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획코너 > 株라큘라 추천종목
기사사진
[株라큘라 추천종목]네패스, AI 기반 '뉴로모픽칩' 상용화 성공

"애플의 10주년 기념작인 '아이폰X(텐)'의 중앙처리장치(APU)에 내장형 인공지능(AI)칩으로 불리는 신경망처리장치(NPU)가 탑재됐다. 머신러닝이 가능한 AI칩이 스마트폰에 적용되면서 내년 봄 출시 예정인 갤럭시S9에도 AI칩이 장착될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9월 네패스는 신성장 동력으로 사람의 뇌 신경 기능을 모방한 반도체인 뉴로모픽칩 'NM500'을 개발해 국내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했다. 이에 최성환 리서치알음 수석연구원은 아이폰X의 내장형 AI 탑재를 기점으로 네패스의 뉴로모픽칩 'NM500'이 급부상할 것이라며 이같이 분석했다. 최 연구원은 "NM500이 스마트폰 AP에 탑재되면 머신러닝(기계학습)을 통해 영상, 이미지, 음성인식 등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면서 "이번에 아이폰X가 새로게 선보인 안면인식 보안솔루션 '페이스ID'와 '슈퍼슬로우모션' 동영상 등은 NPU 탑재를 통해 가능해진 신기능"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자율주행 자동차, 무인기, 지능형 로봇, 스마트팩토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NM500의 파일럿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상용화 이후 실질적인 적용까지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네패스의 AI 관련 신사업 기대감이 커지는 상황에서 주력 사업부인 반도체 부문의 실적 성장세는 가속화되고 있다. 네패스는 지난 3분기 매출 732억원, 영업이익 73억원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13.1%, 170.4% 성장했다. 최 연구원은 "네패스의 주력 사업인 반도체 부문의 영업이익률이 지난 3분기 12.5%에 달한데 이어 2013년 4분기 이후 4년여만에 두 자릿수 이익률을 회복했다"면서"이런 추세는 4분기에도 지속돼 올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46억, 75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2.5%, 782.4% 급증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는 "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등 신성장 동력에 필요한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며 "전방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팬아웃-레벨패키징(FO-WLP), 패널레벨패키징(PLP) 등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양산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네패스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예상했다. 리서치알음은 주력 사업의 성장과 신사업의 실적 기여로 2018년 네패스는 매출 3417억원, 영업이익 320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각각 18.2%, 31.1%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7-11-26 14:04:31 손엄지 기자
기사사진
[株라큘라 추천종목]제이씨현시스템, '배틀그라운드' 흥행의 최대 수혜주

-배틀그라운드 출시로 PC방 업계, PC 업그레이드 진행 중 -고사양 게임 출시가 몰고 온 파급효과로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 시장 최대 3300억 추산 대표적인 고사양 PC 게임인 '배틀그라운드'가 지난 14일 국내에서 정식 출시된 이후 10개월간 PC방 게임 순위 1위를 지키던 리그오브레전드(LOL)가 2위로 밀려났다. 배틀그라운드의 흥행몰이는 PC방 업계의 그래픽카드 교체 등 PC 업그레이드 열풍으로 이어지고 있다. 독립리서치 '리서치알음'은 19일 "PC 업그레이드 수요 폭증으로 해외 유명 그래픽카드의 국내 유통 총판 업체인 제이씨현시스템의 수혜가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리서치알음에 따르면 국내 PC방 개수는 현재 1만1000여곳으로 배틀그라운드가 가능한 그래픽카드로의 교체 수요는 110만대 가량이다. 최성환 리서치알음 수석연구원은 “(중급 그래픽카드인 엔비디아 GTX1060을 기준으로) 전체 PC방의 교체 수요를 채운다고 하면 약 3300억원 규모의 시장이 창출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외 유명 브랜드인 기가바이트(GIGABYTE), 애즈락(ASRock), 파워컬러(PowerColor)의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국내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제이씨현시스템의 시장점유율이 30%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1000억원 이상의 신규 매출 발생이 가능하다는 게 최 연구원의 분석이다. 최 연구원은 "대다수의 PC방은 배틀그라운드 고객 유치를 위해 몇 달 전부터 PC 업그레이드를 진행해 왔지만 아직까지 배틀그라운드가 가능한 PC는 전체 PC방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고 있다"면서 "고사양 PC 게임 뿐만 아니라 리니지M 등 모바일 게임을 PC 앱플레이어로 즐기는 사용자 증가도 이어지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PC 업그레이드 수요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특히 최근에 창업하는 PC방의 경우 대당 100만원 수준의 그래픽카드를 탑재해 홍보 경쟁에 나서고 있다"면서 "고가의 그래픽카드 판매량 증가는 유통업체의 마진율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판단했다. PC 교체 수요의 증가는 제이씨현시스템의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리서치알음은 4분기 제이씨현시스템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875억원, 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6.8%, 97.0%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연간 기준으로는 매출 2935억원, 영업이익 186억원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54.6%, 141.6%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최 연구원은 "올해 예상 실적을 기반으로 추정한 제이씨현시스템의 적정주가 수준은 1만1200원으로 현재 주가와 비교해 65% 가량의 상승 여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2017-11-19 11:40:37 손엄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