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사이 비상계엄 여파로 편의점 생필품 수요 일시 증가
갑작스러운 비상계엄 여파에 소비자들이 생필품부터 챙겼다. 계엄이 선포되자 오후 11시 이후 통행금지 등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퍼지면서, 비상계엄 후 약 1시간 동안 사재기 현상이 일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비상계엄 선포 직후 편의점에서 생필품 판매량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먼저 A 편의점에 따르면 3일 오후 11시부터 4일 자정까지 전 점포 기준으로 전주 동일 요일 및 시간대 대비 생수, 즉석밥, 통조림 등 생필품 판매량이 크게 늘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통조림 판매량은 337.3%, 봉지면은 253.8%, 생수는 141.0%, 즉석밥은 128.6%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주택가에 위치한 편의점을 중심으로 생필품 구매가 일시적으로 증가했다"며 "현장 직원들에 따르면 50대~60대 고객들의 수요가 특히 높았다"고 설명했다. B 편의점도 같은 시간대에 전일 대비 통조림 및 라면 매출이 3배 증가했고 생수·즉석밥류와 휴지 매출도 2배 가량 상승했다. C 편의점 역시 동시간대 전일 대비 생수 매출이 40%, 햇반 등 즉석밥류가 70%, 라면과 주류가 각각 50%, 30% 증가했다. D 편의점에서는 통조림 매출이 75.9%, 햇반이 38.2%, 생수가 37.4%, 라면이 28.1% 늘어나며 생필품 위주로 매출 상승이 나타났다. 이 같은 사재기 현상은 혼란한 상황에서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확산되며 시민들의 불안을 키운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시민 고 모 씨는 "혼자 살고 있는데 비상계엄이 선포되니 온갖 상상이 다 들었다"며 "11시 이후 통행이 제한되고 물품이 제한될 수 있다는 소식에 물류가 멈출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 급히 라면 한 박스를 구매했다"고 말했다. 같은 시각, 맘 카페 등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도 "계엄령 선포 직후 마트에서 물건이 동나는 줄 알았다", "전쟁이 난 줄 알았다" 등 시민 반응이 쏟아졌다. 일시적인 매출 상승은 있었지만, 이를 사재기 수준으로까지 볼 수 없다는 의견도 나왔다. 한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매출이 잠시 증가하긴 했지만, 사재기라고 부를 정도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그 시간대 생필품 매출이 잠시 오르긴 했으나 배송에 차질 있었던 수준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한편, 유통업계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재택근무에 돌입하거나 특별한 지침을 받은 바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밤 온라인으로 소통하며 상황을 주시했을 뿐, 재택근무나 현 상황 대비 특별 지침은 내려오지 않았다"고 전했다. /안재선기자 wotjs4187@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