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월째 수출 마이너스… 감소폭은 최저
우리나라 수출이 12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다만, 수출 감소폭이 이 기간 중 최저치를 기록하며 수출 플러스 전환이 머지 않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9월 수출은 전년 대비 4.4% 감소한 546억6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수출은 작년 10월 이후 줄곳 마이너스지만, 지난달 수출 감소율을 가장 낮았고, 2개월 연속 한 자릿수 감소율을 이어갔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26억달러로 작년 10월 이후 최고를 보이며, 작년 9월(26.6억달러)과 매우 근접한 수치를 보였다. 우리나라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작년 10월 이후 최고 실적인 99억달러를 기록, 1분기 저점 이후 수출 회복 흐름을 이어나갔다. 자동차는 15개월 연속 수출이 증가했다. 지난달엔 10% 상승하며 역대 9월 중 1위다. 또 일반기계(+10%), 선박(+15%), 철강(+7%), 디스플레이(+4%), 가전(+8%) 등 6개 주력 품목 수출도 전년대비 증가했다. 석유제품(-7%), 석유화학(-6%) 등의 수출도 감소했으나 수출 감소율은 한 자릿수를 기록하며 두 자릿수 감소율을 보인 전월(8월) 대비 크게 개선됐다. 지역별로 보면, 대 중국 수출은 올해 최고 실적인 110억달러를 기록, 2개월 연속 100억달러 이상을 기록했고, 대 중국 무역수지(-1억달러)도 대폭 개선되며 올해 3월 이후 6개월 연속 개선흐름을 이어갔다. 대 미국(+9%)·유럽연합(EU, +7%) 수출은 자동차·일반기계의 양호한 수출실적을 바탕으로 역대 9월 실적 중 1위를 기록하며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나갔다. 올해 들어 두 자릿수 감소율을 보였던 대아세안 수출은 일반기계·석유화학·철강 등 주요 품목 수출 증가에 따라 감소율이 한 자릿수(-8%)로 개선됐다. 특히, 아세안 수출의 52%를 차지하는 베트남의 경우 2개월 연소 수출 플러스(+3%)를 이어나갔다. 9월 수입은 원유(-16%), 가스(-63%), 석탄(-37%) 등 에너지 수입이 36% 감소한 영향으로 전년동월 대비 16.5% 감소한 509억6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에너지 외에도 반도체, 반도체 장비 등 수입도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에 따라 지난달 무역수지는 37억달러 흑자다. 이는 최근 2년 내 최대 흑자규모로, 지난 6월 이후 4개월 연속 흑자흐름을 이어나갔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우리 수출이 세계적 고금리 기조, 중국의 경기둔화, 공급망 재편 등 여전히 녹록지 않은 대외 여건 속에서도 개선흐름을 이어나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방 장관은 특히 가장 낮은 수출 감소율 등을 언급하며 "우리 수출이 플러스 전환의 변곡점에 위치하고 있다"며 "수출 반등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수출 유관부처 등과 함께 모든 역량을 결집해 총력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민관합동 수출확대 대책회의를 본격 가동해 즉각적인 수출확대 효과가 기대되는 단기 수출확대 프로젝트를 10월 초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