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의 소도시 도서관 강연기부 '10월의 하늘' 전국서 개최
과학자의 소도시 도서관 강연기부 '10월의 하늘' 전국서 개최 과학자들의 도서관 강연기부 행사 '10월의 하늘'이 오는 29일 오후 2시에 서울, 대전, 성남, 당진, 강릉, 충주, 거제, 철원 등 전국 39개 도서관에서 일제히 열린다. '10월의 하늘'은 현직 과학자, 공학자, 의사, 과학저술가 등이 지방 중소도시의 어린이와 청소년을 찾아가 자발적으로 과학 강연을 기부하는 행사로, 강연자와 현장진행자, 기획자 모두 재능기부로 이루어진다. 이 강연은 해당 지역 어린이와 청소년 누구에게나 열려 있으며 무료로 진행된다. 전체 참여 도서관 이름과 위치, 해당 지역의 강연자와 지역, 내용은 '10월의 하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상세한 대상 연령 및 학년은 해당 지역 도서관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학부모도 함께 참여할 수 있다. 2010년 처음 시작되어 7년째를 맞은 '10월의 하늘'은 자발적 재능기부 강연 행사도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강연 내용은 천문, 미술, 고생물학, 기계공학, 예술, 컴퓨터 등 거의 모든 과학 영역을 다루고 있다. 특히 올해는 인공지능과 뇌과학을 주제로 한 강연이 다수 준비되어 화제가 되고 있다. 강연자는 교수, 의사, 엔지니어, 과학기자, 소설가, 만화가, 변리사 등 다양하며, 도서관 1곳마다 강연자 2~3명씩 모두 81명이 참여한다. 스타과학자와 과학만화가 등이 강연에 참여하여 과학의 저변을 넓히는 재능기부도 펼쳐진다. 현장진행자와 준비모임 역시 학생부터 직장인, 작가 등 다양한 사람들로 이뤄져 있다. '10월의 하늘'이란 이름은 영화 '옥토버스카이(October Sky)'에서 따왔다. 탄광촌에 살던 소년이 우연히 구소련의 로켓 발사 장면을 보고 로켓 공학자의 꿈을 키우다, 결국 시련을 극복하고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로켓공학자가 된다는 줄거리다. 소도시 어딘가에서 단 한 번의 '꿈'을 꿀 기회를 얻지 못해 과학자의 미래에서 멀어지는 어린이와 청소년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지었다. 한편, '10월의 하늘'은 2010년 9월에 정재승 KAIST 교수(바이오 및 뇌공학과)가 트위터를 통해 처음 제안한 것에서 출발하여, 10월 마지막 주 토요일에 전국 29개 도서관, 강연자 67명, 운영 스태프 64명이 참여하는 행사가 이루어졌다. 가수 윤종신, 정지찬 등이 주제곡을 만들어 주는 등 강의장 밖에서도 재능기부가 이어졌다. 이후, 매년 '10월의 하늘' 행사가 개최되며 안정적인 연중 행사로 자리매김했으며, 강연 중 일부는 책으로 출간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