비패턴의 변동성이 확대·상시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고빈도 지표를 활용한 가계소비 행태의 면밀한 분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