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직접투자 239.5억달러, 역대 최고… 반도체·이차전지 투자 다수 유입
글로벌 투자의 불확실성으로 주요국의 외국인직접투자가 감소한 가운데, 올해 9월까지 국내 외국인직접투자가 신고·도착금액 모두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특히, 반도체·이차전지 등 첨단전략산업 분야 그린필드 투자가 다수 유입돼 국내 산업의 공급망 강화와 신규 고용창출 등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3년 3분기(1~9월 누적) 외국인직접투자는 신고 기준 전년 동기 대비 11.3% 증가한 239억5000만달러로 3분기 기준 역대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도착금액 또한 전년 동기 대비 20.2% 증가한 139억2000만달러로 역대 최대다. 박덕열 투자정책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글로벌 투자 불확실성으로 미국, 중국 등의 외투가 감소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국내 외국인투자 규모는 꾸준히 확대됐다"며 "한국의 안정된 투자 환경에 대한 글로벌 기업의 신뢰가 신규투자 역대 최대실적 기록으로 연결됐다"고 평가했다. 특히 첨단전략산업 국내 수요기업 투자 확대에 힘입어 관련 외국기업의 투자가 다수 유입된 것이 제조업 분야 투자의 역대 최대실적 기록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은 전년 동기 대비 15.7% 증가한 90억2000만달러, 서비스업은 9.0% 증가한 138억달러를 기록했다. 제조업에서는 전기·전자(33.2억달러, +27.0%), 화공(30.1억달러, +61.1%) 등의 업종이, 서비스업은 금융·보험(74.0억달러, +107.2%), 숙박·음식점(3.1억달러, +228.5%) 등의 업종이 전년보다 증가했다. 반면, 제조업에서는 기계장비·의료정밀(7.3억달러, -20.1%), 식품(3.3억달러, -64.0%), 섬유·직물·의류(0억달러, -100%) 투자가 감소했고, 서비스업에서는 도·소매(16.2억달러, -25.9%), 정보통신(15.3억달러, -49.2%), 운수·창고(5.4억달러, -35.9%) 등 업종 투자가 줄었다. 국가별로 EU(유럽연합, 40.0억달러, +38.1%)와 중화권(22.3억달러, +49.9%) 투자가 크게 증가한 반면, 미국(51.9억달러, -27.2%)과 일본(9.3억달러, -10.5%)의 경우 각각 전년도 대형 M&A투자의 기저효과 영향으로 감소했다. 투자 유형별로 공장 또는 사업장을 설립해 직접 운영하기 위한 그린필드 투자는 미국(50.5억 달러, +2.8%), EU(21.4억 달러, +38.9%), 중화권(20.1억 달러, +43.3%), 일본(8.3억 달러, +16.1%) 등 주요국 투자 증가에 힘입어 총 167억9000만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0.4% 증가했다. 반면, 기업 지분 인수 또는 합병 등을 목적으로 하는 인수합병(M&A) 투자는 71.6억달러로 전년보다 5.5% 줄었다. 박 투자정책관은 4분기 외국인직접투자 전망에 대해 "글로벌 경제상황과 주요국의 긴축기조 등 좋은 상황이 아니다"면서도 "강점을 설득하고 (외투에 대한)현금지원 확대 등을 통해 최대 실적을 달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