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획코너 > 핀테크 춘추전국
[핀테크 춘추전국③] 카카오뱅크, 신용평가모델 ‘카카오스코어’ 등으로 차별화 나서

인터넷전문은행 본인가를 앞두고 은행도 본격적으로 핀테크 시장에 발을 들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11월 국내 최초로 인터넷전문은행 예비 인가를 받은 카카오뱅크에 대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인터넷전문은행이란 오프라인 점포 없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금융거래 하는 온라인 은행을 말한다. 지점 없이 온라인으로만 운영되기 때문에 점포운영 비용, 각종 수수료 등을 덜어낼 수 있어 대출이자 인하상품을 개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넷마블, 로엔(멜론), 서울보증보험, 우정사업본부, 이베이코리아(지마켓, 옥션), 예스24, 카카오, 코나아이, KB국민은행, 텐센트, 한국투자금융지주 등 총 11개 사가 공동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외부평가위원회 심사와 금융위원회 의결을 거쳐 국내 최초로 인터넷 전문은행 예비인가를 획득한 카카오뱅크는 '한국카카오은행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올해 본인가를 받을 예정이다. 카카오뱅크는 혁신성과 안전성을 동반한 모바일뱅크의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공동 발기인의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한 '카카오스코어' 신용평가 모델 ▲카카오 유니버설 포인트를 통한 맞춤형 금리제도 ▲24시간 동안 고객 문의에 답하는 '금융봇' 등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시했다. 또한 기존 PG/VAN 사업자 역할을 앱투앱 결제와 카카오톡 기반 송금 서비스 등으로 대체함으로써 수수료를 낮출 계획이다. 카카오뱅크는 이 밖에도 고객과 가맹점, 고객과 고객을 직접 연결해주고 오픈 아키텍쳐를 통해 고객과 다양한 핀테크 기업들을 연결해주는 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2016-02-10 10:50:16 채신화 기자
[핀테크 춘추전국②] '대출을 투자처럼' 어니스트펀드, P2P대출 인기

은행 등 기관 등을 거치지 않는 P2P 대출이 인기를 끌고 있다. 빅데이터 기반 신용평가를 통해 개인 투자자가 개인 대출자에게 투자 형식으로 돈을 빌려주는 금융서비스다. P2P 금융 플랫폼 어니스트펀드(대표 서상훈)는 자금이 필요한 대출자와 자금을 운영하고자 하는 투자자를 온라인 IT플랫폼을 통해 직접 연결해준다. 대출자는 연 4.9~15.5%의 중저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으며 투자자는 연 10% 수준으로 비교적 위험성이 적은 투자상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P2P 금융 신규 대출 규모는 2013년 36억4000만원, 2014년 57억8000만원, 지난해 상반기에만 52억 6000만원을 기록하는 등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어니스트펀드는 2015년 6월 베타 서비스를 선보이며 P2P 대출 시장에 진입했다. 투자자에게는 고수익을, 대출자에게는 합리적인 자금조달을 제공하는 상생 모델을 내놓은 것. 어니스트펀드는 성균관대 연구팀과의 산학 협력을 통해 개발한 심리분석기반 신용평가모형(PSS)을 적용 예정이며, 채무자의 상환 능력 및 의지를 금융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측정함으로써 투자자의 원금 손실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장치를 마련했다. 어니스트펀드는 지난해 옐로금융그룹, 세틀뱅크, 신현성 티켓몬스터 대표 등으로부터 22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해 화제를 모았으며, P2P 업계에서 처음으로 제1금융권인 신한은행으로부터 10억원을 투자 받아 제1금융권과 핀테크 스타트업의 상생 협력 모델을 구축하기도 했다.

2016-02-09 07:30:14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핀테크 춘추전국①] 두나무투자일임, 모바일 자산관리…소액 투자자 ‘눈길’

지난해 말 비대면 실명인증제가 허용되면서 은행권의 핀테크 전쟁이 한창이다. 은행들이 각종 신기능을 접목한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고 있는 가운데, 핀테크 업체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스마트금융거래를 비롯해 생체인증 기술 등 은행 서비스의 중심엔 핀테크 기업이 있기 때문. 그중에서도 정보기술(IT)업체 두나무투자일임(대표 배성우)은 카카오의 투자를 받아 출시 직후부터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두나무투자일임은 증권앱 '증권플러스'를 출시해 2년 만에 다운로드 건수 100만건 이상의 기록을 세웠다. 두나무투자일임은 '증권플러스' 앱 인기를 자산관리 시장으로 넓히기 위해 지난해 6월 법인을 만들고 이후 지난해 11월 투자일임업을 등록했다. 최근에는 삼성증권과 함께 모바일 자산관리 플랫폼인 '맵(MAP:Managed Account by Professional)'을 출시하며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에 뛰어들었다. MAP은 Managed Account by Professional의 약자로 포트폴리오 설계부터 실행까지 맞춤형 자산관리를 원스톱으로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자산관리 서비스다. 두나무투자일임은 투자자문사 온라인 통합 플랫폼을 만들어 소액 투자자를 끌어들인다는 전략을 갖고 있다. 기존 투자자문 가입액이 최소 1억~3억 원이었던 것에 비해 이 서비스는 최소 가입액을 500만원으로 설정해 문턱을 크게 낮췄다. 이에 따라 개인 투자자는 소액으로도 마음에 드는 투자자문사를 선택해 자산관리를 맡길 수 있게 됐다. 제휴 투자자문사 라인업으로는 삼성자산운용, 라임자산운용, 피데스자산운용, 퍼시픽투자자문, 앤드비욘드투자자문, 써미트투자자문, 제브라투자자문, 이룸투자자문, HN투자자문, 더퍼블릭투자자문, KPI어드바이저 등의 국내 대표 자문사들이 대거 참여했다.

2016-02-08 13:27:22 채신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